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내리실 역은 용산참사역입니다 - 2009 용산참사 헌정문집 실천과 사람들 2
작가선언 6·9 지음 / 실천문학사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무너지게 세우고


지금 내리실 역은 용산참사역입니다, 작가선언 6·9, 200.


   비정한 나라에 무정한 세월이 흐른다.

   이 세월을 끝내야 한다.

   사람의 말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2009년 출간된 이 책을 2014년의 어느 날 들춰보다가 첫 페이지 이 단락에 너무 놀랐다. 처음에는 은유로 보았을 그 글귀가 다른 의미로 다가와서 더 아프게 다가왔다. 모든 것이 제대로 해결치 않았고 이제 진도 팽목항 분향소는 철거되고 경찰청 인권침해 진상조사위원회의 용산참사 조사 결과가 발표되자 그때 제기된 여러 문제들을 입닫고 있던 언론은 마치 처음 드러난 일인 양 정부가 한 일을 보도했고 책임자들은 여전히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비가 오고 바람이 불고 곳곳에서 건물이, 담이, 무너지고, 토사가 유실되고 또 곳곳에서는 건물을 세우겠다고 아우성이다. 무너지고 세우고, 무너지게 세우고….  


끊임없이 무엇인가 세워지는 곳에 사는 일은, 폐허에 사는 일보다, 더 고통스럽다.


  이 책은 192명의 문화예술인의 ‘용산참사’를 겪으며 기고한 작품 모음집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예술인들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철거민들의 어려움과 아픔, 용산참사에 희생된 이들에 대한 애도, 용산참사 사건을 일으킨 가해자들과 정의를 모르는 정권에 대한 분노와 비판 등이 시와 산문, 사진과 그림, 판화로 표출되고 있다.

  나희덕 시인의 「신정 6-1지구에서 용산 4지구까지」의 위 문장처럼 아파트공화국, 건물주의 나라에서 사는 일은 고통스럽다. 새소리를 들으려 하면 여지없이 들리는 망치질소리에 하늘을 보려 하면 여지없이 가려버리는 건물을 보며, 그럼에도 살 곳이 마땅치 않다는 것을 실감할 때면 말이다. 일년에 3일 자기도 힘든  123채를 가진 전직 검사는 여전히 집이 123채일까, 1234채일까. 가진 거라곤 집 한 채가 전부라는 죄인이 그 한 채의 집을 위해 얼마나 많은 이들의 가슴을 무너뜨렸는지, 그 집에 수많은 이들에게서 강탈한 것을 채워놓았는지 모르지 않는데 뻔뻔함을 세우고 있다.

  오랜 동안 이 나라가 정의와 행복을 세우는 일보다는 무너뜨리는데 힘쓰며 오로지 건물 세우기에 혈안이 되었는데도 여전히 건물을 세우는 일이 가능한 것을 보면, 무너뜨릴 것이 아직 많다는 이야기같다.

  한지혜 작가는 「누가 망루에 불을 붙였는가」라는 글에서 문예창작 전공 시절의 이야기를 적었다. 학기마다 써내는 글의 주제가 ‘철거’였다고. 그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았다고, “다 지나간 시대를 붙잡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했다. 현실을 외면 혹은 왜곡한 감상주의라는 비판까지 받았다는데, 나도 작가처럼 억울한 기분이 들었다.


알면서도 자꾸 눈물이 났다. 나는 하루 종일 강의실 복도에 앉아 울었다. 억울했다. 내가 쓴 글이 다 지나간 시대요, 왜곡된 감상이라니 방학 내내 쿵쿵 울리는 벽에 등을 기대고 있던 내가 다 허상같았다. 그리고 당황스러웠다. 무너지는 집에 앉아서도 무섭지 않았는데. 내가 처한 현실과 전혀 다른 동시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그들에게 내 현실의 고통이나 분노는 가상세계와 마찬가지일 수도 있는 사실을 깨닫자 비로소 두려웠다.


  그런 시대를 살아왔다. 지워지지 않을 시대의 일들이 묻히고 덮일까봐 걱정스럽다. 아직도 철거라는 게 현실에서 보이는 일인데, 그것이 ‘시대를 벗어난 이야기’라는 생각 자체가 현실을 왜곡한 감상주의라는 비판 자체가 얼마나 끔찍한 시대를 살았는지를 더욱 각인하게 한다.    

  비정한 나라에 무정한 세월이 흐른다. 이 세월을 끝내야 한다.

  용산참사의 일을 가해자와 언론이 모르쇠 하는 동안 사건의 진상조사도 처벌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그렇게 비정한 나라가 계속되어 세월이, 되었다. 많은 것이 감춰지는 나라에서 그것을 들추어 소리높이던 이들도 블랙속으로 들어가야 했다. 달라질 세상에 기대와 희망을 가졌지만 모르쇠의 무리들은 그들의 세를 쌓아올리며 승자의 기록이라고 외치고 있다. 백무산 작가의 말처럼 ‘승자의 담론 개발윤리’로 이 세상을 일구고 일궈온 이들이 그동안 ‘무너지게 세운 것‘이 나올 때마다 달라질 세상을 보기 위해선 더 달려야 함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