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읽는 라이트노벨은?

라이트 노벨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장르다. 그러나 몇 년 동안 대원에서 NT노벨이라는 브랜드로 일본 라이트 노벨을 소개한 결과, 상당한 독자층이 만들어졌다. 이후, 라이트 노벨을 창작하기를 원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또 국내 작가가 쓴 라이트 노벨을 원하는 사람도 늘어났다. 이런 와중에 국내 라이트 노벨 출간을 최초로 시도하는 출판사가 바로 디앤씨미디어다. 이미 파피루스라는 판타지 소설 브랜드를 가지고 대여점 시장에 출간중인데 이번에는 시드노벨(http://seednovel.com/ )이라는 브랜드로 국내 작가의 라이트 노벨을 준비 중에 있다. 그 첫 모습이 7월 25일에 나타날 예정이다. 총 세 명의 작가의 신작이 등장하는데, 내가 예약한 책은 바로 이 책, 『미얄의 추천』뿐이다. 판타지 소설 연재 사이트인 드림워커(http://drwk.com/ )에서 연재 중인 『갑각나비』는 온라인상에서 이미 유명한 작품이다. 독특한 분위기, 실험적인 구성 등으로 기존의 판타지 소설들과는 차별화된 매력을 선보였고 아직 한 권의 책도 출간하지 않았는데 상당한 독자를 갖고 있다. 다른 두 작가의 책. 임달영의 『유령왕』과 반재원의 『초인동맹에 어서오세요』는 기대가 되지 않아서 구입을 미루었다. 오트슨은 『갑각나비』를 통해 기대감을 가져오던 작가고, 출간되면 무조건 사보려고 했다. 첫 출간작이 『갑각나비』가 아닌 신작이라는 점은 놀랐지만, 아무튼 기대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임달영의 작품은 『안티테제』만 읽었지만 그걸로 충분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다. 작가가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는 케이스도 아니고, 가장 최고치의 작품 중 하나를 이미 읽었으므로 더 이상 다른 작품이 기대가 되지 않는 것이다.(『안티테제』는 90년대 후반에 PC통신 나우누리에서 연재된 작품이지만, 훌륭한 라이트 노벨이라고 봐도 손색이 없었던 작품으로 기억한다.) 반재원 작가의 작품은 읽어본 적이 없지만,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져본 적도 없다. 그래서 소재가 끌리는 것도 아니고 해서 일단은 구입하지 않았다.
  앞으로 학산문화사에서도 국내 작가의 라이트 노벨이 나올 예정인 것 같고, 대원씨아이에서도 이번에 아키타입(Arche-Type)이라는 브랜드로 런칭을 시작했다. 『다크문』, 『하얀 늑대들』의 작가인 윤현승의 신작 『뫼신사냥꾼』(신작이라지만, 예전에 출판되었던 흑호의 리메이크작이다.)과 『비뢰도』의 작가 목정균의 신작인 『머메이드 사가』등의 작품이 대기중이다.(8월 7일 출간 예정이라고 한다.)
  일본 라이트 노벨은 이미 그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은 작품만이 국내에 들어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 라이트 노벨은 이제 시작이다. 앞으로 국내 라이트 노벨 독자들을 만족시켜줄 다양한 작품들이 쏟아져 나올지, 아니면 현재 대여점 시장을 점령한 양산형 판타지처럼 외면을 받을지. 7월 25일 한국 라이트 노벨이 시작될 것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7-20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이트 노벨이라는 단어를 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저도 책 나오면 서점에 가서 한번 봐야겠네요.

twinpix 2007-07-20 16:14   좋아요 0 | URL
일본에서 선별되어 온 라이트 노벨 중에는 좋은 작품도 많지만, 국내 라이트 노벨은 이제 첫걸음이라 어떤 모습일지 모르겠어요.^^

