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 소녀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76
앨리스 먼로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리되지 않기 위한 생존법


거지 소녀, 앨리스 먼로, 문학동네, 2019.


  세상을 살다보면 쉽게 규정되는 것이 있다. 환경이 삶을 정해버린다는 믿음이다. 그로 인해 당연하게 행해지는 건 사회적 약자들의 패배의식과 사회적 약자들을 향한 폭력이다.

  핸래티처럼 사회구조가 명확한 마을에는 뚜렷하게 보이는 이러한 믿음에 둘러싸여 살아가야 하는 로즈가 있다. 로즈는 이 패배의식과 폭력의 세계에서 나름의 방법을 찾아나간다. 그것은 가정(假定)을 가장(假裝)하는 일이다. 혹은 과장이랄지 몽상이랄 수 있을, 누군가에는 허세이고 허영으로 보일 그런 이야기와 세계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아침 식사로 자몽 한 개를 먹는다는 것쯤은 매우 사소한 가장이다.

  이런 로즈를 가구 수선일을 하는 아버지도 식료품점을 운영하는 새어머니 플로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다. 가난한 환경의 아이가 가져야 할 태도를 로즈는 지니지 않았다. 똑똑하고 야무져 보이는 로즈라는 한 개인은 핸래티라는 마을의 가난한 환경에 맞추어 성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아버지에 의해 장엄한 매질Royal Beating.을 당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래서 ‘아버지가 남매를 때린다는 소문’은 장애인 베키와 프레니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쩌면 그 아이들에게도 ‘아버지가 로즈를 때린다’는 소문이 흘러갔을지도 모를 일이다.   

  마을의 아버지들은 제 자식을 때리는 일을 넘어서 다른 집의 딸들―장애를 가진 베티와 프레니에게 해당되는―에게도 폭력을 일삼았음이 틀림없다. “아이를 배고 어딘가로 옮겨졌다가, 다시 돌아와 또 아이를 배고, 또 어딘가로 옮겨지고, 또 돌아와 아이를 배고, 또 옮겨진” 프레니는 페렴으로 사망한다. 이로써 불임수술을 해줄까, 가둘까 애쓰던 이들의 프레니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었고” 베키의 아이는 “태어나 처리되었다.”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배우는 과정은 누군가의 삶을 통해서이기도 하고, 그로 인해 어떻게 살아가게 될지가 보이게 되는 순간이 아닐까. ‘자몽 한 개’의 식사를 가정하는 일은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이거나 “처리되지” 않기 위해 로즈가 택한 방법이었을지 모른다.


아무리 겁을 내고 소심하게 굴더라도, 그 어떤 충격과 불길한 예감에 시달린다 해도, 생존법을 배우는 것은 비참하게 사는 것과는 다르다. 그러기엔 너무 흥미롭다.


  열 개의 단편으로 그려진 이야기에서 시간은 넓게 펼쳐지거나 어느 한때를 이야기한다. 하지만 각 단편은 그 자체로 완결되면서 전체적으로 로즈의 삶을 사십년에 걸쳐 펼쳐놓는다. 그 시간에 어린 로즈는 대학생이 되고 결혼과 출산과 이혼과 ‘평범한 장난질’과 사랑과 이별을 경험하는 한편, 안정되지 못한 생활을 살아가며 그 모든 순간마다 로즈의 삶에 존재하여 영향을 끼치는 플로가 있다.

  어린 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한 로즈의 삶의 태도, 각각의 삶을 바라보는 로즈의 이야기는 마냥 로즈를 향한 애정과 연민을 불러일으키지는 않는다. 로즈에 대해 한없는 연민을 갖기엔 반복되는 로즈의 행동에 오히려 로즈를 격렬하게 흔들어주고 싶다. 이런 생각을 갖게 되는 건 두가지 이유이리라.

  첫 번째는 생존법이다. 그렇다. 생존법을 배우지 않으면 ‘처리된다.’ 로즈는 핸리티 마을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식으로의 생존법을 익혀갔고 핸리티를 벗어난 이후에도 유지되었던 그 방식은 핸리티 밖에서는 유효하지 못했다. 무엇보다 로즈는 마냥 어리지 않기에, 그러나 로즈는 여전히 그 생존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소모적이고 소동적인 로즈의 행동, 때론 소심하고 무모하기도 한 로즈의 행동을 바라보는 시선이 어느 틈엔가 플로와 닮아 있는 건 아닌가 싶어졌다.

