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중그네 ㅣ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살다 보면... 어디선가, 가시처럼 컥!하고 걸리는 놈이 있다.
일이든, 사람이든, 관계든, 컥! 하거 걸린 것은 나의 기를 질리게 하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억압 기제가 되고, 끊임없이 되살아나 나를 괴롭힌다.
그럴 때, 이 소설을 읽으면 어떨까?
이라부는 정신과 의사면서, 얼핏 정신과 환자처럼 보인다. 코미디에서나 가능한 설정이지만, 치료라고는 비타민 주사 한 방이고, 가슴 파인 복장의 게으른 간호사는 주사맞기 싫어하는 남자들에게 가슴을 보여준다.
살면서 정신과 치료를 받고 싶지 않은 이가 누가 있으랴마는...
또 이라부같은 사람과 같이 생활한다면 또 얼마나 짜증나는 일이겠는가마는...
아무튼 소설 속에서는 이라부가 저지르는 황당한 것들이 치료로 이어진다.
삶을 진지하게 사는 것과, 아버지가 말하셨지 인생을 즐겨라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삶은 어차피 1회용이니 진지하게 대해야 하지만, 인생을 즐기는 해소법이 꼭 필요한 것이다.
책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이들도 간혹 이처럼 가벼운 소설을 읽는 것도 비타민 주사 한 방 만큼이나 효과가 있을 것이다.
처음 이야기 하나를 읽고, 시시하다고 생각해서 더 읽을 필요가 있을까를 생각했는데, 공중 그네를 읽으면서는 이야기에 폭 빠져들게 되었다. 이라부의 진지하지 못함이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은 이야기에 불과하지만 신경정신과적 질환의 해소에 큰 시사점이 되지 않을까?
지나치게 진지함과 진지하지 않기, 진지하지 못함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