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맹 - 자전적 이야기
아고타 크리스토프 지음, 백수린 옮김 / 한겨레출판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견뎌야 하는 사막


문맹-자전적 이야기, 아고타 크리스토프,  한겨레출판, 2018.


  이 짧은 책을 사두고서 한해가 지났다. 책은 읽을 책을 사는 게 아니라 산 책 중에 읽는 거라고, 누군가는 그렇게 말했다지만 읽고 싶어 ‘산’ 책은 왜 이다지도 책장 속에 오래도록 묵혀두게 되는지 모르겠다. 이 책은 그나마 책꽂이에 꽂아 둔 지 짧은 시간에 읽힘을 당한 책이다. 두루두루 보니 아직 묵혀둔 책이 많다. 사두고서 10년이 훨씬 지나서야 읽힘을 당한 책이 1년짜리 문맹을 꼴아보고 있다.

  작가의 말처럼 “아무것도 하지 않고, 매일 읽기만 하는, 다른 것은 아무것도 할 줄을 모르는, 가장 나태한 소일거리를 하는, 게으른 자”인 줄 알았는데, 이 정의는 내게 허용되지 않게 되는 건가. 질병에 빠져 있었다 싶었지만 치유의 시기가 지나고 다시 질병에 들까 말까 했는데 새삼, 질병이랄 것도 없었다 생각하게 든다. 아무튼.

  작가의 어린 날의 기억과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한 생각과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이야기가 흐른다는 점에서 굳이 줌파 라히리의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가 생각난다. 줌파 라히리가 이탈리아어를 배우는 일과 아고타 크리스토프가 프랑스어를 배우는 일은 엄청난 간극이 있지만 한편으론 끊임없이 타자로, 이방인으로 느끼며 살아가는 심정은 큰 간극이 없다.

  읽기와 쓰기에 관한 작가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에는 생존을 위해 말을 삼키고 달려야 했던 역사가 있다. 작가의 생애는 처참하기 이를 데 없는 언어로 표현해도 부족할 만큼을 보여주지만 그것을 이야기하는 작가의 언어는 담백하다. 그날을 탈탈 털어 빨랫줄에 수백번은 걸어놓은 것처럼 건조하다. 그것이 사막을 견디어낸 작가의 언어였을까. 이 반복된 건조함이 작가의 생애에 대한 관음증적인 호기심을 지우게 한다.


아무도 러시아어를 알지 못한다. 독일어나 프랑스어, 영어 등의 외국어를 가르치던 선생님들은 몇 달 동안 러시아어 속성 수업을 배웠지만, 그들은 그 언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그것을 가르칠 마음이 전혀 없다. 그리고 어쨌든 학생들도 그것을 배우고 싶은 마음이 조금도 없다.

우리는 그런 식으로 국민적인 지식의 사보타주를, 당연히 미리 계산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고 수동적인 방식으로 진행되는 저항을 목격하게 된다.


  헝가리 태생인 작가는 1956년 소련이 쳐들어왔을 때 여러 나라를 도망친 끝에 스위스에 정착했다. 작가는 모국어를 죽이고 있다는 점에서 프랑스어를 적의 언어라 부른다. 그나마 러시아어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얼마나 다행인가, 할 수 있는 건 이런 위로뿐. 마침 3.1절, 상황의 차이가 있었다 할지라도 헝가리인의 러시아어에 대한 ‘저항의 방식’이 부럽게 느껴진다. 창씨개명을 하지 않으려고, 일본어를 쓰고 말하지 않기 위해 적극적인 저항으로 스러져간, 수동적인 저항조차도 해보지 못한 그들을 생각하면…. 

  

공장에서는 모두들 우리를 친절히 대한다. 사람들은 우리를 보면 웃고 우리에게 말을 건다. 하지만 우리는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한다.

사막은 여기에서 시작된다. 사회적 사막, 문화적 사막. 혁명과 탈주의 날들 속에서 느꼈던 열광이 사라지고 침묵과 공백, 우리가 중요한, 어쩌면 역사적인 무언가에 참여하고 있다는 기분을 느끼게 했던 나날들에 대한 노스탤지어, 고향에 대한 그리움, 가족과 친구들에 대한 그리움이 뒤따른다.


  어떤 상황에서든 어떤 언어로든 글을 읽고 썼으리라는 작가의 글에 대한 갈망은 단지 작가로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존재적 의미를 얘기하는 것 같아서 숙연하게 느껴진다.

  나도 점점 문맹이 되어 간다. 시시각각 변하는 인터넷 상의 문자어를 이해하지도 적응하지도 못해 당황한다. 세상의 흐름에서 이해하지 못하는 대화가 늘어만 간다. 그럼에도 알고 싶지 않은 말들이 넘쳐 나고 간극은 더욱 커져간다. 이것은 내가 견디어야만 하는 사막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