  두 번째는 코페투아왕도 패트릭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로즈를 ‘거지소녀’처럼 볼 수가 없다. 로즈를 가난해서 좋다고 말하지만 패트릭은 그녀의 환경을 부정한다. 로즈에게 고상한 배경을 덧씌우려한다.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로즈를 거지소녀로 보는 그 감정은 그 자신을 코페투아왕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로즈와 패트릭의 간극은 너무나 크다. 장학금을 받으며 공부해야 하는 현실적 어려움에 굴복하며 기꺼이 거지소녀가 되기로 한 로즈와 코페투아왕의 결혼의 결말은 예상가능하다.

  그러나 그 결론에 도달하는 과정이 친구 남편 클리퍼드와의 장난질과 제 아이를 포기하는 일을 거쳐서라는 점은 예상치 못한 바다. 생계를 위해 로즈는 분명 열심히 노력한다. 하지만 그런다고 해서 삶이 확연히 달라질 수는 없으며 아등바등은 지속될 뿐이다. 변하지 않는 건, 반복되는 건 그런 중에도 로즈가 남자의 애정에 기댄다는 점이다. 결혼 전부터 패트릭에 대한 사랑을 부정했지만 결혼으로 달려갔던 것처럼 로즈의 이러한 행동들은 또다른 패트릭과의 결합이 되는 건 아닐까 걱정하게 된다. 그것을 아는 로즈는 그 사랑인지도 모를 감정에 완벽히 젖어들지도 못한 채 벗어나려고 애쓰기도 한다. 이런 반복, “뭘 원하는지 알아야만 뭘 원하지 않는지 알 수 있는 건 아니야!”라고 했지만 로즈는 정말 원하지 않는 것을 안다고 말할 수 있을까. 패트릭이 말한 것처럼 로즈는 ‘어떤 상태에 빠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어떤 상태란 단연 ‘희망’이 아닐까. 다만 그 희망엔 긍정보다 허망함이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희망이 과연 맞는 건가 생각하게도 된다.

  “넌 도대체 네가 뭐라고 생각하니?”

  단편의 제목이기도 하면서 플로와 교사에게 각각 듣는 이 말은 멸시와 조롱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지만 그래서 어린 로즈가 이 말을 들을 땐 함께 분개하기도 했지만 책을 덮은 시점에서 이 말의 어조를 다르게 느끼게 된다. “소년들은 무능해도 결국 남자가 되고 자신들이 갖춘 것보다 훨씬 큰 재능과 권위가 필요한 일”들을 하게 되는 시대에 로즈는 살아가고 있었다.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그때에 어쩌면 패배처럼 보이는 로즈의 삶이 패배로 점철된 건 아니었다고 느끼게 된다. 호기심으로 한 생을 내달리는 일이 쉬운가, 어디.


호기심. 그 어떤 욕망보다 더 줄기차고 긴급한 것. 그 자체로 욕망인 것. 단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기 위해 뒤로 물러나 지나치게 오래 기다리면서 엄청난 위험을 감수하게 이끄는 것.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기 위해.


그렇게 마법적으로 개성을 발산하며 자신을 채우고 변신하고 싶었다. 그럴 용기와 힘을 갖고 싶었다.


  로즈에게는 ‘허가’되지 않은 일들이 가득한 시대에 자신이 내달렸던 삶에 대한 해석을 로즈가 달리한다면 로즈는 분명 자신을 채우고 변신할 수 있을 것이다. 흔들리고 어리숙해 보이고 때론 참담하게도 보였던 그런 삶조차 살아낼 수 있었다는 것, 그것 자체로 용기있는 삶이었다. 자신이 살아온 순간순간의 삶에 대해 그 행동과 감정을 설명할 수 있는 지금 경험과 함께 로즈는 살아나갈 무언가를 또 쌓을 것이다. 로즈의 생존법은 삶의 경험과 인식에 따라 새롭게 채워질 것임을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