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 - 22명의 사회복지사들이 솔직하게 털어놓은 사회복지사의 세계 ㅣ 부키 전문직 리포트 17
김세진 외 지음 / 부키 / 2013년 4월
평점 :
마인드페이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
22명의 사회복지사들이 솔직하게 털어놓은 사회복지사의 세계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는 22명의 사회복지사들의 자신의 업무 이야기를 전한다. 그저 힘들고 어려운 사람을 돕는 일이 사회복지사라고 생각하겠지만 사회복지사라고 통칭되는 이들의 활동 영역은 무수히 많다. 그 대상자만 하더라도 노인, 청소년, 아동, 장애인, 청소년 등등으로 나뉘고 각각을 담당하는 복지관과 센터, 병원, 학교, 조합, 시민 단체 등등 활동기관은 무수하다. 사이버 시대이니만큼 사이버 공간에서도 복지 업무가 이뤄진다. 이 책에서는 실제 활동하는 영역에서의 일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기에 사회복지사의 업무의 영역이 이렇게 천차만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는 사람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그 이해의 출발은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의 갈등, 직원과의 갈등 속에는 항상 감추어진 내가 있다. 스스로에 대한 성찰 없이 사회복지의 길을 간다는 것이 ‘허망’하기까지 한 일이다.
글쎄, 어떤 직업이든 직업을 선택할 땐 자신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한다. 갈등이란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니까. 하지만 ‘사회복지’ 업무에서는 이런 염려 외에도 많은 염려가 붙는다. 단순히 업무와 관련된 ‘자격증’을 갖춘 것과는 별개로 어디서든 요구하는 직장인으로서의 자세, 마음가짐을 빼고서도 ‘사회복지’를 업무로 하는 사람에게 요구되는 것이 있다. 실제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의 이념과 사회복지사의 의무를 제정한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이 있다. 이런 윤리강령을 성실히 지키고 모든 자세를 갖추고 업무에 임하는데도 사회복지사를 힘들게 하는 것은 뭘까.
출근한지 2개월쯤 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투신 뉴스를 접한 지 열흘쯤 지났다. 근무환경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투신과 업무 관련성에 대한 감사가 아직 진행 중인지 이후의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사망한 줄 알았는데 기사를 보니 중태인 모양이다. 쾌유를 빈다.
많은 청춘들이 어려운 취업관문으로 힘들어 하고, 공무원 준비에 매달리고 있기도 하다. 공무원과 취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그는 다른 이들에겐 꿈을 이룬 성공한 사람이다. 이제 출근한지 두달, 힘들고 어렵기도 하겠지만 아직은 취업성공에 대한 기쁨이 더 크지 않을까 싶은데 직장생활에서의 힘겨움을 토로하며 투신한 소식에 많은 이들이 충격받았다. 이제 막 직장생활을 하면서 맞닥뜨리게 되는 당연한 업무와 인간관계의 어려움이 있을텐데 조금 더 참아볼 것이지 하는 안타까움도 들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가 남긴 메모에 대다수의 사회복지사가 수긍하고 있다는 얘기가 그냥 지나쳐지지 않는다.
'지옥 같은 출근길' '사람마다 속도의 차이는 있는데 냉정한 사회는 받아들여주질 않는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인권보장이 시급하다'는 메모. 이로 인해 ’사회복지사‘의 업무가 또다시 이슈가 되었다. 사회복지사의 열악한 업무환경에 대해선 오래도록 지속되어 온 이야기다. 열악한 노동환경에 비해 사회복지사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사회복지사에게 부과하는 ’이미지‘다. 어떤 경우라도 남을 돕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그런 것쯤은 감수해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대단한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도 마찬가지다.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한 선하고 착한 일을 하는 훌륭한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고착되어 힘들고 어려운 일을 참고 견디는 것이 당연하다는 은근한 강요가 있다. 그것이 사회복지사들을 힘들게 하는 요인이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민간 사회복지사에 비해서 처우가 높기에 사회복지공무원 선발이 있을 때면 민간에서의 대규모 이직이 발생하곤 했다. 하지만 사회복지공무원의 자살 소식은 끊이지 않았다. 처우가 좋다는 사회복지공무원이 과중한 업무와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자살할 정도라면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은 상황은 어떠하단 말인가. 어느 직업에선들 인권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겠냐만은 유독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인권’이라는 말이 계속 붙어 있음은 의미심장하다. 그만큼 잘 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 있지 않을까. 사회복지대상자들의 인권을 보장하는 업무를 맡고 있는 사회복지사들 자체의 인권이 침해받고 있다면 건강하게 그들이 보호하고 보장해야 할 대상자들의 인권을 챙길 수 있을까.
책에서 사회복지사들은 지금의 업무를 맡기까지 어려움과 스트레스가 있었음을 얘기한다. 자신에게 맞는 활동영역을 찾고서도 업무에서의 힘겨움은 줄지 않는다. 사람을 상대로 하는 일이다보니 그와 얽힌 갈등관계도 담겨 있고 감동과 희열의 순간에 관한 이야기도 담겨 있다. 사회복지에 관해서는 이 후자에서 오는 카타르시스를 더 중시여기는 듯하다. 물론 모든 갈등관계를 풀고 사회복지대상자들의 변화된 모습을 이끌어내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기적과도 같은 기분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가지는 것을 보상처럼 여기며 그 앞의 모든 힘들 과정이나 상황에 대해서 제대로 보려 하지 않는다. 결과만을 따져서는 안되는 것이 또한 사회복지 영역 아닌가. 그런 점에서 사회복지가 현실과 이상이라는 괴리에서 ‘이상’을 추구하며 그것에 가치를 두면서 ‘현실’에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외면하고 있는 듯하다. 열정페이처럼 사회복지사들의 마인드를 강요하며 이상을 추구하자는 한마디 말로 현실적인 힘겨움을 부족한 마인드와 자세 때문이라 치부하는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