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구에 돈 벌러 오지 않았다
이영광 지음 / 이불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 시가 나올 리가 있겠나?

이 험한 시대에...

씨발~ 하는 한 마디 욕설이 더 시적인 함축을 담는 시대에.

 

이영광의 역설적 '잠언들', 그리고 '시대의 평론', 그리고 시를 가르치며 떠오른 '시 평론'을 단출하니 묶었다.

짧지만 읽는 마음은 무겁다.

그래.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이라면,

이런 글이라도 읽어야 산다.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이성복, '그날' 중에서)

 

내 나라라는 적진에서 사는 것만 같다.

사라진 나라에서 살고 있는 것만 같다.

표절이 화제라니, 패러디나 해볼까?

 

모두 미쳤는데 아무도 정신을 잃지 않았다.(107)

 

아파야, 그게 인간이다.

남의 아픔 앞에서 우적우적 햄버거를 처먹는 것은 돼지새끼고 악마다.

그 아픔 앞을 스르륵 지나가는 것들은 유령이고 악마다.

 

내가 살아 있다는 것,

그것은 영원한 루머에 지나지 않는다.(최승자, '일찍이 나는' 중에서)

 

내 생은 루머에 불과하다고 신음했을 때,

그녀는 아마도 자신의 공동체와 등 뒤에 너울거리는 거대한 괴물의 그림자를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공포를 이기고 불어오는 어떤 낯선 목소리를 들었을 것이다.(108)

 

온통 아픔투성이인 삶의 조건들 속에서,

오늘도 선거만을 생각하는 정치인들을 보노라면,

내 나라라는 적진에서 살고 있는 오늘이 슬프다.

살아있다는 루머가 꿈만 같다.

 

책을 많이 읽어도 정신의 키가 안 자라는 사람들이 있다.

책을 먹고 눈다고나 할까.

세상에 아름다운 배설물은 없다.

앎은 소중하다. 하지만 이들은 대체로, 아니 언제나, 모르지 않으려 한다.

모름을 무시하려 한다.

책은 더 잘 모르기 위해 읽는 것 아닐까?(24)

 

뜨끔하다. 모르지 않으려 한다는 말에...

아는 체 나서는 것이 자랑이라 여기는 인간이라서...

 

 그가 쓰는 역설들은

모순이어서 더욱 간절하다.

 

인생이라는 것보다 더 큰 과장이 애초에 있을까.(32)

 

싫지 않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좋지 않다는 게 문제다.

싫지 않은 것은 참아야 하고, 좋지 않은 것은 참을 수 없다.

좋아야 한다.(51)

 

알아주는 것보다는 알아보는 것이 더 중요한지도 모르겠다.(58)

 

의문으로 가득찬 사람을 만나면 행복하다.

대답으로 가득찬 사람을 만나는 건 끔찍하다.

더구나 단 하나의 대답을 가진 경우엔.(68)

 

그의 잠언들은 알쏭달쏭한 속에서 말장난인듯도 하지만, 씹는 맛이 있다.

아무튼, 끔찍한 인간이 되지나 말아야지... 하게 된다.

 

진심은, 늘 조금 늦게 오는 것같다.

문제는 진심을 생의 모든 시간으로 확장시키질 못한다는 것.(33)

 

죽고 싶은 것, 그것이 삶이다.

살고 싶은 것, 그것이 죽음이다.(74)

 

포기가 습관이 된다고? 습관이야말로 포기다.(76)

 

반대편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이 곰곰 읽어보면 엉켜있다.

그게 삶이고, 죽음이다.

죽어야 그 삶의 본모습이 온전히 보인다.

 

그의 시대 평론은 '感時'란 말을 쓴다.

두보의 시'춘망'에 감시화천루... 란 구절에서 온 거라 한다.

시절을 애상히 여긴다는 뜻이라 한다.

아, 정말 슬픈 시절이다.

(고교에서 배우는 두시 언해에는 '시절을 감탄하니 꽃이 눈물을 뿌리게 코'라고 나온다. 꽃이 눈물을 뿌리게 한다는 뜻이다.)

 

문학은 들을 테면 들어보라고 떠벌리는 일이 아니라

먼 곳의 희미한 말을 초조하게 들으려 하는 일,

그 말들이 날 몰라볼까봐 조바심내며 귀 기울이는 일.

내가 문학을 조금만 더 알았더라면 그 말들을 더 잘 듣고 더 잘 잊지 않게 되었을텐데.(169)

 

그의 문학 평론 수업은 심심하다.

문학이란 것이 거창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작고 희미한 것들을 마음으로 듣는 일이어서,

문학을 가르치는 일은 큰 소리로 외칠 것이 없다.

 

배운 걸 잊을 것.

하지만 그보다는 잊는 걸 배울 것.

잊음을 배울 것.(198)

 

삶은 자살의 바다에 무시로 깃털을 스치는 위태로운 비행같은 것이다.

술에 취해 '다 죽여 버릴거야'라고 외치던 청년이

발음이 꼬여 '다 죽어 버릴거야'로 발음된,

세상을 향한 칼끝이 돌연 저 자신을 정통으로 겨눌 때,

진심은 의식의 희미한 방심상태를 뚫고 저도 몰래 고통스런 얼굴을 드러낸다.(203)

 

문학도 여러 층이다.

 

나는 강신무와 투시자와 미친 시인의 격렬한 세계에 꽤 오래 끌렸지만,

요즘은 다소 혼란스럽다.

영빨은 유한하고, 기예의 수련에는 끝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투시자건 예술가건 결국 모릅을 상대할 수밖에 없지 않나.

모르는 말은 일면 앎의 코드로 번역되어야 하고,

아는 말의 벼림이 지극한 곳에선 늘 모르는 말이 태어나므로...(226)

 

문학의 언어는 그렇게 앎과 모름의 틈에서 깨어나는 알이다.

그래서 모든 예언은 반쯤만 말한 곳에서 해결책을 제시하고,

원전보다 훨씬 두꺼운 주석서들을 양산하게 되는 거다.

 

시는 막막한 외로움, 공포와 크게 다른 것이 아니다.

시인은 기쁨을 노래할 때도 막막해하는 족속이다.

세상에는 너무도 많은 알묘조장의 어리석음을 저지르는 자들로 가득하다.

얻기 위해 애쓰고, 해치고 빼앗는 패악을 권하는 세상.

여기서 시인은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까 우려하는

기나라 사람의 '백색 공포'를 잡아내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한다.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다면...

그것은 시인이 탄식해야 할 자리다.

 

문학이 그 아픔의 씻김굿을 보태야 할 자리다.

 

인생이 루머같을 때,

기우라도 탄식하는 이의 소리를 같이 들을 만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1-13 15: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벌레 강씨 2016-01-13 16: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막연히 생각하던것들과 더 깊고 확실한 내용을 담은 시들... 읽고 배워보고 해야겟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