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이지누의 인물로 세상읽기/
찬바람이 불때마다 늘 깊은 회한에 젖게 하는 사람이 있다. 안 그래도 한 달 전, 새로운 곳으로 옮긴 작업실의 책장을 정리하면서 그 사람과 관련된 무엇을 펼쳐들곤 정리는 나 몰라라 한 채 너덧 시간이나 상념에 빠진 적이 있었다. 덕분에 책장 정리는 다음날로 미뤄지고 내 눈길은 망연히 허공만 붙잡을 뿐이었다. 그렇게 잊었다가 가을이 깊어지니 흩날리는 낙엽소리처럼 마음이 스산해지며 다시 그 사람이 생각이 난다.

그 사람은, 아니 지금은 어엿한 아가씨가 되고도 남았을 법 하지만 그때만 해도 아이라고 불러도 될 만했다. 그녀는 지금껏 내가 만나 이야기를 나눈 사람들 중에 가장 어린 축에 드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드물게 더 이상 예전의 모습으로 살지 않는 사람이기도 하다. 사실 어엿한 아가씨라고는 했지만 그것을 세속에서 부르는 호칭이라고 한다면 그녀는 이제 더 이상 성숙한 아가씨라고 불리지도 않는다. 속(俗)을 넘어 승(僧)의 세계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신이 보낸 사람…이지누”라는 쪽지


2001년 늦가을, 후배가 그쪽 언저리로 간다기에 그 집은 어떻게 됐는지 가보라고 했다. 더 이상 아무도 살지 않는 집에 다녀 온 후배는 불쑥 찢어진 쪽지 하나를 내밀었다. 그곳에 그녀가 쓴 짧은 글이 남아 있었다. “오늘은 특별한 날이다. 신이 보낸 사람을 만났다. 그 사람은 이지누다” 그 글을 보는 순간 나는 멍해지고 말았다. 한참동안 아무것도 할 수 없이 경직되고 말았던 것이다. 그 글을 쓴 사람은 지금 도혜(道慧)라는 법명으로 불가에 귀의해 수행정진 중이지만 한때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산골소녀 영자다.

그녀와 나의 인연은 이랬다. 그녀를 처음 만난 것은 1997년, 영자가 15살 때였다. 도계읍의 육백산 말기에 있는 황새터와 같은 오지마을을 찾아다니며 산골문화에 대한 조사를 할 때였다. 그 무렵 육백산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사무곡이라는 지명을 알게 되었고 마을 사람들로부터 그곳에 영자부녀가 살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그 후, 해를 걸러서 서너 번 찾아갔을까. 그것이 전부다. 그리곤 그녀가 17살이 되던 1999년 이맘때에 모 잡지에 영자 이야기를 쓴 적이 있었다.

문제는 그때부터였다. 하루가 멀다 하고 그녀의 주소지를 묻는 전화가 걸려왔고 모르쇠로 일관했지만 그 집요한 사람들은 이내 그녀가 사는 곳을 알아내고 말았다. 그들은 기어코 그녀에게 텔레비전 카메라를 들이댔고 그녀의 집에 전기나 전화가 없다는 것이나 혹은 그 집에 가려면 오로지 걸어서만 가야 하는 불편함을 오히려 내세워가면서 말이다. 사람에 굶주린 도회지의 사람들은 그 모습에 열광하며 무방비의 그 아이를 소비하기 시작했다.

사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방영되기 전부터 나는 그 아이에게 책을 보내주고 있었다. 시인 신경림이나 기형도 그리고 소설가 이순원을 특히 좋아한다는 그 아이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를 곰곰이 생각 했었고 또 잡지에 나간 기사를 보고 책이나 다른 것들을 보내 주겠다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섣불리 그 아이의 주소를 아무에게도 알려 주지 않았다. 대신 사람들이 보내려는 책을 모두 나에게 보내라고 했다. 도서목록을 만들어 서로 겹치는 것은 사양했으며 옷을 보내 주겠다는 것 또한 사양했다.

그렇게 작업실에 책을 쌓아 놓고는 한 달에 15권 이상을 보내 주지 않았다. 아무리 책 읽는 것을 좋아 한다고는 하지만 한 달에 15권 이상을 읽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더러 학용품은 보내 주었지만 굳이 옷과 같은 생활용품들을 사양했던 것은 도회지의 옷이 그 산골에서 잘 어울리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문화란 자신의 생활환경이나 습관에 견주어 돋보이는 것이 아니라 잘 어울리는 것이라야 한다. 차라리 몸에 걸쳐도 겉돌기만 할 도회지의 옷을 보내 줄 양이면 그 보다 그 아이가 날마다 끼고 사는 라디오의 건전지 하나를 더 보내 주는 것이 훨씬 나은 일이었다.

그러나 그 보다 더 먼저 굳이 책 이외의 그 무엇들을 보내 주어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내 보기에 영자는 별다른 아쉬움이 없는 아이였다. 아버지와 미미 그리고 꼬꼬라는 닭 두 마리면 충분히 행복했던 것이다. 간혹 아버지와 함께 도계읍이나 삼척으로 장도 볼 겸 나들이를 나가는 것만으로도 기뻐 어쩔 줄 몰라 하던 아이에게도 나름대로 존중해야 할 문화의 생산과 소비양태는 있는 것이니까 말이다.

