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 숟가락 하나 - MBC 느낌표 선정도서
현기영 지음 / 실천문학사 / 199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에 읽었던 김주영의 성장 소설에 독설을 퍼부었던 기억이 난다.

현기영의 이 소설은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일관하는 텔링의 기법을 쓰고 있다. 작가의 어린 시절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담담하게 서술하는 가운데, 성장의 원형이 살아나오기 시작한다. 그 원형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그것이다.

눈물은 내려가도 숟가락은 올라간다는... 그 삶의 처절한 본연의 모습을 이 작품처럼 능청스럽게 녹여낸 수작도 드물 것이다.

제주 섬의 슬픈 역사와 아스라한 전설이 녹아든 소설, 그 역사 속의 죽음과 삶들의 슬픈 모습과, 전설 속의 꿈과 좌절들, 제주 섬의 역사에서 뗄 수 없는 장두 이야기, 여신의 이야기들을 통해 자연 속의 삶과 인재(人災)로서의 전쟁이 얽힌 어린 시절이 눈물많은 '아니마'를 형상화시키도록 운명지어졌던 것일까?

성장 소설이 흐르기 쉬운 서정성의 도랑을 작가는 제주라는 섬의 향토색을 통해 서사성의 교량으로 일구어냈다.

영화 '친구'가 경상도 사투리와 함께 '조폭의 의리'로 흐를 수 밖에 없었듯이 이 소설에 등장하는 제주도 방언은 이 소설을 자연스레 제주의 역사와 공간으로, 그 특이한 자연의 내음새와 삶의 모양새들을 억척스럽게 증언하도록 기능하고 있다.

경상도 사투리와 제주도 방언. 사투리는 표준말과 상대적인 개념으로 쓰는 반면, 방언은 특정 지역의 말을 일컫는 용어임을 볼 때, 서울 표준말과 충청, 전라, 강원, 경상도 사투리는 지역적인 차이보다 표준말로 정하고 아닌 정도의 차이인데 비해, 제주 방언은 지역적인 격차가 큰 말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제주도 사투리라고 해서 틀린 말은 아니지만, 지금도 억척스레 작용하는 섬사람들의 원점회귀의식을 생각하면 제주 땅은 뭍에 비겨 모성의 향기가 유난히 강조되는 곳인 듯 하다.

오십오년 전 전도민의 1/3이 몰살당했다는 '한라산'이란 시가 불과 십오년 전에 필화를 불러온 것을 보면 우리 역사의 이면에서 억지로 잠재워진 숱한 비화들은 아직도 빛을 보지 못한 것들이 숱할 것이다. 그 한들이 지치고 지치다 농익어 툭 터진 이런 작품들은 단순히 문학적 가치로만 따질 수 없는 작품으로 보인다.

이 소설이 단순한 성장 소설로만 읽히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 간절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4-11-09 17: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똥깅이의 이야기를 통하여 제주 4.3항쟁의 역사를 그나마 접할 수 있는 책이지요. 그런데 제가 놀라웠던 일은 우리 주변에서 의외로 4.3항쟁이나 제주의 엄청난 학살 사건을 모르는 분들이 많다는 거였습니다. 그만큼 국가적인 차원에서 개인의 역사로 치부해 버린 탓이 크지만요. 정말 그렇게 여긴다면....아, 이 책은 암튼, 역사적인 현실적 맥락으로 볼 때 너무 아쉬운게 많은 책이었습니다. 그런데 글샘님 리뷰는 아주 투명하게 쓰셨군요...말간 감식초처럼....^^

글샘 2004-11-29 2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현기영씨가 생략한 아쉬운 부분들은 그 분이 다른 책에서 천착했던 부분입니다. 제 글이 말간 것이 아니라, 현기영씨의 이 소설이 말간 제주 바닷빛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