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문어가 뜬금없이 전화해 나한테 시를 어찌 읽느냐고 물었다. 국문과 석사 과정에 있는 그는 수용자론 같은 수업에 과제를 내야 했던 것 같았다. 시를 어찌 읽느냐,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나는 시를 길을 거니는 마음으로 읽는 것 같다. 그 길에서 내게 오는 모든 것들을 내가 좋아할 필요도 없고 이해할 필요도 없지만, 어쩌다 예쁜 꽃을 만나면 잠시 앉아 오래 머무는 그런 마음. 시 하나가 될 수도 있고, 단어 하나가 될 수도 있고, 문장이 될 수도 있다. 마음의 주파수가 맞는 시를 찾아 시집을 넘기다가 보물 같은 시를 발견하면 천천히 읽어보기도 하고, 소리내어 읽어보기도 하고, 때론 옮겨 적기도 하고.
요즘은 어려운 시 앞에서 고군분투하는 마음으로 잘 싸우거나 하지 않는다. 지금의 내 마음보다 어쩌면 더 예민한 감정으로 썼을, 혹은 나보다 더 삶을 오래 살았을, 시인의 내밀한 마음의 구석까지 내가 모두 알 수 있을 거라 생각하는 건 욕심이라는 걸 알았다. 때론 도무지 이해할 수 없음,을 쿨하게 좋아하는 선에서 그치기도 했다. 가끔은 한 편의 시도 이해되지 않는 삶이 부러운 적도 있었다. 나는 딱 지금의 나, 만큼의 시를 읽고, 이해하고, 좋아한다.
살면서, 삶의 층이 늘어나면서, 그것들이 자꾸만 늘어가고 있다.
그냥, 오늘은 이 시. 언젠가 적었던 것 같기도 하고.
술을
김수영
취해도 쉽게 제 마음을 드러내지 못하는 우리는
오랫만이라며 서로 눈빛을 던지지만
어느새 슬그머니 비어버린 자리들을 세며
서로들 식어가는 것이 보인다
가슴 밑바닥에서 부서지는 파도
저마다 물결 속으로 떠내려가는 것을 느낀다
오갈 데 없는 사람들 사이의 한 섬,
그 속에 갇힌 한 사람을 생각한다
외로움보다 더 가파른 절벽은 없지
살다보면 엉망으로 취해 아무 어깨나 기대
소리 내서 울고 싶은 그런 저녁이 있다
어디든 흘러가고 싶은 마음이 발치에서
물거품으로 부서져가는 것을 본다
점점 어두워오는 바다로 가는 물결
무슨 그리움이 저 허공 뒤에 숨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