도회지 사람들 앞다퉈 책을 보내

그러나 도회지의 사람들은 그렇지 못했다. 그저 자신들과 같지 않음을 안타까워하며 무엇이라도 그녀에게 나눠 주지 못해 안달이었다. 한 사람이 책을 읽을 수 있는 양은 생각지도 못한 채 서로 앞 다투어 그녀에게 책을 보내기를 원했다. 문학을 꿈꾸는 소녀이었기에 텔레비전 덕분에 공개되어버린 주소로 무지막지하게 책은 배달되었고 이윽고 그녀의 방은 책으로 넘쳐 결국 마당 한쪽에 책을 보관하는 광을 따로 지어야 했다. 과연 그것이 그녀를 위한 일이었을까. 아니면 책을 보내려던 자신을 위한 일이었을까. 자못 궁금한 일이다.

나는 그 작은 마당에 만들어진 책 광을 보고는 아연실색해 입이 쩍 벌어지고 말았었다. 그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었다. 하나는 아직도 세상이 메마르지 않아서 서로 도우며 살아가려는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 생각 때문이고, 또 하나는 그녀가 광에 쌓인 책을 모두 읽으려면 아무리 후하게 잡아도 십년은 족히 걸리고도 남음이 있을 만한 양이었기 때문이었다. 더구나 자신이 읽고 싶은 책과는 상관없이 장르를 가리지 않고 각종의 책들로 채워져 있었다. 아무리 모든 책이 삶의 양식이 될 수 있다고 하지만 그것을 다 읽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였던 것이다.

서로 도와가며 세상을 살아 갈 마음을 먹는다는 것은 참으로 소중한 것이며 실행한다는 것은 더없이 아름다운 일이다. 하지만 나의 도움이 상대에게 지나치지 않을 것인가에 대한 배려까지 할 수 있으면 그것은 보약이 될 수 있으되 그렇지 못하면 독이 되고 말 것이다. 결국 우리들은 그녀에게 독을 선물한 꼴이 되고 말았다. 그리곤 그녀가 처했을 입장과는 상관없이 나도 그녀를 도왔다는 자족감에 젖어 만족했던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결국 내 삶의 풍족함을 위해 다른 한 사람을 소비했다는 말과도 같다. 이 말이 지나치기 전에 우리들의 행동은 이미 지나쳤다. 나는 그녀가 텔레비전에 나오고부터는 더 이상 책을 보내지 않았었다. 그리고 그녀와 내가 나눴던 그 소박한 사랑의 마음들을 더 이상 나눌 수 없다는 것도 깨달아야만 했다. 영자의 얼굴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텔레비전에 나올 때나 그 후에도 영자의 순박한 미소는 압권이었다. 그러나 그 이전을 아는 나에게는 그것마저도 이미 달라진 것이었다.

자족감에 젖어 ‘독’을 선물한 꼴

처음 그녀를 만났던 날, 살가운 대접을 기대한 것은 아니지만 한나절이나 마당을 서성이자 그제야 곁을 주었었다. 내가 지니고 있는 사진기에 대한 호기심을 영자가 견디지 못한 것이다. 사진을 찍어주겠다고 하자 그녀는 대뜸 자기가 그것을 들여다보고 싶다고 했던 것이다. 사진기를 보기는 했지만 자기가 만져보기는 처음이라고 했었다. 조물조물 사진기를 만지던 그녀가 찍어도 되냐고 했고 이윽고 파인더를 들여다보며 놀라던 표정을 나는 잊지 못한다. 간혹 렌즈를 바꿔 끼워주면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이던 눈이 휘둥그레지면서 사진기를 이리저리 들이대다가 나를 보며 짓던 미소는 지금껏 내가 본 미소 중에 가장 아름다운 것이었다.

그날 영자는 좁은 마당을 이리저리 다니며 36장짜리 흑백필름을 예닐곱 통이나 찍고 난 후에야 사진기를 내려놓았다. 그 후, 그녀에게는 좋은 일만 생기는 것 같았다. 그러나 지나침의 경계를 지키지 못한 우리들 탓으로 연이어 불행한 일들이 생겨났다. 2001년, 잡지를 준비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게 지내던 어느 날은 슬픈 소식 앞에서 눈물을 머금어야 했다. 눈 내리는 창가에 앉아 망연히 밖을 보다가 그녀의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그 소식을 앞에 놓고 나는 한없이 부끄럽고 외로웠다.

사람이 사람에 대한 욕심으로 한 사람을 잔인하게도 난도질한 것이나 다르지 않으니 암담했으며 처연했다. 그 빌미를 제공한 사람이 나였다는 생각에 몸 둘 바를 몰라 쥐구멍이라도 찾고 싶었다. 지금에야 고백컨대 난 그 이후로 우리 땅 골골샅샅 헤매고 다니며 사람들을 만나지 않는다. 아니 분명 만난다. 그렇지만 더 이상 그들을 세상에 알리는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옳겠다. 그 이후, 참 많은 것을 깨달았다. 사람이거나 돌 혹은 나무이거나 풀과 같은 것들조차도 제자리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내가 있는 자리가 그들이 있는 곳보다 경제적으로 윤택하거나 문화적으로 다르다 할지라도 그들에게 내 자리로의 이동이나 동참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다. 그저 두고 볼 뿐이다. 세상 살아가는 것이 공짜가 없다고 하더니 과연 그렇다. 사람을 배우며 치른 수업료 치고는 너무도 가혹한 것이었지만 이제 나는 더 이상 나를 위해 다른 사람을 소비하지는 않는다. 되돌아보라. 당신들은 사람을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말이다.

이지누/글쓰는 사진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팀전 2006-11-10 08: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기억납니다.영자.!! 그랬었군요.그래요....

글샘 2006-11-10 0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누구에게나 어울리는 옷과 이름이 있는 법이죠.
그걸 인정해 줘야 살기 좋은 세상인데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