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소문…?
언어의 온도-말과 글에는 나름의 따뜻함과 차가움이 있다,
이기주, 말글터, 2016년 8월.
작년 봄이었던가. 선물을 받았는데 1년이 지나도록 읽지 못했다. 책이란 소유하게 되면 어쩐 일인지 최대한도로 늦게 읽으려는 의지가 발동하는 것 같다. 어쩌면 뭔가 손이 가지 않은 이유가 은연중에 있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매번 이 책이 베스트셀러라는 광고를 마주하기도 했는데 얼른 읽을 생각을 하지 못한 이유가. 분명 그때에는 제목에 끌렸고 책을 감싼 보랏빛 디자인에 끌렸고 읽고픈 감정을 가졌다. 이 정도 페이지의 에세이는 한시간이면 읽게 되는 점을 고려하면 일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이 책을 위한 그 한시간의 짬을 내지 못했다는 건 이상한 일이다.
일년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 에세이류를 넘어서서도 베스트셀러가 된 이 책을 이제는 ‘나도 읽었다’에 동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입소문으로 만든 베스트셀러’라는 문구를 오래도록 바라보고 있다. 100만부를 돌파한 책이니 당연히 부럽지만 나는 또한 베스트셀러와 나의 궁합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된다. 사람들은 좋다고 하는데, 나는 왜 아닌가. 나의 시선은 감정은 도대체 무얼까. 거기에 더해 도대체 ‘입소문’의 주체가 누구인지가 궁금해졌다. 희한하게도 책을 읽었다는 내 주위의 절대가 ‘좋지 않았다’라고 얘기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들과 먼저 이야기했더라면 나는 이 책을 읽지 않았을까. 아니면 어쨌든 베스트셀러라니 사람들의 소문으로 이룬 힘이니 그 힘이 궁금해 읽었을까.
책을 읽고 난 후에 책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으니 그들의 관점은 내게 적용되지 않았다. 그러니 전반적으로 이 책에 대한 감상을 이야기했고 다른 이들의 감상을 들었고 좀더 깊이 들어가 작가에 대한 이야기와 뒷담화와도 같은 이야기들을 나눴다.
내가 이 책을 읽고 처음 느낀 감정은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거였다. 정확히는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았다. 어떤 책이든 개인의 취향을 타겠지만 에세이는 저자의 생각과 실생활모습이 은근히 드러난다. 에세이가 주는 이야기들과 문장들이 감정을 더하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그 이야기의 끌림은 글을 읽고 난 후 절실하게 다가오는 진정성의 힘 아닐까. 알지도 못하는 저자의 글에서 뭔가 모르게 진솔하고 정겨운 기분이 아니라 한뜻 꾸며낸 듯한 기교가 느껴졌다. 자연스럽게 빨려들어가지지 않고 자꾸만 멀찍이 떨어져서 이야기를 듣고 있는 나를 느꼈다. 다른 이들과 이 책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기 전까진 베스트셀러에 대한 나의 옹졸한 질투인가 생각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난 꿋꿋하게 맘에 들진 않았다라고 말했고 다른 이들이 전해준 어떤 입소문에 대해 들었다. 작가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고 어쩌면 홍보라고 할 수 있는 방법들에 관한 것도 있었다. 정치적 성향에 관한 것이야 따질 일은 아니지만 닐로의 차트 석권, 국정원과 드루킹의 매크로 조작 등을 보면서 ‘언어의 온도’를 생각했다. ‘입소문이 만든 베스트셀러’. 나는 언어의 온도에 관한 입소문을 들은 적이 있는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이야기들을 나누면서 내가 책을 읽고 느낀 감정을 같이 느낀 이들이 있다는 것만으로 위로가 되었다. 내가 옹졸하게 베스트셀러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비판적인 시각을 보내려는 힘을 작동시키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어 안심했다.
사람들의 취향이 다를 수 있음을 알면서도 가끔은 이렇게 소심해진다. 많은 이들이 좋아한 책이나 영화가 내 취향이 아닐 때면 말이다. 그러다가 취향 별나다는 소리를 듣게 되면 굳이 기껍지도 않고 말이다. 더해서, 나는 좋다 좋다 하는데 그 좋음을 알리고 싶은데 뭔가 조~용할 때도 기꺼울리 없다. 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이가 없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