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있는 우리 아이를 위한 세계역사 이야기 1 - 고대편 교양 있는 우리 아이를 위한 세계역사 이야기 1 1
수잔 와이즈 바우어 지음, 정병수 그림, 이계정 옮김 / 꼬마이실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잔 와이즈 바우어의 5권 시리즈 중 첫번째 권. 

어머니가 홈스쿨링을 위해 자기 아이들을 위해 쓴 이야기이기때문에 아주 쉽다.
그리고, 챕터가 지루하지 않으면서 꼭 다루어야 할 것들을 잘 다루고 있으며, 도판들도 쉽게 들어있어서 좋다. 

중학교때 처음 세계사를 배우면서 발음하기도 힘든 도시, 사람들의 이름을 만나면서 나는 참 당황했다.
공부한다고 알아지는 것이 아니던 것들.
초등학생 고학년 정도라면 이런 책들을 마루에 비치해 두고,
잠자기 전에 한 시간 정도씩 함께 읽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 

첫 권에서 로마의 멸망까지가 다루어지고 있는데, 저자의 역사에 대한 박학함이 잘 묻어난다. 

어린 아이들을 위한 책이니만큼, 상세한 설명이 붙어있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군사 독재'에서 '군사'란 군대를 가지고 일을 한다는 뜻이고, 독재란 사람들이 무조건 정부에 복종해야 한다는 말이라고 한다.
아, 미국아이들은 이렇게 설명을 해줘야 하는 모양이다.
한국에서는 그 '자유의 나라' 미국이 '군사 독재'의 모범이 되고 있는데 말이다.
미국이야말로 '군사 독재'의 전형이 아닐까?
군대를 가지고 온갖 일을 하는 미국.
그리고 사람들이 무조건 미국 정부에 복종해야 하는 듯한 분위기... 미국, 좀 짱나는 듯... 

262쪽의 '나스카 유적'에 대한 설명에서 실수가 있다. 수백 미터에 달하는 크기를 '수백 킬로미터'라고 적었다.
헐~이다. 무슨 만리장성도 아니고... 수백 킬로미터짜리 그림을 하늘에서 볼 수는 없는 일이다. ㅎㅎ  

423쪽에 '명왕성'을 '행성'으로 분류했는데... 이 책의 영어판이 2002년판이고, 번역은 2004년에 나온 것이니 그럴 법 하다. 

명왕성에 대한 자료 중,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는 명왕성, 에리스, 세레스 등을 왜소행성으로 분류하여 사실상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명왕성이 처음으로 발견된 1930년부터 2006년까지 명왕성은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가장 작은 행성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행성의 기준에 따라 타원형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명왕성은 행성으로 더 이상 인정받지 못하고,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어 134340이라는 소행성 번호가 붙었다. 

음... 무슨 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134340이란 소행성이 되었단다. 거기 어린 왕자가 사는 이웃동네쯤으로 보인다. 

지금 2권의 중세를 읽고 있는데, 아무래도 중세의 역사는 어둡다.
페스트도 그렇고 100년 전쟁이나 장미 전쟁 등, 그리고 왕짜증나는 십자군까지...  

알라딘 중고샵에서 절반 가격도 안 주고 샀는데, 다섯 권 세트를 책꽂이에 꽂아 두니 마음이 뿌듯하다.
책을 잘 사지 않지만, 가끔은 이런 사치에 빠지는 재미도 있다.
법정 스님... 무소유가 이렇게 뿌듯하진 않잖습니까. 작은 소유의 뿌듯함을 누리게 허락해 주시길...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0-05-11 0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 때문에 내가 죽겠어요~~.
서재브리핑에 글샘님 글이 뜨면 와보고 싶어서 죽겠고,
서평을 읽으면 책이 욕심이 나서 죽겠고....
도대체 저를 몇 번 죽이십니까?

이거 걍 다섯 권 몽창 질렀다 아입니까~~! ㅠㅠ
"님 쫌 짱인듯"이란 부제만 없었어도 한 번 훑어가는 걸로 끝났을텐데...^^

글샘 2010-05-07 11:05   좋아요 0 | URL
죄송합니다. ㅠㅜ
가족의 달에 자꾸 몇 번이나 죽여서...
이 책 세트를 서가에 꽂아 두면... 좀 짱이긴 합니다. ㅎㅎ
마기 님도 좀 짱인듯... ㅋㅋ

비로그인 2010-05-08 02:36   좋아요 0 | URL
진짜 짱이더만요.
뽀다구 지대로예요^^

글샘 2010-05-08 11:03   좋아요 0 | URL
이제 뽀다구 나는 책 뽀다구 나게 읽어 주자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