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지음, 김이선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상처를 꺼내본다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21세기북스, 2011.


  제목을 본 순간 양자역학 책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 게 우습게도 그런 책은 전혀 필요치 않았다. 왜 미리부터 긴장하고 그로 인해 시간을 흘려보냈는지 모르겠다. 새롭게 출간될 줄 알았다면 좀 늦게 읽을 걸 그랬다. 언뜻 보았을 때 바다 위의 돌고래 사진과 연한 하늘색이 제목이 주는 압박을 줄이고 편안하게 다가왔다. 다시 보니 새와 사람이 등장하는 사진이라서 순간의 착각이 주는 이미지가 얼마나 큰가, 생각했다. 포터 이름이 그렇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새삼 베아트릭스 포터가, 피터 래빗이 떠올랐다. 아련하고 동화적인 느낌들이 이 책에서 느끼는 것인지 포터에서 느끼는 것인지 헷갈렸다.

  단편 열 편이 실린 이 책을 읽으며 나의 자리에 대해 생각했다. 어느 한 지점에 머물러 있는 마음이라고 해야 할까. 그것은 비밀스럽게 뭔가를 숨겨놓은 장소이며 빠르게 지나쳐가고 싶지만 참을 수 없는 냄새로 인해 온전히 그 냄새를 묻힐 수밖에 없는 곳이다. 의식과 무의식 속에서 완전히 지워지지 않는 존재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장소이자 기억. 삶에는 늘 그런 지점이 있다는 것을 그로 인해 내 생각이, 내 언어가, 내 삶이 더디게 흐른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 순간의 이야기들을 작가는 그리고 있다. 


잠시 후 칼러 씨가 집에서 나오더니 내게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그는 말했다―그것은 이후 좀체 내 마음을 떠날 줄 모르는 말이다―그는 말했다. “얘야, 이 일은 너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일이란다.” ― <강가의 개>


  아무리 칼러 씨가 네게 “너와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말해준대도 그 순간에 내가 있었으므로 ‘나’는 그 일에서 그 누군가에게서 쉬이 벗어나지 못할 감정을 안고 있다. 훗날에 과거의 지점을 돌아보는 이야기는 그리하여 좀더 애틋하고 저리게 다가온다. 결코 그 순간이 바꿔질리 없기에 감정이란 그때만큼 달라질리 없기에. 하지만 머언 미래의 감정을 그린대도 달라지지 않을 거란 걸 알게 된다. 그것을 단편소설은 몇장이어야 한다는 형식에 미치지 못하는 두페이지 소설 <피부>에서 그리고 있다. 부부가 과거 낙태의 순간을 기억하는 것과 머언 날에 과거를 기억할 그들을 생각하는 일은 과거형 문장과 미래형 문장으로는 다르게 나타나지만 문장이 담고 있는 감정은 전혀 다르지 않다.


이것이 앞으로 일어날 일이다. 그러나 오늘 오후 부드러운 라임 색 카펫 위 그녀의 벌거벗은 몸 옆에 누워, 비와 웃음소리를 들으며, 나는 다만 클로이의 피부에 대해 생각한다. 그녀의 이름처럼 서늘하고 부드러운, 내 젊은 아내의 창백한 피부. 바깥 거리에서 음악 소리가 커지고 클로이가 내 쪽으로 몸을 굴린다. 맨 먼저 나의 가슴에 키스하고 차츰차츰 아래로 내러간다. 나는 눈을 감는다. 조금 후면 우리는 매일 밤 그러하듯이 우리의 조그만 매트리스 위에서 함께 잠이 들 것이다. 창문 밖 종려나무들을 흔들고 지나는 바람 소리를 들으면서, 우리는 잔인한 짓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라는 안개 속의 꿈을 믿으면서. 

― <피부> 


  그렇게 보면 빛의 입자가 가는 경로를 예측하기란 알기 어렵다는 리처드 파인만의 이론은 맞지 않을 지도. 어떤 상황에서의 감정이란 시간이 흘러 정확히 닿을 지점에 가 닿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에서 보여주는 헤더의 감정은 절대로 이해하지 못할 수준의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 싶지 않은 것에 가까운 것처럼 느껴진다. 


나이가 들면 역설에 환멸을 느끼기가 쉬워지지요, 하고 그는 말했다. “젊어서는 도전뿐이에요. 하지만 나이가 들면 그저 피곤해지거든요. 모든 물리학자에게는 자기 너머 수준의 사고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 때가 와요. 자기가 절대로 이해하지 못할 수준”이라고 그는 말했다. ―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나이가 아주 많은 로버트 교수와 느끼는 교감은 헤더에게는 소중하고 중요한 것이다. 헤더는 자연스럽게 흐르는 이 감정과는 다른 종류의 감정을 더 의식한다. 그것은 사회가 요구하고 사회가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것이다. 우리 삶은 사회라는 시선을 너무 의식하는 까닭에 그 시선에 맞추는 것을 ‘잘 사는 것’이라 생각한다. 헤더가 사회가 용인하고 전혀 부담스럽지 않은 사회적 시선에 맞는 콜린과의 결혼을 선택하면서 헤더가 잃어버리는 것은 영원히 헤더를 채워주거나 구원해줄 수 있는 존재다. 그 결핍을 결코 콜린이 알지 못한다는 점에서 콜린은 헤더를 채워준다. 이 이상한 결핍과 채움의 과정 속에서 헤더는 행복한 순간이 있었을까 궁금해진다.    


죄의식은 우리가 우리의 연인들에게 이런 비밀을, 이런 진실들을 말하는 이유다. 이것은 결국 이기적인 행동이며, 그 이면에는 우리가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진실을 밝히는 것이 어떻게든 일말의 죄의식을 덜어줄 수 있으리라는 추정이 숨어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그렇지 않다. 죄의식은 자초하여 입는 모든 상처들이 그러하듯 언제까지나 영원하며, 행동 그 자체만큼 생생해진다. 그것을 밝히는 행위로 인해, 그것은 다만 모든 이들의 상처가 될 뿐이다. 하여 나는 그에게 말하지 않았다. 한 번도 말하지 않았다. 그 역시 내게 그러했을 것임을 알기 때문이었다. ―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이 섬세하고 아린 소설을 읽으면서 과거의 행위들로 그로 인한 감정으로 영원히 지속될 상흔 속에 머물러 있는 미래의 나를 떠올리게 된다.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이란 그저 끌어안고 기억이 퇴화되기를 바라는 것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