비로그인 2007-07-20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라이트 노벨이란 단어를 처음 접해봤습니다. 굉장히 좋은 정보를 얻어 가네요.^^

twinpix 2007-07-20 22:40   좋아요 0 | URL
하핫^^;; '굉장히' 까지는 아니지 않을까요?^^;; 아무튼 유명작을 꼽자면 sbs에서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리나"의 원작인 "슬레이어즈"나. 슬레이어즈와 양대산맥이었던 "마술사 오펜". 그리고 라이트 노벨 중 가장 인정을 받은 작품 중 하나인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등이 있죠. "은하영웅전설"도 라이트노벨로 취급되기도 하고요.(판매량은 독보적......) 그 외에도 nhk에 어서오세요! 라든지, 잘린머리 사이클 등. 아무튼 sf, 미스터리, 판타지, 학원물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캐릭터성이 많고 다른 미디어로의 변환이 활발한(주로 애니메이션) 가벼운 소설들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현재 국내에서 라이트 노벨 시장이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작년에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란 작품이 쿄토 애니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면서 2006년 최고의 화제작으로 떠올랐고 동시에 일본에서도 백삼십만부가 더 급격하게 팔려나가고 한국에서도 알라딘이나 yes24등에서 베스트셀러 목록에 5위까지 올라가고 교보문고 매장에 베스트셀러 중 하나로 진열되기도 하는 등 높은 판매고와 화제를 불러일으켰기 때문이에요. 그러나 애니메이션이 홍보가 되는 일본과 달리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지 않는 국내에서 국내 작가의 라이트 노벨이 얼마 정도의 성공을 거둘지는 아직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죠. 'ㅁ'

mira95 2007-07-20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저는 알고는 있었지만 국내에서 창작 작품이 나온다는 사실은 처음이네요. 읽어본 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좋은 작품 많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twinpix 2007-07-20 22:35   좋아요 0 | URL
저도 국내 작가들의 멋진 작품들이 나와서 역으로 일본에도 수출되어 좋은 성과를 올리고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고 그런 일이 벌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저 작품으로 평가를 해보려고요.

비로그인 2007-09-05 2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이트노블 추천작 리스트 만들어주세용~~~
 

<파란>에서 연재한 『1001』로 놀라운 상상력과 커다란 스케일, 가슴 시린 감동까지 전해주었던 양영순 작가님이 이번에는 <다음>에서 『란의 공식』이란 웹툰으로 컴백하셨습니다.
원래 스포츠신문 등에 『아색기가』등 성인 코믹 만화를 연재하던 양영순님은 <파란>에서 『1001』로 최고의 호평을 받으며 강풀, 강도하와 함께 최고의 웹툰 작가로 인정 받았죠. 특히 『1001』은 놀라운 상상력으로 엄청난 재미를 보여주었죠.(혹시 안 보신 분이 있다면 <파란>에 가면 볼 수 있을 겁니다.)
이번에는 <파란>이 아닌 <다음>에서 미디어 다음 <만화속 세상>에서 연재를 시작했습니다. 사실 <파란>에서 『1001』이후, 『삼반이조』라는 작품을 연재하셨지만, 준비가 부족했던 탓인지 구성이 망가지고 급격한 결말로 치닫고 말았죠. 그러나 이번에는 시작부터 훨씬 더 기대가 됩니다. 이번 작품이 『1001』을 뛰어넘는 명작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cartoon.media.daum.net/group1/ran/200707/18/m_daum/v17485856.html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7-19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헛- 이거는 전혀 딴소린데...
대문사진 어디에요? 너무 쪼끄매...-.-...
야구장인가? 주인공은요? :)

twinpix 2007-07-19 09:58   좋아요 0 | URL
이번 월요일,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피스컵, 레딩vs리옹 전에 가서 경기가 끝난 후에 친구가 저를 찍어줬어요.^^ 의도하지 않고 찍은 건데 괜찮게 나온 듯한.^^

비로그인 2007-07-19 10:27   좋아요 0 | URL
아 상암이구나~ ^^
예전에 집이 가까워서 자주 갔었는데
이렇게 보니 전혀 모르겠네요 :)
사진 굿!

twinpix 2007-07-24 21:27   좋아요 0 | URL
사진 크기를 키워도 되는 거였군요! 작은 사진만 되는 줄 알았는데. 'ㅁ';;; 그래서 큰 사진으로 올렸습니다. 'ㅁ';;;;
 



아아, 저의 사랑스런 클릭스군의 액정이 망가졌습니다.
아마 월요일에 망가졌을 텐데, 오늘 확인했네요. 다 제 불찰이지요.
이번주 토요일은 아이리버 매장이 쉬는 날인 것 같고, 다음주 토요일에나 고칠 수 있을 것
같네요. 액정에 금이 두 줄이나 가 있고, 액정이 들어오지 않네요. 컴퓨터에 연결시키면
인식은 되는데 말이죠. 아, 정말 슬픕니다. 이 주간 클릭스를 이용하지 못한다는 것도,
수리비가 깨지는 것도.

