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갑영 교수의 재미있는 두루누리 경제
정갑영 지음, 박철권 그림 / 두산동아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경제학이란... 돈을 버는 학문은 아니다.
마치 열기구를 타고 공중에 떠서 여기는 이렇게 저기는 저렇고를 떠드는 사람과 같다고 유시민이 경제학 카페에서 이야기했듯,
경제학은 세상의 흐름을 이론적으로 설명해 보려는 학문의 분야일 뿐이다.
그래서 세계 경제는 경제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게 당연하다. 

하물며,
국가독점 자본주의와 정경유착, 신자유주의 시대의 중진국으로서의 한국 경제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일은 무망이다. 

이 책은 만화를 통하여 경제적 개념을 설명하고 있어서,
초중학생 정도에게 경제적 용어나 개념을 소개하는 데는 성공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의 시각은 철저히 신자유주의 편제상의 <최강대국 미국>의 관점과,
국가-재벌 유착 자본주의 모델의 하나인 <한국 자본가>의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그닥 권하고 싶지 않은 책이다. 

어설프게 아는 것에 비하면 모르는 게 나을 수 있기 때문이다. 

   
 

133. 대기업들이 많을수록 좋겠네요. 힘이 세어질 수 있으니... 그렇지... 

 
   

이런 것은 <미국>과 <자본가>의 관점이 가장 잘 드러난 대화다. 

   
 

145.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일방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단다. 도움이 되어야지. 

 
   

이런 대화를 보면, 이 사람이 한국에서 살아본 사람 맞나? 이런 생각이 든다.
조폭이 팔뚝에 <차카게 살자>라고 쓰면 갑자기 바른 사람이 된다는 건가? 

   
 

171. 우리도 이런 잘못을 저지르고 있지는 않나요?
   "대기업은 괜히 미워..." 

 
   

삼성이 저주를 받아야 하는 것은,
그들이 명백한 범죄를 저질렀기 때문이고,(법원에서 무죄라곤 했지만 수천억의 횡령을 했다.)
검사들에게 장학금을 주는 방식으로 정치적 부조리를 저지르고 있기 때문이고,(삼성을 고발했다.)
갓 고등학교 나와서 피지도 못한 인생들이 암으로 죽어가는 것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괜히 미움을 받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전혀 실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저주를 받아야 당연한 것이다. 

   
 

197. 구조조정의 목적은 결코 고용 감축이 아닙니다. 오히려 유연성을 확대하고 경쟁력을 높여 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하는 것이 궁극적 목적이고 본질입니다. 

 
   

경제학자란 사람이 이런 말하면 안 된다.
말은 맞다. 구조조정은 거시 경제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민중의 입장에서 보면, 가족의 목숨줄을 끊는 일이고, 
사회의 빈자를 더 구석으로 몰아 넣는 일인 것이다.
오죽하면 세계경제기구에서도 한국의 비정규직 비율이 지나치게 많다고 위험하다고 권고했을까... 

영국의 토트넘에서 일어난 폭동과,
미국의 월가에서 일어난 시위는,
가난뱅이들의 역습이 멀리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들이 바라보는 유령들은 곧 세상을 향해 주먹을 내지를 것이다.  

그가 김용택의 '세상의 길가'를 인용한 건 어떤 의도일까?

내 가난함으로
세상의 어딘가에서
누군가가 배부릅니다.

내 야윔으로
세상의 어딘가에서
누군가가 살이 찝니다. 

내 서러운 눈물로
적시는 세상의 어느 길가에서
새벽밥같이 하얀 풀꽃들이 피어납니다. 

그러니까는, 네 가난함을 행복하게 생각하라고? 좀 웃기는 경제학이다. ㅎㅎ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1-10-11 1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책 소개보다 글샘님의 말씀이 더욱 마음에 팍팍 와닿는 페이퍼입니다.
그러게요, 경제학자들, 제발 지금 이 시점에서 자본주의 운운하면서 구조조정이라는 단어 좀 말하지 않았으면 싶습니다. 월가의 시위, 영국의 폭동.... 곧 우리나라도 시작될 듯 합니다. 그리고 저는 정당한 시위라는 생각이 들구요.

음, 경제학을 알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으면 좋겠다는 사심도 좀 듭니다... ㅋ

글샘 2011-10-12 11:51   좋아요 0 | URL
아이들이 이런 책을 읽으면서 자본가의 의식을 가진 노동자가 될 것 같아 걱정이 되더군요.
자기 계급의 의식을 배반한 투표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그 세뇌는 효과가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투표 잘 해야 해요. 그쵸?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