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아주 먼 섬
정미경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잃어버린.

당신의 아주 먼 섬, 정미경, 문학동네, 2018.


  정미경 작가의 소설은 대체로 도회적인 느낌이 그윽했기에 『당신의 아주 먼 섬』의 다른 느낌에 사뭇 서글펐다. 작가의 마지막 소설인지 알 수 없지만, 어쨌든 유작이니까. 남편이 아내가 떠난 빈방에서 찾아 책으로 펴냈다. 어쩌면 더 수정되었을지도 모를 원고는 발견된 순간의 글로 출판되었고 이전과는 너무 다른 느낌이라서 이것이 병마의 작가에게 생긴 시선의 변화인가 싶기도 했다. 먼 섬의 풍경은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채워진다. 이 세상에 없는 작가의 이미지는 작가가 마지막 남긴 글로 채워진다.

  섬은 계절을 품고 깨끗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가진 곳으로 그려졌다가 점점 뉴스에 등장하는 일들이 많아지면서 좀처럼 아름다움이 되살아나지 않기도 했다. 특히나 염전이 가득한 섬이라면 노예와 성폭력 사건이 먼저 자리잡아 버려서, ‘섬’을 잃어버린 기분이다. 당신의 아주 먼 섬이 아니라면 다시 섬의 이미지를 되돌릴 수 있었을까. 사람들은 그 섬에서 떠나고 싶어하지만 늘 상처를 받거나 삶의 실패를 경험하고 나면 다시금 섬을 찾는다. 그때 그들이 섬을 찾는 것은 위로와 치유를 위한 걸음이었을까, 도피를 위한 것일까. 떠난 사람들이 되돌아오지 않았다면 여기, 이 섬은 어떤 이야기를 품으며 섬의 이미지를 만들어 갔을까. 영도. 영도로 기록하고 영도가 기록하는 세계로 그려졌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섬은 영도를 걷어내고서야 다른 이미지를 갖는다.

  시력을 잃어가는 정모, 청각을 잃은 판도, 친구를 잃은 이우. 아들 셋을 모두 바다에 잃은 이삐 할미. 이들은 ‘잃어’버렸기에 상실의 감정에서 헤어나오지 못해도 그 감정을 서로에게 토로하면서 위로를 받는다. 정모는 세상을 볼 수 없는 감각을, 죽음을, 그 불가해한 세계를 잊기 위해서 섬의 소금 창고에 도서관을 꾸미는데 열심이다. 이우와 판도는 정모가 만든 그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풍경을 읽고 마음을 읽는다.  


판도는 잠시 생각하더니 이우의 손바닥에 썼다.

알, 았, 는, 데, 묻, 는, 순, 간, 잃, 어, 버, 렸, 어.

이번엔 이우가 판도 손바닥을 펼쳤다.

잊. 어.

판도는 고개를 가로젓고는 다시 썼다.

잃, 어.


  이 소설에선 ‘슬픔이라는 그릇에 담긴 따뜻함’이 느껴진다. 마음에 두었던 연수의 딸 이우를 돌보게 된 정모가 제 시력 상실에 대해 얘기하게 되는 사람이 이우이게 되는 것도 그 둘 사이의 유대가 있었기에 이뤄질 수 있다. 누군가에게 간절히 말하고 싶었을 자신의 상태를 이야기하면서 어른 정모가 느끼는 이 감정이 소설속 전반에 깊게 깔려 있다. 서러운 가운데 슬픈 가운데 아픈 가운데 타인으로부터 받는 따뜻함이 ‘태양과 바람, 밀물과 썰물의 틈새에서 고운 결을 만든다.’ 아니 애당초 이들 자체가 고운결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들의 결이 상처를 걷어내고 다시, 생과 마주할 힘을 얻어가는 것. 그것은 그들이 서로에게 내미는 슬픔에 깃든 따스한 말들과 표정과 진심어린 애정에 힘입어서다.

  그런 결을 잃어버린 이우의 엄마 연수는 섬을 떠나 성공적인 일에 집착하고 힘겨운 딸을 고향의 정모에게 보내지만 이우가 가진 슬픔과 아픔보다 ‘보여지는 것’에 집착한다. 결국 열아홉살 임신한 이우를 보기 위해 섬으로 오지만 딸과의 갈등만 확인하며 쫓기듯 떠나가게 되는 연수다. 정모에게 소금창고를 빌려준 태원의 아버지 영도 역시 그러한 존재다. 단지 영도는 섬을 떠나지 않고 섬에 머무르며 섬을 장악한다. 오로지 수익에 집착하는 영도는 다 꾸려진 도서관을 못마땅해하며 도서관 사업을 저지하려 한다. 부를 쌓기 위해 타고난 교활함과 타고난 사악함을 가진 영도라는 인물이 사람들과의 관계나 섬의 아름다움이 아니라 섬을 일구어가는 방식이 섬의 모습이 된다. 그가 가진 섬에서의 영향력이 섬을 좌지우지한다. 연수와 영도가 섬에서 목소리를 높이는 순간마다 섬은 따스한 온기를 잃고 비극적이고 불쾌한 기운들이 솟아오른다. 그들이 가진 결이 섬을 장악하지 않으려면 그들은, 사라져야 한다.

   

“아저씨, 내가 올게. 당장은 아니어도, 돌아와서 책을 읽어줄게.”


  그리고 고운결을 가진 이들이 남아, 고운결을 갖고픈 이들이 찾아와 섬을 새롭게 만들어 가야 한다. 그렇게 섬의 풍경이 가슴에 남는다.


누군가 거대한 입을 벌리고 검은 구름을 토해내는 것 같다. 그 틈 사이로 붉은빛이 날카롭게 빛났다. 어디선가 커다란 나무이파리가 휙휙 날아왔다. 창고 지붕들이 들썩거렸다. 갯벌의 풀들이 바닥을 쓸 듯 엎드렸다가 가볍게 일어나곤 했다. 바람의 머리카락이 보이는 것 같았다. 갯둑에 서 있는데 몸이 주춤주춤 뒤로 밀려났다. 입고 있는 옷이 파닥파닥 소리를 내며 나부꼈다. 바다가 하얗게 일어섰다. 내가, 마지막으로 담아두고 싶은 풍경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