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미셸 트루니에의 소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이제 다 읽었다. 서울 출장가면서 좀 지루한 시간을 진득하게 읽어 보려고 빌렸던 소설인데, 앞부분은 정말 좀 지루했지만, 방드르디의 출현 이후로는 재미있기도 하다.
미셸 트루니에의 발칙한 상상력이 한껏 돋보이는 신화적인 이야기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
대니얼 데포의 <로빈슨 크루소>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승리, 뭐 이런 것이 주제다.
그렇지만, 미셸의 로빈슨은 <승리>를 해 보려고 혼자서 총독도 되고 목사도 되고 농부도 되어 보지만, 결국 그 무인도와 사랑을 나눈다. 정신적인 사랑 말고, 육체적인 사랑을...
자연과 나누는 사랑은 일견 우습게 보이지만, 로빈슨이 자연에 동화되어가는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낸 방법이 아닐까 싶다. 요즘 들어서야 옛날 것을 찾고, 전통적 생활의 과학성 운운하는 꼴을 보면 좀 웃기기도 하지만, 암튼 로빈슨은 자연과 동침을 과감하게 시작한 것이다.
그렇지만 방드르디는 원래 자연에서 나온 존재로서, 로빈슨의 개와 금세 마음을 나눌 수 있고, 새끼 독수리에게 구더기를 씹어 그 즙을 먹일 만큼 자연 속의 삶을 누리고 있다. 그 방드르디는 결국 자연을 버리고 인간 세상을 향해 흰 새를 타고 떠나 버린다.
그 화이트 버드 호의 수부였던 죄디는 다시 지긋지긋한 지옥을 떠나서 무인도에 남게 되고...
로빈슨과 방드르디는 서양과 동양이기도 하고, 현대와 미래이기도 하다.
신화 속에서 어울린 서양과 동양은 개척과 미개의 교점에서 서로 엇갈리기도 하지만, 그 투쟁 속에서 잃은 것을 찾아 나서는 적극성을 보이기도 한다.
자기들이 먹은 밥그릇, 포크까지 쓰레기통에 넣는다는 서양의 문명 세계가 그리워 그리워 날이면 날마다 유학을 떠나고 기러기 아빠들은 몸을 곯아 가지만, 또 가난에 찌들린 동양의 눈동자는 그 정신을 잃어 버리고 육체를 팔기도 하는 것이 어리석은 인간들의 세상이다.
방드르디, 그가 도달한 곳은 태평양의 끝일까? 아니면 시작인 것일까?
인간이 말하는 끝이란 것이 과연 세상에 존재하기나 하는 것일까? 소설을 읽을 때는 좀 지겹고, 일어나는 사건들이 좀 웃기고 했는데, 다 읽고 나니 별 잡다한 생각들이 사로잡는, 역시 생각하게 만드는 소설인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