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의 높은 산
얀 마텔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애도의 단계


포르투갈의 높은 산, 얀 마텔, 작가정신, 2017.


  각각의 이야기이자 잘 맞물린 세 편의 이야기로 직조된 이 소설은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혼을 빼놓는다. 시간을 달리한 이야기마다마다에 담금질된 사랑하는 이를 잃은 자의 슬픔이, 그것을 극복하려는 이들의 여정이 포르투갈의 높은 산을 향해 나아간다.

  살아남은 자의 애도의 방식은 다르지만 그들의 최후의 목적은 같다. 분노하는 토마스, 아내의 삶을 기억하려 이야기를 짓는 에우제비우, 침팬지와 교감을 나누는 피터가 살아간 시대, 1904년에도 1938년에도 1981년에도 같은 풍경을 가지고 있을 것만 같은 그곳, 포르투갈에서 그들은 어떤 운명을 맞닥뜨리게 될지 인생에 가득한 물음들을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시선으로 그리고 있다.

  

숙부가 모르는 것은 그가 뒤로 걷는 것이, 세상을 등지고, 신을 등지고 뒤로 걷는 것이 애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는 반발하면서 걷는다. 인생에서 소중한 모든 것을 빼앗긴 마당에, 반발 말고 달리 뭘 할 수 있겠는가?

 

  퀴블러 로스는 죽음 또는 애도의 과정을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단계로 이야기했다. 「1부 집을 잃다」를 담당하는 토마스는 일주일 사이 아버지와 아내와 아들의 죽음을 겪는다. 절망과 분노의 감정이 옹골차게 자리한 토마스의 신에 대한 분노가 이해된다. 고미술 학예사로서 17세기 고문서에서 발견한 십자고상의 소재지를 찾아 포르투갈의 높은 산으로 가는 토마스의 여정은 분노가 한점도 소멸되지 않는 여정이다. 신을 향한 복수로 발을 디딘 토마스가 작동법도 익히지 않은 신문물 자동차를 끌고서 1904년의 포르투갈을 누비는 모습은 혼란가득한 코믹을 연출하지만 한편으로는 재앙이다. 마치 정말로 그런 일이 일어난 것이 맞는지 현실인지 환상인지 구분짓지 못할 만큼 놀랍게도 토마스는 자동차로 금발머리 한 아이를 치고 마는 것이다. ‘의도와 상관없이, 나도 모르게 일어난 일에 불과’하다 여기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치부하며 토마스는 그곳을 떠나버린다. 신이 사랑하는 아이를 거둬감에 절망하고 복수를 맹세한 토마스의 행동에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게 된다. 그러니 환상이었던가 생각할 밖에.


애통은 질병이에요. 벌집을 쑤신 것마냥 슬픔의 마맛자국이 생겼고, 우린 열에 시달리고 타격에 무너졌어요. 그 병은 구더기처럼 우리를 초조하게 하고, 이처럼 달려들었죠―우린 미칠 정도로 몸을 긁어댔어요. 그 과정에서 귀뚜라미처럼 활력을 잃고 늙은 개처럼 기운이 빠졌어요.


  「2부 집으로」의 병리사 에우제비우 역시 아내의 죽음을 겪는다. 그에게 한해가 저물고 새해가 되는 시간 남편의 시신을 끌고 찾아온 여인은 “그이를 열어서 그가 어떻게 살았는지 말해주세요”라며 부검을 의뢰한다. 무엇이 죽음에 이르게 했는지가 아니라 살아온 그의 삶을 알려 달라는 이 말이 주는 울림이 숙연하다. 그의 아내와 같은 이름인 그녀, 마리아를 통해 에우제비우 역시 아내의 삶을 들여다본다. 그리고 질병처럼 부여잡고 있는 애통에 대한 의미 전환을 이룬다.


죽음을 어떻게 할 것인가? 살해 미스터리는 늘 마지막에 해결되며 의혹이 말끔히 해소돼요. 우리 삶에서 죽음도 그래야만 해요. 아무리 어려워도 죽음을 해결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맥락을 살펴야 해요.


  2부에서는 철학적인 논쟁들이 이어진다. 하지만 마리아의 남편 라파엘의 시신 속에 품고 있는 침팬지와 새끼 곰의 모습, 그 안으로 들어가 두 침팬지를 끌어안으며 “여기가 집”이라 외치는 마리아의 모습이 각인된다. 아들이 죽던 날, 뛰다시피 뒤로 걷던 애절과 비통으로 얼룩진 얼굴을 하고 있던 이방인처럼 뒤로 걸으며 살아온 라파엘의 뒤로 걷기는 분노였을까, 애도였을까. 마리아와 에우제비우가 이루는 애도의 방식은 타협의 방식이라 할 수 있을까,  죽음과 삶이 동일한 선상으로 이어지는.


삶을 돌아보는 것은 달콤 쌉싸름한 일이다. 그는 향수에 젖는다. 어떤 사진은 벅찬 기억들을 불러온다. 어느 날 저녁, 아기 벤을 안은 젊은 클래라의 사진을 보다가 피터는 울음이 터진다. 벤은 자그맣고 빨간, 주름투성이의 갓난아이다. 앙증맞은 손이 엄마의 새끼 손가락을 꽉 잡고 있다. 오도는 동요하지 않고 근심스럽게 피터를 바라본다. 침팬지가 사진첩을 내려놓고 그를 껴안는다.


  「3부 집」은 캐나다에서 시작한다. 40년을 함께 한 아내의 죽음 이후 슬픔에 빠진 피터는 모든 일들을 접고 가족도 친구도 두고 고향 포르투갈로 향한다. 그 여정의 동반자는 침팬지 오도다. 포르투갈의 높은 산을 향해 가는 동안 오도는 피터를 피터는 오도를 닮아가며 그들은 인간과 동물을 떠난 교감과 사랑을 이룬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은 ‘포르투갈의 높은 산’을 찾는다. 오도와 함께 하며 ‘현재의 순간을 사는 게 행복하다’는 것을 알아가는 피터의 삶이다.

  포르투갈의 높은 산, 그곳에 무엇이 있는지를 소설을 읽는 내내 알고 싶었다. 그곳에 닿으면 무엇을 볼 수 있을까. 그곳은 어떤 모습으로 있을까. 상실의 슬픔을 안고 있는 이들의 치유의 여정이 그곳에 닿았을 때 그들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그러나 일찍이 예상도 됨직하다. 많은 이야기들이 어떤 특정한 장소, 인물, 물건 등의 신비한 것을 찾기 위한 길을 떠날 때마다 그들이 깨닫는 것은 그것은 마음속에 있었다, 나의 집에 있었다로 결론지어진다는 것을. 무엇을 찾으러 가는 여정이, 그 길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모든 것, 그것 자체가 바로 찾고자 하는 것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