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촉촉하게 내린다.
분위기 있는 봄빈데, 요즘엔 방사능이 어쩌고 황사가 어쩌고 해서 좀 찜찜하지.
사람의 세상이 어떻게 변하든, 시간은 흐른다.  

오늘도 엊그제 읽었던 이해인 수녀님 시를 한편 볼게.
한번 읽어 보렴.

사람들을 너무 많이 만나면
말에 취해서 멀미가 나고

꽃들을 너무 많이 대하면
향기에 취해서 멀미가 나지
 
살아 있는 것은 아픈 것
아름다운 것은 어지러운 것

너무 많아도 싫지 않은 꽃을
보면서 나는 더욱 사람들을
사랑하기 시작하지

사람들에게도 꽃처럼 향기가
있다는 걸 새롭게 배우기 시작하지 (이해인, 꽃멀미) 

멀미는 보통 배를 탔을 때, 배가 앞뒤 방향으로 일렁거리고 흔들리면 속이 역겨워지는 현상을 말하지.
그런데 육지멀미라는 말도 있단다.
배타는 사람은 몸이 배의 일렁거림에 적응해 있기 때문에,
육지에 올라서면 땅이 흔들리는 것처럼 여겨진대. 

꽃멀미는... 꽃을 보면서 어떤 감각을 신체적으로 느끼게 된다는 이야기겠지. 

처음에 사람멀미를 이야기했어.
사람멀미. 사람을 너무 많이 만나면 피곤하고 정신이 없대.
사람은 제각기 기준도 다르고 가치관도 다르게 마련인데,
또 자기 고집을 부리곤 하니까 사람멀미도 날 만 하지.  

2연에서 꽃처럼 아름다워 보이는 것이라도
너무 흔하면 멀미가 난다는구나.
그렇겠지.
아무리 맛있는 진수성찬이 산처럼 쌓여있는 부페엘 가도,
어느 정도 배가 부르고 나면 음식이 당기지 않는 것처럼 말이야. 

사람과 꽃에서 느낀 '멀미'란 의미를 이제 3연에서 확장시킨단다.
살면서 사람을 만나는 일처럼 좋은 일도 없고,
이쁜 꽃을 만나는 것처럼 좋은 일도 없어.
그런데, 그 일은 가끔 사람을 지치고 힘들게 한단다.  

불교에서 '인생은 고통'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걸,
수녀님은 '살아 있는 것은 아픈 것, 아름다운 것은 어지러운 것'이라고 표현했어. 

사노라면, 아픈 일을 당하게 마련이다.
좋아하는 사람은 못만나 괴롭고, 미워하는 사람은 만나서 괴롭다.
좋아하는 사람도 미워하는 사람도 지어 가지지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이런 불경 구절도 있지. 

그렇다고 수녀님의 시에선 '혼자서 가라', '혼자서 도를 닦아라'처럼 표현하지 않아.
꽃은 아무리 많아도 싫지 않은 것처럼,
사람들을 사랑하겠다는 긍정적 자세를 가지려 한단다. 

사람을 만나는 일은 멀미나는 일이기도 하지만,
또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 경우도 있는 법임을,
사람을 만나면서 배워나가는 것이겠지. 

세상엔 자기 취향에 적합한 사람도 있지만,
정말 에너지가 상반되어서 툭하면 부딪치는 사람도 있게 마련이야.
그렇다고 사람을 미워하는 일에 마음을 쏟기 보다는,
사람의 향기를 찾는 일로,
마음의 긍정적 에너지를 쓰고 싶다는 소망으로 시를 맺는는구나. 

수녀님들끼리 생활한다고 갈등이 없겠니?
그렇지만, 인간을 밉다밉다하고 바라보면 정이 안 드는 법이니,
꽃의 향기에 취하듯, 인간의 향기에 취하는 일도 마음 먹기 달린 거라 생각하자는 이야기겠다. 

나는 이 시를 읽으면서,
<말에 취해서 멀미가 나고>에 관심을 갖고 읽어 봤어.
사람이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고 했듯이,
꼭 필요한 말을 가려서 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단다. 

중간고사를 준비하면서, 이렇게 4월도 가고있구나.
이 봄비가 그치면,
가로수들도 더 파랗게 싹에 힘이 돋아날거야.
민우도 힘차게 따뜻한 봄을 즐기는 마음을 갖기 바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1-04-23 2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 저는 정말 멀었나봐요.
마지막 구절인 사람에게서도 꽃처럼 향기가 난다는 부분에서,
저럴 수 있을까 라는 생각부터 했거든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글샘 2011-04-24 21:53   좋아요 0 | URL
수녀님도 첨엔 사람멀미가 난다고 했잖아요. ㅋ
이 시처럼 꽃을 보면서, 자연을 통해서 사람 멀미를 꽃향기로 바꿔나가는 마음가짐.
그런 게 바로 수도자의 마음일지도 몰라요.
우리같은 일반인은 모르고 살아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