강의를 제창하며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돌베게, 2004.
이 책의 제목이 ‘강의’인 이유가, 이 책이 실제 강의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성공회대학교 교양과목인 ‘고전 강독’의 강의 내용을 정리하여 묶은 것이다. 고전에 대한 저자 나름의 읽기 방법으로 고전을 재해석하고 있다.
<강의>에서 다루는 고전은 춘추전국시대 대표적인 사상가인 공자, 맹자, 노자, 장자, 묵자, 순자, 한비자 등의 핵심 사상이다. 즉 이들 사상가들이 서술한 <시경>, <서경>, <초사>, <주역>, <논어>, <맹자>, <노자>, <장자>, <묵자>, <순자>, <한비자>에 담긴 사상과 철학이 당시의 시대상황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때의 사상을 현재와 미래에서 '관계론'에 초점을 두어 이들 사상을 풀어내고 있다.
우리가 걸어놓는 화두는 ‘관계론’입니다. 존재론적 구성 원리는 개별적 존재를 세계의 기본 단위로 인식하고 그 개별적 존재에 실체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개인이든 집단이든 국가든 개별적 존재는 부단히 자기를 강화해가는 운동 원리를 갖습니다. 그것은 자기 증식을 운동원리로 하는 자본 운동의 표현입니다. p23
이와 같이 관계론적인 관점에서 이들 사상을 풀어가는 것은 작가가 보기에 동양의 사회 구성원리가 관계론이기 때문이다. 동양적 삶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가치가 바로 인성, 인간관계라고 보는 까닭이다. 작가는 ‘관계론’에 집중하여 이 책들을 살펴보고 있었기에 전반적으로 일괄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다양한 ‘관계론’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어 좋았다.
고전은 늘 읽어본 듯 익숙하면서도 익숙하지 않다. 오래도록 접했지만 직접적으로 접한 것은 없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고전의 맛보기라도 새로움을 준다. 그래서 장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학자의 사상에 매료되어 사상가의 책들을 읽어야지라는 마음이 지속되었다. 그렇게 공자 다음엔 맹자, 맹자 다음엔 노자, 노자 다음엔 장자...이런 식으로 학자들의 사상이나 그에 대한 해석이 좋게 여겨지는 것은 작가의 의도인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결국 글의 순서는 춘추전국시대의 사상의 흐름에 따른 것일 뿐인데도 점점 더 좋아지는 글의 내용으로 인해 이것이 작가가 의도한 차례야라는 생각까지도 했다.
고전을 읽는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 고전은 꼭 읽어야 하는지 세상은 ‘고전읽기’를 강조하고 강요하고 있다. 지금도 넘쳐나는 수많은 책들이 많건만, 화려하고 깔끔하게 포장된 책들로 줄줄이 나와 주고 있건만 아주 오래전의 사상들을, 책들을 끊임없이 읽으라고 재촉한다. 도대체 왜!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관점입니다. 고전에 대한 우리의 관점이 중요합니다. 역사는 다시 쓰는 현대사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고전 독법 역시 과거의 재조명이 생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당대 사회의 당면 과제에 대한 문제의식이 고전독법의 전 과정에 관철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고전 강독에서는 과거를 재조명하고 그것을 통하여 현재와 미래를 모색하는 것을 기본 관점으로 삼고자 합니다. p21
우리가 이 지점에서 합의해야 하는 것은 고전과 역사의 독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제라는 사실입니다. 공자의 사상이 서주 시대 지배 계층의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오늘의 시점에서 규정하여 비민주적인 것으로 폄하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과거의 담론을 현대의 가치 의식으로 재단하는 것만큼 폭력적인 것도 없지요. 공자의 인간 이해를 1789년 프랑스혁명 이후의 인권사상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온당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우리의 고전 독법은 그 시제를 혼동하지 않음으로써 인에 대한 담론이든 민에 대한 담론이든 그것을 보편적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지요. 그러한 관점이 고전의 담론을 오늘의 현장으로 생환시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141
책읽기는 자기만의 방식이 있고 자기만의 질서와 체계가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책읽기라는 것은 교과서조차도 읽을 시간없이 문제집 풀이에 혈안이 된 현실이다(이런 교육현실을 겪은 나를 기꺼이 불쌍히 여겨주며). 또한 너무나 획일적인 풀이로 일관되었는데 그러한 관점의 전환을 해볼 수 있어 좋았다. 다만, 어쩌면 너무나 맛뵈기 식의 고전 소개가 사람에게 애간장을 끓게 하는 면은 있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소개된 모든 고전을 마구마구 읽고 싶어진다. 수많은 사상가들의 사상들을 막 아우르고 싶어진다. 읽는 것에만 매달리어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
사상은 실천된 것만이 자기의 것입니다. 단지 주장했다고 해서 그것이 자기의 사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환상입니다. p509
중요한 것은 바로 이것이다. 무수히 입만 떠벌이지 말라고 공약만 남발하지 말라고 립서비스만 남발하지 말라고 쇼좀 그만 하라고 제발 자신의 것, 사상을 가져라, 라고 무수히 벽에 대고 외치는 말을 또 막 질러 댄다. 이 말들을 끊임없이 제창하는 게 안 들리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