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주의책같이읽기 1월의 책이다.
목차를 보니.. 후우. 현기증 난다.
번역되어있는 참고도서를 열심히 찾아서 링크 (이런거 만드는 거 좋아함).
뒤쪽으로 갈수록 논문이 많아서, 저자 이름으로 찾아도 잘 안 나오는 듯 하다.
chapter 1 페미니즘 제 1물결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1929)
시몬느 드 보부아르, 『제 2의 성』 (1949)
도리스 레싱, 「19호실로」 (1963)
chapter 2 자유주의 페미니즘
베티 프리단, 『여성성의 신화』 (1963)
베티 프리단, 『두 번째 단계 The Second Stage』 (1981)
앨리슨 루리, 『테이트 가족의 전쟁 The War Between the Tates
』 (1974)
chapter 3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실라 로보섬, 『여성의 의식: 남성의 세계』 (1973)
미셸 바렛, 『오늘날 여성의 억압』 (1980)
도리스 레싱, 『황금 노트북』 (1962)
chapter 4 정신분석 페미니즘
줄리엣 미첼, 『정신분석과 페미니즘』 (1974)
낸시 초도로우, 『모성의 재생산』(1978)
마가렛 앳우드 『레이디 오라클』(1976)
![](https://image.aladin.co.kr/product/217/36/coveroff/8987279847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18/34/coveroff/0385491085_1.jpg)
chapter 5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엘렌 식수, 『메두사의 웃음』(프랑스판 1975, 영어판 1976)
루스 이리가라이, 『우리 두 입술이 함께 말할 때』(프랑스어판 1977, 영어번역판 1980)
쥘리아 크리스테바,『한 정체성으로부터 다른 정체성으로』(프랑스어판 1975, 영어번역판 1980) …214
버지니아 울프, 『올랜도』 (1928) …220
chapter 6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앨리스 자딘의 『가이네시스』 (1985)
세일라 벤하비브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질문」(1992)
앤젤라 카터 『써커스의 밤』 (1984)
(무려 주디스 버틀러 번역하고 해설서를 쓴 조현준님 번역이다)
chapter 7 레즈비안 페미니즘과 퀴어이론 …293
애이드리언 리치,『강제적 이성애와 레즈비안의 존재』 (1980)
모니크 위티그,『여성은 여성으로 태어나지 않는다』(1981)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1990)
지넷 윈터슨, 『벚나무 접붙이기』 (1990)
chapter 8 흑인 페미니즘과 포스트식민주의 이론
바바라 스미스,『흑인 페미니즘 비평을 향하여』(1977)
가야트리 차크라보티 스피박,『서발턴 연구: 역사성을 해체하며』(1985)
벨 훅스,『포스트모던 흑인성』(1991)
토니 모리슨, 『술라』 (1973)
<자기만의 방> 빼고 읽은 게 없다고 하면 없어보이겠지만, 사실이 그렇다..
subaltern을 번역하기가 난감하겠지만 '서발턴' 이라고 하니 개념이 아닌 고유명사 같잖아..
<여성성의 신화> 읽다가 말았는데 당분간 출퇴근하면서 들어보려고 하고
(그러나 어제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듣기 시작했는데 너무나 귀에 쏙쏙 잘 들어오고 슬프고 그렇다. 그런데 <여성성의 신화>는 좀 지루하다...)
그 외에 하나 더 읽어본다면 도리스 레싱의 <19호실로> 정도?
<제 2의 성>은 2-3월 독서괭님, 은오님과 함께 읽어보기로 했다. 1월엔 일단 이 책에 충실하도록 하고, 그 중 더 알고 싶은 부분을 이후 찾아가면 될 것 같다.
셰익스피어 희곡 - 소설 읽기 마지막. <겨울이야기>와 <시간의 틈>.
<시간의 틈>이 위에 <페미니즘 이론과 비평> 의 chap. 7 레즈비언 페미니즘에 나오는 소설
<벚나무 접붙이기>를 쓴 지넷 윈터슨의 책이라 왠지 반갑.
![](https://image.aladin.co.kr/product/29820/33/coveroff/s572830936_3.jpg)
헤어질 결심 각본을 낭독해보기로 했다.
손발이 오그라들 것 같기도 한데.. 근데 탕웨이 역할은 누가 맡을 것인가.
책모임에서 내가 선정한 책.
번역가에 소설, 에세이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는 이주혜님 책이다. 다락방님 서재에서 작년에 보고 읽고 싶어져서..
작가님 번역을 많이 하셨네. 찾아보니 나도 이 분이 번역한 책을 하나 읽었다. 그게 뭐냐면, <프랑스 아이처럼>. ... -_-; 그리고 이 분이 글을 쓰신 그림책도 하나 읽었네? <콩중이 팥중이> ...
에밀리 디킨슨 시 한 번 읽어보고, <다락방의 미친 여자> 15-16장 다시 읽어볼까 한다.
생각 같아서는 <진리의 발견> 중 에밀리 디킨슨 부분도 다시 읽고 싶은데,
<진리의 발견>은 재독할 생각이라.. 일단 이거라도.
조지 엘리엇에게 '여성적 미덕'에 있어 영감을 준 것 같은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읽어보기로 했다. 어제부터 듣기 시작했는데 운전중 자꾸 울컥울컥..
아무래도 이건 눈으로 읽고 운전 중에는 <여성성의 신화>를 들어야겠다.
1월의 독서, 화이팅.
나만의 여성주의책읽기 목록은.. 언제 완성될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