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편한 미술관 - 그림 속에 숨은 인권 이야기
김태권 지음 / 창비 / 2018년 1월
평점 :
배려사회
불편한 미술관-그림 속에 숨은 인권 이야기, 김태권, 창비, 2018-01-08.
오늘 하루도 인터넷 포털 실시간 검색어와 상위에 랭크되는 기사는 온통 부정적인 내용 일색이다. 몰카 유출 사건이 세 건이나 되고 성폭력과 폭력과 살인은 빠짐없이 일어나고 있는데다 폭력과 살인의 이유는 너무나 어이없어서 할말을 잊게 한다. 더구나 코미디를 넘어선 짜증나는 정치권 의원, 경쟁이라도 벌이듯 다양한 갑질 레파토리를 내보내는 재력가들의 기사가 체한듯 속을 답답하게 한다. 그 와중에 체증이 내려갈 듯 긍정적인 기사 하나가 눈에 띈다. ‘배려’다.
대통령의 배려. 업무를 위한 이동임에도 교통통제로 출퇴근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으려 야간 헬기 이동을 했다는 기사다. 벌써 대통령 선거를 한지 1년이 지났다는 사실이 새삼스럽다. 정권으로부터 ‘시민들을 위한 배려’로 정권의 불편함을 감수하는 일을 본 적이 있었던가. 무엇보다 이런 일화를 종종 접했기에 일회성이 아니라 진정성과 지속성이 있음을 믿게 된다. 그동안 도넘은 ‘권위주의’에 매몰되었던 권력자들로 인해 국민이 존중받고 배려받아야 할 존재라는 당연함이 무너진 세상에서 살았다. 대통령의 역할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된다. ‘배려’라는 메시지가 얼마나 필요했는지, 필요한지 생각하게 된다.
착하다거나 나쁘다거나 흑백논리를 들이대봤자 의미가 없다는 것이 정답이다. 요즘 우리 주위에서 마주치는 인권의 문제는 선과 악의 대립보다 ‘배려하는 생활’ 대 ‘무신경한 태도’라는 구도로 보아야 할 때가 많다. 어떤 의미에서는 앎과 모름의 문제이기도 하다. 특히 혐오표현의 경우가 그러한데, 어떤 말이 상처를 주는지 미리 알면 가해자가 되지 않지만 잘 모르고 있다가는 가해자가 되기 십상이다.
『불편한 미술관』은 그림을 통해 보는 ‘인권’이야기다. 저자의 말처럼 인권에 대한 문제는 배려하지 않음에서 일어난다. 물론 선악이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 볼 수 없다. 하지만 절대 악이 아니라 무신경함으로 모름으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면 정말 심각하지 않은가. 작가는 이것이야말로 ‘잠재적 가해자’가 될 수 있는 것이라 말한다.
우리가 알아야 하지만 간과하는 기본적인 인권과 명확하게 답하기 어려운 인권 문제를 그림으로 풀어가고 있어서 이미지에 힘입어 강렬하게 다가온다. 미술책에서 본 고대 그리스의 그림과 조각들,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의 그림을 넘나들며 시대를 뛰어넘어 여성, 장애인, 인종, 성소수자, 이주민, 빈곤인 차별에 관해 이야기하고 표현과 신앙의 자유에 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지나친 미화 역시 일종의 차별”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인간으로 대하지 않고 대상화”하는 것이다. 타히티 섬에서 신비로운 원주민의 생활을 강렬하게 그린 화가로 평가받는 고갱, 그는 식민지 여성을 대상화한 그림을 그림으로써 같은 화가들에게도 욕을 먹었다 한다. 고갱처럼 그림 속에서 여성, 장애인, 노인, 흑인 등은 늘 과도하게 희화화하거나 미화되었다. 같은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이렇게 타자화, 대상화되었다. 고통받는 이들의 상황을 즐기며 간음의 시선으로 여성을 보는 그림들. 이런 시선들이 고착화되어 점점 ‘혐오’로 번져간다. 그런 시선을 두는 것을 당연시한다.
오늘날 우리 사회 인생의 세 단계를 그리면 어떻게 될까. 친구가 이렇게 농담을 했다. “할아버지는 ‘태극기집회’, 아버지는 ‘깨시민’, 아들은 ‘일베’.” 섬뜩한 느낌이 들어 나는 웃지 못했다. 정치적 지향의 문제가 아니다. 세대 사이 적대감이 문제다. 아들이 일베를 하고 할아버지가 태극기집회를 나가는 이유는 어쩌면 아버지가 깨시민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서로가 너무 싫은 나머지, 서로가 더 싫어할 일만 골라서 하는 모습이 낯설지 않다.
나도 이 말에서 끔찍함을 느꼈다. 하지만 낯설지 않은 장면이다. 우리 사회에 가족들 간에도 ‘배려’가 무너지고 있는 사실은 경쟁사회의 교육이 만든 비극이다. 차별을 당연하게 가르친 결과다. 같은 단지임에도 임대 아파트 주민은 놀이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적은 평수, 임대 아파트에 사는 아이들과는 ‘어울리지 말라’고 가르치는 어른들이 ‘배려’라고 가르칠까. 배려를 몸소 보여주었을까. 본 적 없는 ‘배려’를 통해 우리가 배울 것은 없다. 그러니 새삼 작은 ‘배려’ 하나하나가 주는 놀라움이 크다.
난무하는 불편한 기사가 많은데 이제는 하다하다 그림을 보면서까지 불편해 해야 하느냐 할지도 모르겠지만 나도 모르게 길러지는 ‘시선’을 통해 우리는 불편함을 불편하지 않음으로 인식할 것이다. 제 권리만 주장하며 타인의 권리는 간과하는 이기심은 그렇게 길러진, 그렇게 살아가야 한다는 세상이 만든 비극이다. 이제 우리는 타인을 배려하는 사회를 만들어가야 하지 않은가. 배려가 난무하는 세상이라 끔찍한 기사가 나올 틈이 없는 세상을 보고프다면 익숙하게, 뿌리박힌 타인에 대한 ‘타자화’의 시선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사사건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트집’이기도 하지만 인권에 관한한 예민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언제나 작은 불편함이 큰 변화의 시작이었다.” 무엇이 불편함인지 느끼며 그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배려의 사회’가 되기를 불편한 미술관에 들렀다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