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로봇에 대한 고민을 진행시키기 위래서 감상한 영화 
 

기기협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71601  

 

  별로 큰 기대는 아니었지만,
  예상보다 CG의 수준은 나쁘지 않았다.  
  아니 기대 이상이었다.

  왜 그랬을까?
  좀더 고민을 해야겠지만, 우선 드는 생각은, "일단 어느 정도의 수준이 넘고나면 인간은 CG의 차이를 구분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것이다. 
  CD의 음질과 LP의 음질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처럼.  

  ◀ 영화를 보고, 그 정보를 찾은 뒤에 가장 먼저 든 불만은, 포스터에는 왜 이 로봇이 나왔을까 하는 것이다. 주인공도 아닌데. 게다가 '쿵푸를 하는 로롯'이라는 기본 컨셉에서 가장 멀리 있는 것인데. 

 

 하지만 이 영화를 좋은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스토리텔링이 엉망이기 때문이다. 
<트랜스포머>나 <아이언맨>의 스토리텔링 또한 좋다고 할 수 없지만, 이 정도는 아니었다. 
 
이건 뭐, 마구잡이로 뱉어내는 잡담과 농담이 스토리텔링의 축으로 활용되어버리니 말 다했지.
신기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결말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바로 이것이 중국(홍콩) 영화의 힘이라면 힘이다. 그것도 아주 큰!) 

스토리텔링에도 수준은 있다. 제 아무리 B급을 표방하더라도.
그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은 리얼리티인과율이 될 것이다.

다소 낡은 설명이지만, 나는 아직까지 이 이상의 해답을 찾지 못했다.
SF에도 그 만의 리얼리티가 있고, 판타지에도 그 나람의 인과율이 필요한 법이다.  
거대 로봇물 또한 마찬가지이다. 분명히 이것은 공상이나, 공상도 룰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영화에도, 그것들은 분명히 있으나, 그 수준이 매우 처참하다. 안타깝게도. 

 

이쯤에서 일단 정리하고 다음으로 넘어가야겠다.
(아직 더 고민해야겠지만) 거대한 인간형 로봇은 인간의 오랜 꿈 중 하나인 듯하다.
그러나 그것 또한 분명히 이야기, 로봇을 창조했다고 무조건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 로봇이 어떤 이야기를 만드는지 여부가 더 중요한 문제이다.  

고민은 계속된다.
감상해야 하는 텍스트를 찾을 수 있을지, 그것이 우선 고민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