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를 기르다
윤대녕 지음 / 창비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는 게 얼마나 고독한 "행사"인지를... 삶에서 느끼는 일은 고독하다. 킬리만자로의 표범만 고독한 것이 아니다. 누구나 고독하다. 이런 고독을 읽는 일조차 쉽지 않은 "행사"다.

인생이란 헐벗은 나뭇가지들 사이로 틈틈이 지나가는 햇살을 바라보는 것.
따뜻한 강물처럼 나를 안아줘.
더이상 맨발로 추운 벌판을 걷고 싶지 않아.
당신의 입속에서 스며나오는 치약 냄새를 나는 사랑했던 거야.
우리 무지갯빛 피라미들처럼 함께 춤을 춰.
그래도 인생은 살 만한 거라고 내게 얘기해 줘.
가끔은 자유와 이상과 고독에 대해서도 우리 얘기해.
화병처럼 나는 주인만을 사랑해.
나도 너의 주인이 되고 싶아.
당신이 먼저 잠든 밤마다 나는 이렇게 한줄씩 쓰고 있어요.

아이브로우 펜슬로 밤마다 이런 글줄들을 머리맡에 써야만 하는 존재들. 이런 것들이 남들의 이야기일까?
인간은 서로서로 남이 아니다. 모두들 누군가를 낳고, 늙어가고, 병들고, 죽음에 의해 비창에 빠지게 되는 존재인 것이 인간이다. 그런 유한자인 인간들의 삶은 사실 얼마나 추하고 초라한지... 그 구역질나는 삶을 조금은 신비로운 필치로 그려내는 이가 윤대녕이란 사람이다.

소설가가 먹고 살기 힘든 시대가 제법 되었다. 80년대 이후, 서사의 시대가 훌쩍 지나버리고, 이미지의 시대로 돌아서버린 느낌.
그렇지만 이렇게 서사를 잊지 않고 마주선 이의 글은 초라하지만은 않은 든든함이 느껴진다.

아파도 아프다고 소리내지 못했던 시대의 목소리를 이제 조금씩 낼 수도 있는 것이 문학의 의미라면 의미가 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소설집.

윤대녕 세포의 원형질들이 기억하고 있는 어린 시절의 추억들과 그의 삶의 단편들이 직조해낸 소설들은 읽는 이를 금세 소설 속의 인물들에 동화되게 만들어 버린다. 그들은 아프다고 한다. 읽는 우리도 아프다.

삶이라는 건 내 형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수준의 문제만을 제공하는 게 아니라는 삶에 대한 문제 의식은 인간이면 누구나 얽매여 있는 문제들의 수준이 각기 다름을 제대로 꿰뚫은 말이다.

삶의 "고 苦"라는 가시들이 쿡쿡 우리를 찔러댈 때 움찔 놀라고, 비명을 지르는 그러면서 왜 나만 아픈지를 불쾌해하는 존재들에 불과한 것이 <우리>란 존재임을 격려해주는 날씬한 소설이랄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달래 2007-05-21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리뷰, 잘 읽었습니다. 슬프고 쓸쓸했지만 전 충만함도 느껴져서 좋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