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정영목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6월
평점 :
오르막길로 전진하다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정영목, 2018.
한 나라의 정상이 갈라진 국경을 넘는 방법은 발자국 한번 떼면 되는 일이었고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일은 발자국 한번으로는 어려운 일이다.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는 세 번의 남북정상회담에서 뚜렷하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서로간 교류가 없이 흘러간다면 그 차이는 더더욱 커지며 의사소통을 위한 통역가와 전문번역가가 필요하게 될 지도 모른다. 육십여년의 단절은 반만년 역사의 언어를 갈라놓기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일지도 모르겠다. 언어가 국경을 넘는 일은 어렵고 더디게 흐른다. 여전히 우리 국경을 넘지 못한 언어가 있고 언제 올 지 기약도 없다.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은 정영목 번역가가 국경 너머의 글들을 불러낸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세계,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읽고 생각하고 느낀 세상에 대한 생각이 담겨 있다.
작가들과 작품세계는 책 뒷페이지 역자의 말에서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가와 작품세계에 관해 자세히 알려주었던 글을 생각나게 한다. 많은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했지만 저자에게 인상깊은 작가와 작품을 선별하여―필립 로스, 주제 사라마구, 헤밍웨이, 존 업다이크, 이창래, 알랭 드 보통, 오스카 와일드, 존 밴빌, 코맥 매카시, 윌리엄 트레버, 커트 보니것,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작가들의 생애와 글쓰기 특징들,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작가들과 그들의 평가, 저자 자신의 평가가 더해져 이들 작가들의 작품을 다시 읽고프게 만든다.
특히 낯설지 않으면서 낯선 작가 이창래의 이름을 보고선 더 그런 마음이 들었다. 오래 전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이 위안부의 삶을 다룬 글을 썼다는 기억이 되살아나면서 기억의 주인공이 바로 이창래 작가임을 알았다. 매해 노벨상 유력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는데 번역본으로 읽어야 하는 한국인이었던 작가. 저자는 인종은 한국인이지만 국적은 미국인이며 영어로 글쓰는 이 작가의 글을 번역하면서 느낀 소회를 이렇게 말한다.
억측인지는 몰라도, 우리나라 독자들은 이창래 같은 작가―영어를 사용하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를 다른 외국의 작가들보다 더 거북해하는 것 같다. 아주 얕은 수준에서 보자면, 미국 영화를 보다가 갑자기 한국과 관련된 사항―상황이든 등장인물이든 간판이든- 이 나왔을 때 받는 왠지 편치 않은 느낌(미국에 사는 한국인들은 다르게 느낄 수도 있지만)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번역된 ‘외국’ 소설에서 기대하는 상황과는 다른 상황이 벌어지는 것에 준비가 안 되어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설사 준비가 되어 있다 해도, 외국 언론에서 한국 상황을 보도하는 기사를 읽을 때처럼 그 묘한 객관성이 가지는 시원치 않은 느낌, 남이 머리를 감겨주는 것 같은 느낌에 대한 우려가 남을 수도 있겠다.
생각해보니 내가 이런 느낌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입술의 움직임과 말의 부조화로 20%는 생각을 곁으로 흘려보내며 보게 되는 더빙 영화처럼. 이제는 이런 기분을 멀리 던지고 이창래 작가의 책을 편케 읽을 수 있을까.
정영목 작가는 알랭 드 보통의 책을 번역하면서 보통의 까칠한 성격을 매끈한 성격으로 바꾸어 번역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토로한다. 번역을 하게 되면 그들의 음영을 그대로 드러내려고 노력한다고 하니, 나 또한 정역목 작가의 글이 자신의 음영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고 본다. 정영목 작가의 글을 읽다보면 이 분의 결이 섬세하고 부드럽게 느껴진다. 정갈하고 맑게 느껴진다. 그래서 작가에 대한 인상도 그렇다. 갑자기 정역목 작가의 책이 연달아 출간되었을 때 잠시 놀랐다. 어떤 신변의 변화가 있어서 책을 낸 것은 아닐까 싶어서였다. 그러니까, 어딘가 아프다거나 더 이상 번역일을 하지 않겠다거나 뭐 그런. 그것이 아닌 것을 알아서 편하게 책장을 넘기게 되었다. 인생의 한부분에 대한 정리이자 자신의 일에 더 전진하리라는 다짐이리라 생각하며 나도 ‘전진하다’가 자동사라 여기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세상을 겪을수록 개인에게든 집단에게든 전진이냐 퇴행이냐 하는 흐름의 결정은 평지가 아니라 비탈에서 이루어진다는 느낌이 든다. 전진이란 늘 비탈을 올라가는 행동이라는 뜻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이루어낸 모든 인간적 성취도 가파른 오르막길에서 함께 안간힘을 써서 밀어올린 것이어서 사실 그 자리에서 간신히 지탱하는 것만도 만만치 않은 일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전진하다’가 자동사라고 믿고 두 손을 내려놓는 순간 그간의 성취는 내리막길로 데굴데굴 굴러 내려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