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인간의 삶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김초엽, 허블, 2019-06-24.
오로지 비현실적인 상황 자체로만 ‘이것은 SF소설이오’라고 내미는 소설이 있다. SF라는 소재를 반감시키며 대체로 경직된 분위기, 옅은 과학적 상상력, 매력적이지 않은 문체로 인해 오랜 여운을 주는 SF소설을 찾기란 어려웠다. 그래서 잘 읽어지지 않고 찾게 되지 않는다. 열광하는 외국 작가 몇몇에 의지하게 되는 이유다. 이들의 소설이 소재와 생각의 무한함을 보여주며 얼마나 우아하고 매력적으로 이야기를 펼쳐놓는지 말이다.
과학도였다는 작가의 이 소설집은 그동안 읽어본 한국 작가의 SF 소설과는 다른 느낌이다. 과학이라는 표피만을 훑어서 이야기를 쏟아놓지 않았다. 익숙한 주제들을 푹 고아서 독자들에게 먹기 좋게 내밀어 준 듯 느껴졌다. 다소 테드 창의 소설을 보는 느낌이 들었는데 그래서 좀더 편안하게 읽게 되었는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인상적이고 좋았다.
소설 주인공으로 할머니가 제법 등장한다. 우주는 항상 아득한 느낌인데 할머니라는 단어 또한 그런 느낌을 준다. 아득함과 아득함이 만나 소설은 친숙하기도 하고 낯선 감정과 조금은 서글픈 감정에 빠지게 한다. 이런 감정은 잘 팔릴까.
「감정의 물성」은 다양한 감정을 물성처럼 만들어 판매하는 회사와 이를 소비하는 이들에 관한 이야기다. 기쁨이나 즐거움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들도 잘 팔린다. 왜?
“부정적 감정 라인은 판매되는 물량에 비해 실 사용량이 적대요. 다들 쓰지 않아도 그냥 그 감정을 소유하고 싶어하는 거예요. 언제든 손안에 있는, 통제할 수 있는 감정 같은 거죠.” -「감정의 물성」
눈물 흘리는 누군가를 위로할 때 “울지 마”가 아니라 “그래, 실컷 울어”라고 말할 때의 기분을 생각했다. 실제로 이렇게 통제만 적절히 이뤄진다면 온갖 부정적 감정들을 물성화해 생산해 두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현대 사회가 다채로운 감정을 펼칠 기회를 주지 않고 특정한 감정만을 발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궁극적인 행복을 위해 말이다. 감정적 동물이어서는 안되겠지만 감정이란 필요한 것이니까.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는 유전자 선택으로 장애도 없고 혐오와 차별도 없는 그리고 사랑도 없는 유토피아 같은 행성을 그린다. 그리고 여전히 혐오와 차별과 장애가 있는 그런 지구가 있다. 지구로 순례 여행을 떠난 이들이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마치 「감정의 물성」에서 우울체를 손에 쥐고 있으려는 구매하려는 사람들의 마음이 떠올려진다. 하지만 우리는 답을 알고 있다. 이미 없는 것이 가득한 그 세계보다 단 하나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 어쩌면 늘 정답으로 정해진 그 하나의 이유, 그것이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헤어진다는 것이 이런 의미가 아니었어. 적어도 그때는 같은 하늘 아래 있었지. 같은 행성 위에서, 같은 대기를 공유했단 말일세. 하지만 지금은 심지어 같은 우주조차 아니야. 내 사연을 아는 사람들은 내게 수십 년 동안 찾아와 위로의 말을 건넸다네. 그래도 당신들은 같은 우주 안에 있는 것이라고. 그 사실을 위안 삼으라고. 하지만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조차 없다면, 같은 우주라는 개념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나? 우리가 아무리 우주를 개척하고 인류의 외연을 확장하더라도, 그곳에 매번, 그렇게 남겨지는 사람들이 생겨난다면……. 우리는 점점 더 우주에 존재하는 외로움의 총합을 늘려갈 뿐인 게 아닌가.”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당장 내일도 미래이지만 과학기술이 좀더 발전된 어느 미래라고 해서 인간의 삶이 특별히 달라져 보이지는 않는다. 삶은 기술발전에 따른 편의와 편리를 경험한다 해도 감정의 스펙트럼은 특별히 달라질리 없으니까. 여전히 희로애락이란 삶을 지배하는 절대적 요인이 된다. 여전히 “빛의 속도로 갈 수조차 없는” 기술적 한계와 여성과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가득한 세상이다. 달라진 듯 달라지지 않은 풍경 속에서 그럼에도 의지하고 기대고 위로받는 것은 역시 인간이라는 사실. 그래서 「스펙트럼」속의 루이는 할머니에게, 인간에게 이렇게 말했는지도 모른다.
“그는 놀랍고 아름다운 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