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노래
레일라 슬리마니 지음, 방미경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색기 없는 욕망

달콤한 노래, 레일라 슬리마니, arte(아르테), 2017.


  사람들마다의 인생에는 사연이 있다. 삶의 이야기, 스토리. 어떤 경우엔 그 이야기에 공감하고 이해하고 마음을 주게 된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타인의 삶을 온전히 알 수 없고 그러므로 그에 대해 잘 안다고 말할 수 없다. 안다고 하는 것 또한 순간이고 일부이다. 무엇을 어떻게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누가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어떤 사람의 생애는 이해 쪽으로 쏠리기도 한다. 이것이 가지는 힘, 그럼으로써 드러날 수밖에 없는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루이즈의 생애를 생각을 복구하는 이 소설의 시작과 결말이 다른 방식이었다면 어떤 감정을 얻었을까. 루이즈가 이미 범죄자임을 제시하며 나아가는 이 소설은 오로지 ‘이유’를 ‘동기’를 궁금해하기에 결말에 이르러 궁금함이 해소됨과 더불어 답답함이 따른다. 시간적으로는 사건이 벌어진 것이 가장 마지막인데도 그건 소설의 시작에서 나온 것처럼 가장 먼 일이었던 것처럼 여겨지게 만든다. 루이즈의 상황과 감정들이 나오고 그에 따른 결과가 나왔다면 이 소설에서 갖게 되는 감정은 또 어떤 형태가 되었을까. 달콤한 노래, 이 소설을 읽고 난 후 든 제일 먼저의 생각이다.

  “아기가 죽었다, 단 몇 초 만에.”라는 충격적인 서술로 시작되어 몇 페이지가 넘어가기도 전에 두 아이의 죽음과 한 사람의 죽음이 드러난다. 두 아이는 보모인 루이즈에 의해 죽었다. 두 아이에게 왜 보모가 필요했는지, 루이즈눈 어떻게 보모가 되었는지, 루이즈가 두 아이에게 부모에게 만족스러운 보모였는지를 소설은 이야기한다.

  직장과 양육 사이에서 힘겨워하는 모든 여성들처럼 미리암도 힘겨워한다. 엄마로서 가져야 할 완벽한 모성, 그것을 따라가기 위해 ‘미리암’으로서의 정체성을 탈진해버린 미리암. 마침내 보모 루이즈를 고용하고 다시 일을 시작하면서 얻는 마음의 편안함과 안정감, 그러나 점점 루이즈가 집안에서 중요하게 차지하는 역할과 행동 하나하나에서 느끼는 불편함과 기묘함이 매우 공감되게 그려진다.


그녀는 자신의 성공과 자유에 아이들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한사코 거부했다. 익사자의 머리를 바닷물 아래로 끌고 내려가 진흙 속에 처박는 닻 같은 존재. 처음 그런 생각이 들었을 때 그녀는 깊은 슬픔에 빠졌다. 그런 생각은 옳지 않았고 정말 절망적이었다. 그녀는 이제 자신이 불완전하다는 느낌, 무엇을 제대로 해내지 못한다는 느낌, 다른 것을 위해 삶의 한 부분을 희생한다는 느낌을 늘 떨쳐버릴 수 없으리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상적인 엄마가 되려는 꿈을 포기 못하고 버티다가 일을 키운 것이었다. 모든 게 가능하다, 모든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 성질이 날카로워지지도 않고 탈진하지도 않을 것이다, 하고 끝끝내 생각하다가. 순교자 행세도 슈퍼우먼 행세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고집하다가.


  두 아이의 아버지 폴 역시 예외가 아니다. 아버지로서의 역할과 자유로운 자기 인생을 누리고픈 마음 사이의 갈등과 고뇌가 드러난다. 이러한 두 부부의 구세주가 된 루이즈는 욕망한다. 그들 가족의 삶에 들어가 생활한 뒤로 자신이 그들에게 속하기를, 그들과 계속 함께 하기를. 루이즈에게도 아이가 있다. 남편이 있었다. 그러나 남편은 빚만 지워주고 떠났고 딸은 가출하여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 이민자로서의 루이즈는 보모일을 하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결코 행복이라고 이름붙일 만한 것이 하나도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미리암은 루이즈와 아이들을 지켜보다가 머리에 스쳐가는 어떤 생각, 잔인하지는 않지만 부끄러운 그런 생각을 엠마에게 절대 털어놓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오로지 서로가 서로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만 행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우리 자신만의 삶, 우리 자신에게 속한 삶, 다른 이들과 상관없는 삶을 살 수 있을 때. 우리가 자유로울 때에만.


  소설을 읽었을 때는 영화 기생충이 막 개봉한 때라서 자연스레 영화 기생충이 떠올랐다. 타인의 삶을 욕망하는 자아에 대해, 철저하게 현실을 인식시키게 만드는 계급에 대해 생각하게끔 한다. 건강하고 올바른 욕망이 무엇인지, 계급적 소외가 만들어낼 수 있는 사건이란 얼마나 많은지에 대해서 말이다. 그래서, 그런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였기에 벌인 사건이라 이름붙일 수 있을까. 두 아이의 죽음을.

  욕망에 따라 인식하고 그 인식에 따라 행동하는 루이즈의 모습들을 보고 있는 것은 놀랍다. 전혀 달콤하지 않은 노래를 루이즈는 끝없이 부르고 있다. 소설은 루이즈의 이러한 기괴한 욕망에 따른 결론을 격앙되지 않은 문체로 서술한다. 그래서 루이즈의 욕망조차도 핏기 가득하기 보다 검은 빛이 맴돈다. 지극히 건조하고 방관적인 문체. 그런 형상으로 사고하면서 욕망을 할 수 있구나 싶었다. 그동안 욕망이란 단어에 색을 부여한다면 지나치게 강렬한 원색을 입혔던 탓이다. 루이즈의 욕망은 색이 모두 빠져 빛바랜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