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교육신화 비판
이철호 외 지음 / 메이데이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교육은 한강의 기적을 이룬 원동력이다.'

'한국인의 교육열은 경제개발의 성공을 가져왔다.'

'많이 배운 사람은 인격적으로 훌륭하고, 부도 거머쥘 수 있다.'

 

이런 것들은 모두 상당한 신뢰도를 가진 '신화'의 요소들로, 진실인 양 믿어오고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1.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 적어도 출발점도 같고, 부정행위는 없어야...

 

토끼처럼 육상 달리기 능력이 뛰어난 사람과 거북이처럼 처지는 사람이 있더라도,

경쟁은 피할 수 없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경쟁을 피하는 일은 요원하다.

그렇다면, 교육이 희망하는 지점에서 아이들은 출발점도 같으면 좋겠고, 도중에 부정행위도 없으면 좋겠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마치 세상의 모든 경주는 육상이 다인 것처럼 오인되고 있다.

물 속에서 경주를 벌인다면, 토끼는 잠을 자지 않더라도 이길 수 없는 것인데...

 

2. 교육이란 신화, 성공의 기대...

 

신화는 '자신의 이해, 계층의 요구'에 기반을 둔 이야기로,

이야기를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결속하고 동질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 지배계급의 의도를 유지, 강화하는 경향이 짙다.

 

사람들이 왈가왈부하는 평준화, 대입 문제, 수월성 교육, 본고사, 영어 몰입 등의 문제의 핵심은,

자신의 이해에 따라 지지하고 반대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밥을 서로 먹여주느냐, 서로 먹으려다 못 먹느냐로 천국과 지옥을 가른다면,

그런 밥먹기 급급한 천국 따위 무슨 가치가 있겠냐던 사람도 있었는데,

밥그릇 싸움인 '제로-섬' 게임으로 교육 문제를 따진다면, 어떤 기대도 물거품이 되기 십상...

 

3. 다각적 측면에서 바라본 허구적 신화

 

이 책은 신자유주의가 발호하던 2007년 한미 FTA 시점에 쓰인 책이다.

대학 입시라는 거대한 걸림돌을 치워야 한다.

그 걸림돌에 학교는 걸려 허우적거리고, 학부모는 사교육에 영어에 갈피를 잡지 못한다.

학생은 오를 수 없는 끝을 바라보며 좌절하며 울고 있고, 그 틈새 시장에서 이권을 잡은 자들만 희희낙낙이다.

문제는 '사학'이란 이름의 대학들 역시 '교육자'보다는 '장사치'로 서있다는 것.

 

이 책의 장점은 학교, 제도, 학생, 학부모, 국제관계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조망하는 것이다.

그래서 문제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고, 한 측면의 해결을 모색하는 것은 다른 측면의 이욺을 반드시 야기한다는 것을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한계는, 모든 문제점의 총합이 문제 해결과 관련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 해결의 출발점으로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4. 쾌도난마... 외부의 개혁과 내부의 개혁

 

단칼에 난맥상으로 얽힌 교육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까?

이런 사고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가장 큰 핵심은 '장기적이면서 미래를 생각한 관점'에서 교육을 내다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적어도 어느 시점 이후로는 현재의 학벌 사회를 완화해 나간다는 비전이 보여야 한다.

학벌이 아니어도 성실한 사람은 먹고 살 수 있음을 정치로 보여주어야 한다.

 

교육은 '사회 공공성 강화'의 기능을 할 때라야 '공교육'으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현재처럼 개인의 영달을 위한 교육은 '사교육'이라 불러도 무방하다.

대학의 85%, 고등학교의 49%가 사립인 구조, OECD 국가들에 턱도없이 적은 국가 지원금.

(OECD 평균 공공 : 민간 = 80:20인 반면, 한국은 15:85의 열악한 구조)

족벌과 세습으로 영리, 치부의 수단으로 전락한 조직으로서의 사학을 지키려는 자들은 공고하다.

 

한국 사회에서 '높은 삶의 가치'는 <돈과 권력>으로 집약되고 있다.

인삿말조차 '부자되세요~'가 되는 사회.

학벌은 혜택으로 가는 가장 쉬운 길이었다.

 

 

5. 학교는 공공 기관이 되어야...

 

그야말로 공화국의 이념에 맞게, public한 교육이 정착되도록 오래 노력해야 한다.

교육 개혁이란 이름으로 뜯어고칠 수 없는 것이 현재의 학교다.

 

전문 대학원들(법학, 의,약,치,한의학)이 주장하는 바는 전문성 신장이지만,

그 대학원에 다녀본 이들이나, 교수들의 의견은 한결같다.

 

"고등학교 졸업하고 들어온 순순한 아이들의 눈빛은 없고, 오로지 돈과 권력만을 위한 어른들로 그득"한 곳임을...

어른이 되면 돈냄새를 따르는 의사, 법률가가 될지라도,

적어도 의대생이라면, 법대생이라면 고민해야할 가치가 있다는 것이 '공공성'을 위한 가치 아닐까?

 

이렇게 말하면, "왜 그래? 아마추어같이?" 하면서 비아냥거릴지 모른다.

세상이 워낙 헝클어져 있으니...

그렇지만, 헝클어져 있다고 미치지 않은 사람이 미친 척 하며 살 수 없는 노릇.

그래서 시대가 지났더라도, 이런 책을 읽는 건지도 모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2-09-28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정상적인 세상에 정상적으로 사는 사람은 특이하다 또는 비정상이라는 평가를 받죠. 앞으로의 제 인생은 변동성이 적지만, 아이 살 세상은 어떻게 변화할지 걱정입니다.

글샘 2012-09-28 14:18   좋아요 0 | URL
오늘 인터넷에, 전교조 교사가 10%다~ 어느 지방이 많다~ 이런 걸 죄선일보가 썼더군요.
그런 사람들이랑 같은 세상에 산다는게 신기하고 피곤하죠.
아이 살아갈 세상은 조금씩 나아지리라 믿어 봐야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