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제리의 유령들 - 제23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황여정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의 기억

알제리의 유령들, 황여정, 문학동네.


  마르크스가 독일 화폐 모델이 되었다. 통용되기 위해선 가격이 있어야 하지만 0유로. 자본과 적대적이었던 마르크스를 충실히 대변하는 기념 지폐다. 이 세상에서 참 불편한 이름의 대표격이기도 한 마르크스의 얼굴이 10만원권 지폐에 그려진다면 마르크스에게 가지는 불편한 시선들이 거두어질까 궁금해진다. 안타깝게도 마르크스가 한국 지폐 모델이 될 리가 없다. 특정 정당이 거품 무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어쨌든 마르크스는 수많은 이들의 경외의 대상이기도 하면서 삶을 힘겹게 만든 탁월한 존재였다. 히틀러와는 차원이 다른 형태이긴 하지만 어떤 나라에서는 현재진행형이면서 히틀러급으로 반응하기도 하다. 그리고 소설『알제리의 유령들』에서도 사람들을 힘겨운 삶으로 이끄는 존재감을 보여준다. 연애소설처럼 그려진 징과 율의 이야기가 어떻게 마르크스에게 가 닿는가. 가볍게 단문으로 쳐내는 글들은 마르크스가 지닌 존재감처럼 묵직한 이야기를 전한다. 과연 이 이야기를 믿어도 좋은가, 정신없이 휘몰아치는 연극이 끝난다. 마르크스가 쓴 유일한 희곡의 막이 오른다.

  시공간을 넘나드는 이야기는 유령을 마주한 듯 꿈인지 생시인지 헷갈린다. 몇 번이나 반복재생된 희곡 <알제리의 유령들>이 마르크스 저작이란 이름을 달고서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도드라지게 드러난다. 아니, 마르크스란 이름만 보면 부르르 떠는 권력이 존재하는 건가. 시절의 음률을 함께 나눈 관계들이 고통받고 상처받으며 서로에게 파괴된 음들을 던진다.


시대는 운명을 다한 것들을 돌아보지 않는다. 흔적을 추슬러 그것들을 잊지 않게 만드는 건 언제나 몇몇의 개인들이며, 그들조차도 기력이 다할 때가 온다. 비단 연극판의 일만은 아닐 것이었다. 그것이 현실이라고, 현실은 나를 가르치고 있었다. 그래도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기적인지도 몰랐다. 그러나 기적을 만드는 건 언제나 사람이며, 그래서 결국엔 헷갈리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는, 사회주의는 운명을 다했나. 다해가는가. 세계 어느 나라에서보다도 더욱 민감하게 이 단어들에 반응하는 나라로 대한민국만한 데가 있을까. 대학생들의 연극적 상상력이 만든 연극을 놓고 진실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권력이 원하는 이념의 잣대로 존엄을 말살하고 생명을 파괴하던 시대는 소멸되었나. 새로운 흐름들이 분명 이어지고 있으니 달뜨는 마음이야 당연하지만 좀처럼 편하게 받아들이기엔 여전한 이념용 말들이 곳곳에서 난동을 부리는 것도 듣고 있어야 한다. 종북과 좌파라는 단어만 붙이면 진실은 상관없는 이들이 있으니 세상은 얼마나 살기 좋은가. 진실에 눈감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고 사는 이들의 세상은 얼마나 좋으려나.


모든 이야기에는 사실과 거짓이 섞여 있네. 같은 장소에서 같은 걸 보고 들어도 각자에게 들어보면 다들 다른 이야기를 하지. 내가 보고 듣고 겪은 일도 어떤 땐 사실이 아닐 때도 있어. 사실인지 아닌지 모른 채 겪었거나 잘못 기억하고 있거나. 거짓이 사실이 되는 경우도 있지. 누군가 그걸 사실로 믿을 때. 속았을 수도 있고 그냥 믿었을 수도 있고 속아준 것일 수도 있고 속고 싶었을 수도 있고. 한마디로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애초에 자네가 판단할 수 없는 문제라는 거야. 그렇다면 애초에 판단할 수 없는 문제이니 판단을 안 할 건가?


  실제인지 허구인지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거짓인지를 헤아리는 동안 거짓이 진실을 파괴하고 진실이 필요치 않은 형태를 만들기도 한다는 것을 소설은 보여준다. 진실을 향해 나아가는 것도 사람 진실에 상관없이 구는 것도 사람. 그리하여 어떤 식으로든 상처를 받으며 살아가는 것은 사람. 그 잔인하고 처절한 유린에 유령처럼 생을 배회하는 일들은 한번으로 끝나지 않는다. 다음 세대에게도 이어져 생에 긴 파국을 남기고 쓸쓸함을 남긴다.


기억으로 인해 사람은 자신의 모든 것이 변해도 계속해서 자기를 일관된 자기로 느낄 수 있고, 따라서 인간의 가장 큰 피로감은 바로 그 자기감에서 벗어날 도리가 없는 데서 오기 때문에. 그러므로 그들은 알제리에 갇힌 것이 아니라 자기라는 폐쇄된 시간 속에서 빠져나온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자유는 아니었다. 자유는 역설적이게도 다시 그 시간 속으로 들어가야 얻어질 수 있는 것, 자기가 이전의 자기와는 전혀 무관한 자기로 존재했던 기억을 가지고 다시 이전의 자기로 합류할 때 비로소 자기와 비자기에 폐쇄되었던 자기가 자기이기도 하고 자기가 아니기도 한 자기가 될 수 있고, 그때 경험되는 것이 자유였다.


  부모들이 겪은 일들로 어릴 적부터 잘 지내온 징과 율이 오랜 시간을 서로 그리움을 간직한 채 서로에게서 멀찍이 떨어져 있는 것이 회복되지 않은 상처의 지속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해도 그토록 세상을 서로를 배회하고만 있는 것은 물음을 갖게 했지만 생이란 언제나 예측할 수 없는 것이니까. 부모들처럼 징과 율은 자기라는 폐쇄된 시간 속에서 빠져나오기 위한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인지도. 시대가 겪은 기억이 세대에게 전해질 때에 그것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무한한 시간이 필요한 것인지도. 종북과 좌파라는 두 단어로 진실과 거짓에 공간에 빠지는 이들이 다음 세대들의 자유를 왜곡시키고 말살시킬 때마다 청춘의 세대들의 정신이 회복되는데 무한한 시간이 필요로 된다는 아는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