아직 할부금도 다 안 냈는데.

ㅠ.ㅠ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맹이 2007-07-19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오오.. 처음 보는 건데요;; 멋지네요 ^^

twinpix 2007-07-19 09:59   좋아요 0 | URL
아이리버에서 만든 클릭스에요. 여러 가지 기능도 많고 작고 디자인도 예쁘고 해서 마음에 쏙 들었는데, 이번에 망가트려서 크게 상심중이죠.^^;;;

마노아 2007-07-19 1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광채가 나는군요. 액정에 문제가 있다니 슬퍼요. 정말 만만찮은 대금들...ㅠ.ㅠ

twinpix 2007-07-19 21:09   좋아요 0 | URL
6개월 무이자 할부로 질렀는데, 6개월 가려면 아직 멀었거든요. ㅠ.ㅠ 아무튼 그래도 수리가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고치면 정말 소중하게 다루려고요.

JINI 2007-07-20 2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클릭스네요!!! 비슷한(?) U10도... 액정에 문제가 참 많이 생긴다던데. 왜 이 이야기를 하는지 모르겠네요.ㅋㅋㅋㅋ 빨리 고쳐지면 좋겠어요!!!

twinpix 2007-07-20 22:36   좋아요 0 | URL
얇아서 보관에 더 신중을 기했어야 했는데, 핸드폰처럼 굴리다 보니. ㅠ.ㅠ 이제부터는 정말 거울 다루듯 조심히 다룰 거예요.(소잃고 외양간 고치기 일지도요. ㅠ.ㅠ) 아무튼 다음주에 얼른 고쳐야죠. ㅇ_ㅇ;;;

율무 2007-07-26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게.....뭐죠?-_-..................나만몰라ㅋㅋㅋㅋㅋㅋㅋㅋㅋ

twinpix 2007-07-26 18:55   좋아요 0 | URL
아이리버에서 나온 MP4 제품입니다.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고, 굉장히 얇고 화사하고 선명하고 밝은 액정이 특징입니다. 2기가, 4기가 등의 제품이 있고 화이트, 블랙 등의 색상이 있습니다. 액정은 AMOLED던가?(확실치는) 아무튼 일반 LCD보다 선명한 기술인데 세계 최초로 제품에 적용된 걸로 알고 있고요. 아무튼 굉장히 매력적인 제품입니다. 할부로 샀는데 망가트린 제가 바보죠. ㅠ.ㅠ......이번 주에 고쳐야 하는데, 고칠 수 있을지.^^
 

끝으로, 문예창작과의 제도 교육을 비판적으로 성찰해보면서 가다듬어야 할 게 있다. 문예창작과의 모든 구성원들을 작가로 성장시킬 수 없기에, 다른 일에 종사할 문예창작과 학생들을 아우르는 문예창작과의 독특한 문학 교육이, '훌륭한 시민 만드는 것'* 이라는 점을 가볍게 인식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스스로 문학작품을 많이 읽고 직접 글을 많이 써보는 것이고,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는 문인이 된다. 그런데 '문인'이 직업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졸업생이 많이 갖는 직업은 학원 논술 강사, 광고회사 카피라이터, 만화와 게임의 스토리 작가, 잡지사 기자, 기업체 홍보실 직원, 출판편집회사 직원, 방송국 스크립터 등이다. 글을 잘 쓰면 어디에서 무슨 일이든 할 수 있지만 아예 다른 일을 하는 경우도 있고, 그 방면에서 일가를 이루기도 한다. 젊은 날의 문학 공부가 올바른 사람을 만들기 때문일 것이다.**

