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과 자기치유 -상
존 카밧진 지음 / 학지사 / 1998년 9월
평점 :
품절


정말 오랜만의 방학이다. 모르는 사람들은 방학이면 교사들은 집에서 뒹구는 줄 아는데, 일반계 고등학교(소위, 인문계)는 평소와 비슷하게 하루를 시작하고, 어떤 학교는 오후 5시까지 자습도 시킨다. 지난 몇 년간 바쁘게 사는 게 좋은 건 줄 알고 정신 없이 살다보니, 한 번도 쉰 적이 없었고, 오히려 방학중이 더 바빴다. 그렇게 사는 게 좋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남은 거라곤 혈압 오른 거, 비죽이 내어미는 뱃살, 마흔이라는 나이에도 아직도 혹하는 어리석은 나만 남았다. 그래서 이번 방학엔 죽을 힘을 다해서 보충수업에서 빠졌다. 처음엔 어떻게 놀까 머리를 많이 굴렸다. 아들과 둘이서 절에 가서 도를 닦을까 어쩔까... 하다가 요즘은 아들과 둘이 종일을 논다. 삼십 년은 젊어진 느낌이다. 그리고 노는 게 전혀 지겹지가 않다. 둘이서 운동도 하고, 공부도 하고, 밥도 해 먹고, 느긋하게 독서도 즐기고... 아이도 행복하단다.

이 책은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 의사인 존 카밧진의 명상 치유에 관한 이야기다. 스트레스, 고통, 질병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치료(caring)가 아닌 치유(healing)요법을 8주 과정으로 시행해 본 결과의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현대를 살아가면서 끝없는 보이지 않는 경쟁, 끝장날 듯한 스트레스, 그리고 운동 부족으로 오는 질병과 심리적 불안감, 공황... 이런 것들이 반복 순환되면서 인생은 점점 수렁으로 빠져드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라다크의 오래된 미래에서 보여주던 가난하면서도 순박한 웃음들은, 부유하면서도 강파른 인상들로 변화하는 현대, 질병도 그만큼 많아진다. 병원에 병문안이나, 조문객으로라도 가 보면, 세상에 아픈 사람이 그렇게도 많은가 놀라게 된다. 그러고 잠시 '아, 이러다가 큰일나겠다, 운동해야지...'하는 생각을 하고, 돌아나오면서 싸-악 잊고 산다.

병원에서 질병에 걸린 사람들의 마음의 고통을 치유해 주기 위해 8주간의 요법을 사용한다.

제1,2주 : 호흡과 보디 스캔

제3,4주 : 보디 스캔과 요가

제5,6주 : 정좌 명상, 요가 명상

제7주 : 개별적 정좌, 요가명상 혼합

제8주 : 공식 명상의 마지막 주인 동시에 스스로 훈련을 시작하는 첫 주(이 주는 여생동안 계속되는 주)

요즘 놀면서 아들을 따라 찜질방에를 처음 갔다. 후끈후끈한 한증막에 조용히 누워있으면서(어떤 때는 아줌마들의 수다로 방해받기도 하지만) 나의 호흡에 주의를 기울이면, 세상에 부러울 것이 하나도 없다. 정말 아무 생각이 없는 거다. 아무 생각 없는 시간이 이렇게 필요한 것인지... 역시 몸이 쉬라고 할 때는 쉬어야 하는 거다. 혈압이 160을 순식간에 넘어버리고, 한 번 넘어간 혈압이 내려오지 않아서 30대에 혈압약을 먹게 되니 이게 뭔가 싶었다. 정말 필요한 때 나타나 준 이 책을 보면, 한 편 신기하다. 어떻게 이 책이 내 손에 들어오게 되었던가. 도서관엘 자주 가도 그 코너엔 잘 안 갔는데... 공학 서적 옆에 이런 명상 관련 서적을 두다니... 나를 치유해야 하는 시간에 고맙게도 나타나 준 이 책에 감사한다. 그리고 나는 이런 우연을 가장해 만남을 주선하시는 장난 좋아하시는 그분의 존재를 믿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건강이란 말에는 전체를 의미하는 뜻이 있다는 걸 알았다. 전체는 통합이다. 체계나 유기체의 모든 부분들이 내적으로 결합하여 완전한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전체성이란 언제 어느때나 존재하며, 그 치유과정이란 있는 그대로 사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마치 모리 선생님처럼. 나를 이해하기 위해선 특별한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얼마나 나를 모질게 채찍질했던가... 이 책은 특별하지 않아서 좋았다. 새로운 것이 없어서 좋았다. 명상이란 그저 주의를 집중한 채, 따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관찰함에 따라 자기라는 존재의 올바른 내적 상태를 직접적으로 느끼는 과정이므로 인위적인 자세나 동작은 필요하지 않다. 그저 나를 관찰하고 있으면 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 아인슈타인의 편지의 한 토막이 인상적이다. : "인간이란 '우주'라고 부르는 전체의 한 부분이며,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한정된 한 부분이다. 인간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이 자신의 신체 부위와 떨어져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것은 자기 의식에 대한 일종의 착각이다. 이 착각은 일종의 감옥과 같은 것으로서, 이곳에 들어가 버리면 개인적 욕망이나 매우 가까운 주의의 몇 사람에 대한 애정에 의해 속박되게 된다.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와 자연 전체를 아름다움으로 널리 포용하기 위해서는 자비심의 범위를 넓혀, 이 착각의 감옥으로부터 우리 스스로를 해방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어느 누구도 이것을 완벽하게 해낼 수는 없지만 이렇게 하려고 노력하는 자체가 착각의 감옥으로부터 당신을 해방시키고, 내적인 안정을 얻기 위한 기초를 마련해 준다."

9점 과제란 것이 있다.

ㅇ           ㅇ            ㅇ

ㅇ           ㅇ            ㅇ

ㅇ           ㅇ            ㅇ

이런 아홉개의 점을 네 개의 직선을 사용하되 연필을 떼지 말고 한번 그어진 선분 위로는 다시 반복하여 그리지 말고 아홉 점을 연결하라는 문제. 이 문제의 해결에는 습관적 인식을 탈피하고, 넓은 시야를 가져야 하는, 세상을 하나의 전체로서 체계를 보려고 하는 <시스템 관점(system view)>이 필요하다. 세상은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인데, 나는 작은 낱낱의 프로그램에 얼마나 집착했던지...

치유란, 치료라기 보다는 관점의 변화였다. 치유란 나 자신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완전성을 인식하는 과정인 동시에 나 자신이 모든 것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연결성을 인지하는 것이란 말이다. 무엇보다 치유란 나 자신의 내부에서 평화를 느끼는 것이 되어야 한다. 화내지 말고, 원한 갖지 말고, 지비로 충만하고, 나 자신에게 친절하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05-01-10 1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었슴다^^ 방학이라니 넘넘 부럽구요...퍼갈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