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조한 마음 대산세계문학총서 116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이유정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민’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그중 하나인 나약하고 감상적인 연민은

그저 남의 불행에서 느끼는 충격과 부끄러움으로부터 가능한 한 빨리 벗어나고 싶어 하는

초조한 마음에 불과할 뿐”이라고 한다.

이것은 “함께 고통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남의 고통으로부터 본능적으로 자신의 영혼을 방어하는 것”이며,

 “자기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사람만이, “비참한 최후까지 함께 갈 수 있는 끈기 있는 사람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고 한다.(17)

 

 

다리를 못 쓰는 불구 에디트에게 연민을 느낀 주인공.

그 연민은 곧 사랑과 헷갈리기 시작하고...

 

나는 누군가가 나를 기다리게 하는 것을 견디지 못한답니다.

못 견딘단 말이에요.(100)

 

젊은이들에게 연민과 초조한 마음은

미래에 대한 판단을 상실하게 한다.

 

연민이라는 것은 양날을 가졌답니다.

연민을 잘 다루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거기서 손을 떼고, 특히 마음을 떼야 합니다.

연민은 모르핀과 같습니다.

처음에는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치료도 되지만

 그 양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거나 제때 중단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독이 됩니다.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연민은 무관심보다도 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연민이라는 거, 아주 위험한 겁니다!” (235)

 

그렇지만 매사 이성적으로 살게 된다면,

인간 관계 자체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의사 선생처럼

맹인 아내와 평생을 함께할 정도의 끈기가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 인생이다.

 

초조한 마음을 통제하지 못한 에디트는

이 얼마 안 되는 시간을 이용해서 자신의 결심을 실행에 옮겼다.(457)

 

초조한 마음이라는 어구는

연민과도 관련되고 인내와도 연관된다.

연민에 민감하지만 끈기와는 거리가 먼 젊은이들에게

<초조한 마음>은 어떻게든 관건인 것.

 

그날 이후

나는 양심이 기억하는 한

그 어떤 죄도 잊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463)

 

슈테판 츠바이크의 섬세한 심리 묘사가 압권이다.

'그날'은 의사 부부를 만난 음악당의 날이다.

너무 세부가 섬세한 부분은 좀 지루하기도 하다.

그렇지만 슈테판 츠바이크의 이야기는 초점을 벗어나는 일이 좀처럼 없다.

이 소설 역시 그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