  '젊은 날의 문학공부가 올바른 사람을 만든다는 것' 이야말로 문예창작과의 문학교육이 토대를 두고 있는 교육철학이자 미적 교육의 실천이기도 한 셈이다. 조선대 문예창작과 교수인 소설가 이승우는 최근 창작 기법을 나름 대로 기술한 『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마음산책, 2006)를 발간하였는데, 문예창작과를 비롯한 창작 실기를 위주로 하는 제도 교육이 한결같이 '기교'만을 중시하는 데 비판을 가한다. '기교'와 '기예'보다 '작가적 태도나 정신'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힘주어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문예창작과가 '기교'만 승한 작가가 아니라 '작가적 태도나 정신'이 깃들인 훌륭한 작가를 배출하는 데에는 문학교육을 통해 '훌륭한 시민'을 배출해내는 것과 맥락을 함께 하는 셈이다.



――――――――――――――――――――――――――――――
* 문학의 아웃사이더인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극작가인 장정일은 2006년 1학기부터 동덕여대 문예창작과에서 희곡을 가르치는 문학 교수로서 새로운 인생을 살기 시작했다. 문학 교수로서의 새로운 삶을 출발하면서 2006년 3월 11일 <문화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문창과가 작가 만드는 교육을 한다는데, 나는 문창과든 철학과든 모든 인문학을 가르치는 곳은 최종 목표가 '훌륭한 시민을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고 본다. 내 수업목표는 훌륭한 시민을 만드는 것이다. 가령 극렬 '황빠'가 돼서 한 서울대 여교수의 머리채를 휘어잡는 아줌마 속에 동덕여대 문창과 학생은 없었으면 하는 것이 나의 소망이고 이런 것들이 제대로 된 인문학 교육이라고 본다."
** 이승하, 「글쟁이를 만들기 위한 실기 수업」, <교수신문>, 2006. 2. 22

―― 2006 『문학수첩』 여름호, <특집|대학에서 문학은 살아남을 것인가?>, 「문예창작과의 쇄신:미적 모험과 인문학적 지성」, 고명철, 53~54쪽


  『문학수첩』은 『창작과 비평』, 『문예중앙』 같은 계간지로 내 흥미를 끄는 문예지는 아니었다. 다만 우연찮게 알라딘을 둘러보다가 이 작년 여름에 나온 『문학수첩』의 목차를 보게 되었고, 아직도 품절이 아니라는 사실 때문에 구입을 하게 되었다.(대부분의 문예지들이 계절이 바뀌자마자 각종 서점에서 품절로 뜨던데 문학수첩만큼은 품절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무려 작년에 나온 잡지인데도 구입할 수 있었다.) 내가 흥미를 가졌던 것은 특집 기사였다. 대학에서 문학은 살아남을 것인가? 라는 주제로 5명의 필자들이 글을 쓰고 있었는데 그 중 「신세대 보고서」라고 하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와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학생들의 의식 비교를 통해 본 우리 문학의 현주소라는 설문조사 내용이 궁금했던 것이다. 그러나 기대가 컸던 탓인지 막상 설문조사 결과를 보자 별로 특이할 사항은 없었다. 반영된 인원도 한 수업을 들었던 40명 내지 60명의 인원이었을 뿐이고, 국어국문학과는 문학이 좋아서, 문예창작학과는 창작이 좋아서 들어왔다는 점만 크게 대비되었다. 그외에 몇 명이 문예지를 보는지(어차피 소수다.) 어떤 문예지가 인기 있는지, (가장 큰 인지도를 가진 건 역시 창작과 비평) 좋아하는 소설가, 시인들(몇몇 유명한 작가들을 그냥 댈뿐) 구입하는 인문학 도서 수(어차피 적게 구입한다.) 등 별로 유익한(?) 정보는 찾을 수 없었다. 한 마디로 그저 그랬다. 그래도 이왕 산김에 전체적으로 쭉 읽고 인상에 남았던 부분을 옮겨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구입은 여기에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7-17 0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거울mirror'을 '겨울winter'로 봤어요.
하얀 점들이 눈같기도 해서요.
벌써 겨울 광고를 시작했나? 아이 시원해~했죠.

twinpix 2007-07-17 13:30   좋아요 0 | URL
그러고 보니 정말 눈 같네요. 겨울이 빨리 오면 좋겠어요.^^ 뭐, 요즘 여름은 비 덕분에 덥지 않아서 만족해 하고 있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