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 마음을 놓다 - 다정하게 안아주는 심리치유에세이
이주은 지음 / 앨리스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이주은의 심리 치유 에세이 2권의 한 권이다.
다른 한 권은 '당신도 그림처럼'이라는 제목이다. 

화폭에 그리면 그림이 되지만, 마음에 그리면 그리움이 된다는 말이 있다.
(김제동이나 강호동이 이런 말 잘 하는데... 가끔 그의 이런 말이 그립다.) 

그림과 그리움은 모두 '그리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명사형으로 볼 수도 있겠는데,
이주은의 심리 치유 에세이라는 제목으로 이 책에 실린 그림들은 외롭다.
심리 치유란, 아픈 사람에게 '나도 아프다'는 말을 해줄 수 있는 자만이 들려주고 들어줄 수 있는 것이란 증명이기도 한 듯이...  

이주은의 글은 좀 바삭거리는 촉감이 든다.
심리 치유라는 제목에 어울리는 글을 썼다면, 조금 더 촉촉한 글이었어도 좋았을 거란 생각도 드는데,
자신의 경험이 녹아들기보다는 그림과 억지로 연관을 지은 듯한 느낌도 드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그림을 전공한 사람들이, 또는 그림을 많이 보아온 사람들이,
남들보다 먼저 본 그림들을 이런저런 이야기와 섞어 내놓는 책을 읽는 일은 행복하다.
이 책에 나오는 그림들에 '마음을 놓'아버리는, 한자로 쓴다면 '방심'하고 그림에 온 마음을 줘버리는 경험을 하기엔,
그림이 좀 작다. 

그림은 일단 좀 크고 봐야하는 것 아닐까?
아니면, 설명을 덧붙이는 부분은 확대한 부분도를 곁들여 주는 친절함 정도는 기대함직 한데... 

  

메리 카사트의 '목욕'은 말 그대로 백마디 말보다 위로가 될 수 있는 그림이기도 하다.
통통한 아이의 발을 씻겨주는 어머니의 마음이 잘 느껴지기 때문에
좀 결핍을 경험한 인생이라도,
이런 그림을 통해 치유에 가까이 갈 수도 있을 것 같다.

 

앙리 루소의 '잠든 집시'도 내가 좋아하는 그림이다.
집시의 삶을 다양한 색채의 줄무늬로 형상화했다.
꼭 잡은 지팡이와 악기가 집시의 삶을 위로해준다. 

거기다 세상의 왕 사자가 푸른 우주를 배경으로 집시의 삶에 주는 위안은
생명력이 넘치는 삶을 충전하는 잠을 선사하고 있는 듯 하다. 

마음의 감기라고 일컬어지는 마음의 우울에 대하여,
어떤 치유의 방식도 정답일 수 없다. 

감기에는 편히 쉴 수 있는 공간과 여유, 마음의 안정이 필요하며,
외로움과 서글픔의 순간들을 이겨낼 수 있는 유쾌한 친구가 필요한 것인데,
하굣길,
어머니가 가져다준 우산이 없어 비를 맞을 때,
위안이 되는 것은 우산을 씌워주는 친구보다는 같이 비를 맞아주는 친구라는 이야기도 있다. 

나는 언제나 네 편이야! 이런 응원.
고단한 심리적 무게를 내려놓고 푹 쉬기엔 그림들이 다소 딱딱하다는 느낌을 받아 아쉬운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1-11-16 17: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화폭에 그리면 그림이 되지만, 마음에 그리면 그리움이 된다는 말이 있다."
"위안이 되는 것은 우산을 씌워주는 친구보다는 같이 비를 맞아주는 친구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렇게 두 개 건졌어요. 맘에 드는 글귀에요. ^^이걸 노트에 써 놓을까요, 아니면 두뇌에 박아 놓을까요? '아, 나 머리 나빠서 써 놔야지'ㅋㅋ 잘 읽고 갑니다. 매일 책과 함께 행복하시길...

글샘 2011-11-17 10:57   좋아요 0 | URL
맘에 드는 글귀는 맘에 들여 두세요. ^^
저도 뭔가 기록하지 않으면 다 잊어버리고 만답니다.
책과 함께 행복하기엔 사는 게 바쁘지만, 틈틈이 읽는 재미도 쏠쏠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