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힘겨루기 없는 양육 - 아이와 함께 성장하기
수잔 스티펠만 지음, 이승민 옮김 / 정은문고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프롤로그를 읽고 참 깊은 감동을 받았다. 작가는 문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닐까, 하는 마음이 들 정도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 프롤로그였다. 그런 작가에 대한 일종의 선입견은 책을 읽는 내내 계속되었다.
부모를 선장에 비유한 것을 시작으로 수많은 비유들이 존재하는 이 책은 부모의 행동을 지시하고 안내하는 책이 아니라, 비유를 통해 부모의 마음을 안내하는 마음 매뉴얼에 가깝다. 이러한 비유들로 인해 마음은 왠지 마음을 치유하는 책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그래서 역으로는 뭔가 모호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평온한 마음과 아이를 바라보는 너그럽고 따뜻한 마음이 생기는 것은 분명하다.
누군가가 '문제 있는 아이는 없다. 문제 있는 부모가 있을 뿐이다'와 같은 말을 한 것을 기억한다. 이 책을 읽는다면 그말은 '참'이 된다. 아이의 말을 들어주고 줄 수 있는 사랑을 주지 못해 아이를 흔들어 놓는 이는 모두 부모이다. 사랑하는 아이의 마음 하나를 헤아려주지 못해 성나게 하고 좌절하게 하고 힘 겨루게 하는 부모란 얼마나 어리석은지 이 책을 읽는 내내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내 마음이 편하자고 아이들을 바꾸려 하고, 다가오는 아이를 안아주기는 커녕 채찍질하는 모습. 우리는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 못하지만 사실, 가장 잘못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책에서는
아이가 가장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아이를 사랑할 것과. 아이가 문제가 있을 때에는 항상 아이 편임을 분명히 하기, 마음껏 말하게 할 필요성 등등 구체적인 마음가짐들을 제시하다. 또한 각 장마다 사례들을 넣어 과하지 않게 독자에게 다가온다.
개인적으로는 애착의 6단계를 아이가 점수 매기도록 한 부분이 무척 인상적이었고, 우리 아이에게 나는 몇 점짜리 엄마일까 스스로 반성해 보게 되었다.
제이콥의 점수 |
엄마 |
아빠 |
맥 |
마리 |
<----90쪽의 일부 |
근접성 |
7 |
6 |
3 |
2 |
동일성 |
5 |
5 |
2 |
5 |
소속감
충성 |
3 |
3 |
2 |
1 |
존재의 중요성 |
6 |
5 |
4 |
4 |
애정 |
7 |
6 |
4 |
3 |
자신을
알리기 |
7 |
6 |
3 |
3 |
책을 읽고 나니 나는 얼마나 내 아이에게 사랑을 주고 있나, 내가 주고 있다고 느끼는 것과 아이가 받고 있다는 느낌의 차이는 얼마나 될까, 우리의 관계를 다시 떠올려 본다. 책에서 나오는 말처럼 100%의 관심을 나 역시도 잘못 행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
우리는 입으로만 대화하고,
친밀한 유대의 순간에 마음이 반쯤은 다른 곳에 가 있고,
눈앞의 사람에게 관심을 100% 쏟는 데서 오는 친밀감을
불편해할 때가 너무나 많다.
본문 304쪽 중에서
*덧붙임말 : 이 책의 본래 제목이었다던 '아이 눈 속의 빛을 꺼드리지 말라'는 그 제목이 개인적으로는 더 아름다운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