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당을 나온 암탉 (양장)
황선미 지음, 김환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삭제된 죽음
마당을 나온 암탉, 황선미, 2000-12-20.
작가가 방송에서 나오는 프로그램을 봤다. 이 책은 베스트셀러에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소설과 영화 모두 세계 여러 나라에도 번역·상영되었다. 해외 번역과 상영의 뒷얘기에서 소설의 결말이 삭제되었다는 사실을 접하고 마치 무슨 일이 벌어진 양 놀랐다.
이 책 첫 출간이 2000년이니 18년된 작품이다. 청둥오리 수명이 30년이라 하니 어린 초록머리가 중년을 지나고 있을 시기다. 2000년의 아이들에 비해 2010년의 아이들은, 2018년의 아이들이 특별히 동화의 결말을 감당하지 못할 것 같진 않은데, 독일에선 왜 그랬을까. 생각해보니 동화의 고전, 인어공주의 결말도 우리는 잘 감당하며 커 왔는데…
동화로서 이 책은 인어공주가 물거품 된 것만큼의 슬픔을 준다. 단지 결말만이 아니라 읽는 내내 단조의 느낌이다. 자연이란 것이 삶과 죽음을 당연한 것으로 정해놓았더라도 수없이 생각하고 겪게 되는 생과 사, 그러니만큼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아이들에게도 일찌감치 가르치고 있지 않은가. 아이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약하지 않기도 하다. 동화를 보며 아이들이 느끼는 자연스러운 슬픔이라는 감정,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왜 그랬을까.
이 책의 부제가 ‘꿈과 자유를 향한 여정'인 줄 몰랐다. 해외 번역본 제목도 이에 맞추었다. 그래서 ’꿈과 자유‘를 주제로 했을 때 그 결말은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을까. 폐계가 꾸는 꿈, 갇힌 공장식 닭장을 벗어나 마당으로 나가는 것에서 꿈꾸기 시작한 잎싹의 삶에서 죽음이 꿈과 자유를 이루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없건만, 실패라 할 수 없건만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마침표 이후 보여주지 않는 익숙한 동화의 결말로 끝맺음하려 했던 것인가 싶어 의아하다. 아니, 그림형제의 나라 아니던가. 각종 설화와 민담을 채록하며 잔혹한 부분을 수정한 그림형제였으니 독일은 그림형제가 되어 결말을 삭제했는지도 모르겠다. 그 결말이 그렇게 잔혹한 동화로 느껴졌을까.
작가는 “길들여진 오리는 자기 알을 품지 않는다.”라는 만화에서 본 문구에서 영감을 얻어 개인적인 경험을 덧대 이 작품을 썼다고 했다. 잎싹은 길들여진 자가 자기 알을 품는 것을 보여준다. 아니, 길들여진 자가 품는 꿈을 보여주고 있다. 어쩌면 길들여져 있었기에 꿈에 다가가는 여정은 더욱 힘들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렇게 하여 성취해가는 꿈이 얼마만한 희열을 가져다주는지를, 생을 더 아름답고 가치있게 느끼게 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때로 우리는 너무나 ‘죽음’에 대해 금기를 씌운다. 자연스럽게 그에 대해 생각하고 느낄 수 있게끔 하지 않은 채 피하고 보는. 죽음에 대해 우리는 길들여진 생각만을 갖게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많은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 잎싹의 죽음에 슬퍼하며 울었다고 했다. 자연스럽게 죽음을 인식할 수 있음에도 삭제된 죽음이 그것을 방해하는 것 같아서, 길들이는 것 같아서 책의 마지막을 오래도록 다시 읽어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