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보고
1
코로나19와 임용 동기 비슷한 관계가 되면서, 공무원 생활의 첫 단추를 기이한 모양새로 채우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코로나 사태를 맞아 경로당 휴관한다는 내용을 평생의 첫 공문으로 기안한 것이 벌써 3주 전, 어느덧 syo는 쩜오에서 쩜칠이나 쩜팔이는 된 느낌이다. 과장님이 물어 보실 때마다 찾아보겠습니다- 라는 대답을 눈물과 함께 남기며 돌아나가는 경우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그럼에도 천성이 을이다 보니 전화받기는 여전히 어렵고 수화기 너머 보이지 않는 민원인을 향해 연방 굽신거리는 굽syo. 그는 전화를 받고 나면 허리가 아프다.
2
알라딘에서 비벼대며 익혔던 것이 글솜씨라고 생각했었는데 아니었던 모양이다. 기안하는 족족 빨간펜이다. 깨어있는 18시간 가운데 14~15시간 정도를 회사와 회사를 오가는 길 위에서 보내는 요즘이다 보니, 좋은 글에 대한 감각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2월 한달 정도는 독서와 글쓰기를 포기하고 일 배우는 데만 집중하고 살아야겠다 다짐했었는데, 아무래도 3월도 그런 식으로 소비해야 할 듯. 공무원이 되기 위해 외워야 할 것들이 많았던 것처럼, 훌륭한 공무원이 되기 위해 외워야 할 것도 잔뜩이다. 우선 관내 121개 경로당의 이름과 주소지부터 싹 외워버릴까…….
루피누스는 쓰디쓴 어조로 이렇게 고백했다. “이 판국에 글을 쓸 정신이 있겠는가? 주위는 온통 무장한 적들이고, 보이는 건 그저 황폐해진 도시와 들판뿐인데.”
_ 카를로 M. 치폴라,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법칙』
3
같이 사는 남자는 위생 감각이 떡이다. 이 사태가 나도록 마스크 쓰고 출퇴근하는 꼴을 본 적이 한 번 없고, 퇴근하고 돌아와도 손을 씻지 않는다. 씻으라고 하면 어어- 맞다- 이러고 있다……. 정말 재미있는 게, 이놈은 내가 아는바 세상에서 제일 착한 인간으로서, 25년을 친구로 지내면서 입에서 욕 한번 나오는 걸 본 일이 없을 정도다. 남에게 피해를 끼치고 자기가 이득을 얻으려는 의도 같은 건 품을 줄도 모르는 놈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얘가 무해한 인간이라는 것은 아니다. 이놈이 아무 생각이 없는 바람에 옆에 있는 친구들이 피해를 입은 경험이 결코 적지 않다. 일이 터지고 친구들이 불만을 토로하면, 미안- 몰랐지- 어어- 일부러 그런 건 아니었는데- 따위의 반응을 보이는데 그것도 그때뿐, 우리는 여전히 무심함과 무식함이 반반 섞인 듯한 이놈의 행태에 이래저래 데미지를 받고 있다. 기가막힌 건, 본인은 전혀 다치지 않는다는 것.
언니, 어두운 쪽에서는 밝은 쪽이 잘 보이잖아. 그런데 왜 밝은 쪽에서는 어두운 쪽이 잘 보이지 않을까. 차라리 모두 어둡다면 아주 희미한 빛으로도 서로를 볼 수 있을 텐데.
_ 최은영, 「손길」
4
바지를 다리다가 손목을 다렸다. 바지도 펴지지 않았고 손목도 펴지지 않았다. 괜히 손목만 따끔할 뿐이다. 혹시 바지도 따끔할까? 아린 손목을 쥐고 바지의 심정을 상상하게 된다. 일찍 퇴근하면 별 일이 다 벌어진다.
5
책은 하나도 읽지 못하는 중이다. 이 아래쪽에 읽었다고 표시한 책들도 실은 읽은 지 일주일은 지난 것들이라, 한줄평을 쓰려는데 한줄도 평도 생각이 나지 않아서 큰일이다. 그래도 일단 찌끄려야 한다. 이것은 자기와의 싸움이고, 그 싸움에서 syo는 늘 졌지만, 그렇다고 대패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진득하게 책 읽고, 글 쓰고 싶다.
인간은 자기 환상의 노예이다. 그는 항상 자기 안에 그리고 자기 뒤에 유령을 데리고 산다. 때때로 그는 그의 앞에서도 유령을 본다. 술에 취해 있거나, 눈이 눈의 역할을 하기를 포기했을 때에 말이다.
_ 김현, 『사라짐, 맺힘』
--- 읽은 ---
27. 시민과 함께 만드는 서울 / 서울연구원 : 174 ~ 289
: 서울 시민으로 잠깐 살아 본 바, 개인적인 경험을 반추해보면 시민이 서울을 만든다기보다는 서울이 시민을 만드는 쪽에 가까웠다. 큰 도시는 그런 맛이 있고, 큰 도시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런 관계를 넉넉히 받아들인다. 그러니까 이 책 속에 만들어진 서울을, 나하고 같이 만든 것 같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이 서울이 나를 또 만들긴 할 것이다.
28. 최고의 인재는 무엇이 다른가 / 박봉수 : 175 ~ 294
: 뭣이 다른데.
29. 보고서의 신 / 박경수 : 132 ~ 271
: 뭣이 신인데.
--- 읽는 ---
![](https://image.aladin.co.kr/product/5518/24/coveroff/8932472955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277/71/coveroff/8968484821_1.jpg)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유현준 : 96 ~ 245
엑셀 2016 바이블 / 최준선 : ~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