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죽죽 내리던 날을 지나서 근래 해가 났길래 산책하며 사진 몇 장을 찍었다. 요새는 사진 찍는 것도 귀찮아서 자꾸만 거르는데 어제와 오늘은 다르다며 세뇌중이다^^;



7월도 벌써 끝을 향해 가고 있는데 여름 휴가도 생각 않고 지나가고 있었다.
그래서 오늘 부리나케 결정해놓고나니 기분이 상쾌해졌다.
지난 일요일에 여러 권의 책을 주문했다.
발단은 이 책 때문이었다. 얼마 전 읽었던 <돌궐 유목 제국사> 저자가 새로운 책을 냈다는 것이 아닌가. 사실 <위구르 유목 제국사>는 사고 싶어도 절판되서 살 수 없어 심히 아쉬웠었기에 이것도 품절되거나 절판될 지 몰라 미리부터 걱정이 되었고 이런 책은 알았을 때 사야 한다 싶어 결국 질렀다는 이야기다.
<흉노 유목제국사> 제목에서 알 수 있듯 흉노족의 역사를 다루었다고. 무척 기대된다.
<하버드 중국사 송>은 당나라 역사까지 읽었으니 이제 읽어야 할 차례라 자연스레 샀다. 송나라는 상업이 발달하고 주변국과의 교류가 활발했다. 또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는데 특히 남송 때 주자가 유학 체계를 재정립하면서 고려 뿐 아니라 일본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쳤다.
<젠더와 역사의 정치>는 최근 서재에서 많이 거론된 책으로 '젠더'와 '역사' 내가 눈여겨 보는 주제가 동시에 들어가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도서관에서 빌릴 수도 있었지만 이 책은 구매해서 읽고 싶어서 과감히 질렀다. 가능한 오래 걸리지 않고 완독하고 싶어지는 책이다.

<우리는 당신들이 불태우지 못한 마녀의 후손들이다> 는 여성주의책함께읽기 8월 선정도서라 샀다. 여성에 대한 마녀 사냥은 그 역사적 뿌리가 깊다. 페데리치의 책을 최초로 읽게 되는데 얇지만 강렬한 메시지가 담겨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남자가 월경을 한다면>은 12월에 여성주의책함께읽기 책에서 참고 도서로 여러 번 등장하기에 읽어보려고 샀다.
페데리치도 그렇고 스타이넘도 그렇고 이번에 저자 이름을 처음 알게 되었다. 세상에는 여전히 내가 알아야 할 페미니스트들이 넘쳐나는구나. 이름만이라도 여러 차례 접하다보면 익숙해지겠지 생각한다.
<베트남과 그 이웃 중국>은 최근 <베트남 전쟁>을 읽으며 참고 도서로 나와서 담아두었고 읽을 동력이 달아나기 전에 주문했다. 바로 읽게 될 것 같지는 않지만 나중에 주문하려면 잊어버리게 되더라. 베트남과 중국은 예로부터 깊은 관계에 있었는데 그 긴 교류관계의 역사를 한 책에 담아냈다는 것이 놀랍다. 저자의 노고가 읽지 않았음에도 느껴진다. 아무튼 언젠가는 읽게 되겠지?
<DK Life Stories Inspirational People 10 Books Set>
얼마 전 서재 친구분께서 정보를 알려주셔서 찜해놓았다. 가격도 저렴한데 인물&역사 재밌지 않을 수 없는 조합이고 도판도 풍부한 듯하여 기대가 된다. 이 중 특히 제인 구달 편이 궁금하다.
그리고 펀딩도 한 권 했다. 백석 시 100편이 해설과 함께 담겨 있다. 이 책은 8월에 도착 예정이다.
https://www.aladin.co.kr/m/bookfund/view.aspx?pid=1921
7월달에 얼마 안 샀다고 좋아했는데 결국 이렇게 되어 버렸다. 열심히 읽는 수밖에.

그리고 아마존 오더블 3개월 1달러 행사를 하길래 지른 김에 이사벨 아옌데의 영혼의 집을 읽어보려 한다.
마침 집에 번역본은 있었다(원서는 알라딘으로 검색이 안 된다). 들어보니 나레이터가 남미 특유의 액센트를 강조하여 녹음한 느낌이다. 끝까지 잘 들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