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람을 위한 은행가>라는 칭송을 받던 유누스 박사에 대한 불편한 얘기를 처음 전해들었던 것은 그 나라 출신 이주노동자 S를 통해서였다. S에 의하면, 최초 유누스 박사의 선행은 아름답다 할 수 있을지라도 이후의 그의 행보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고 했다. 그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후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으려고 그가 알고 있는 전세계의 유력 정치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는 얘기도 들려주었다. 그게 정말 사실인지는 모르겠다. 세금을 냈는지, 내지 않았는지.. 하여튼 가난한 사람들에게 소액대출을 하면서 유명해진 그 은행은 방글라데시에서 거대한 사업체가 된 것은 분명해 보였다.
2009년, 나는 S와 함께 방글라데시를 방문했다.
그리고 수도 다카에 있는 그라민은행 본점을 찾아갔다. (가난한 사람들의 거리를 지나 마침내 도달했던 건물은 얼마나 삐까뻔쩍하던지.. 1층 로비에 꾸며진 유누스 박사의 노벨평화상 소개는 또 얼마나 거창하던지..)
그곳에서 담당자들과 얘기를 나누면서 찜찜한 기분이 들었던 것을 기억한다. 대개의 NGO들은 단체를 방문하는 해외 NGO활동가에게 돈을 요구하지 않는다. 최소한 나의 경험은 그러했다. 우리 단체를 방문했던 활동가들에게 돈을 요구했던 적이 없고, 마찬가지로 외국의 단체를 방문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각자의 활동에 대한 존중, 존경의 의미로 기꺼이 시간을 내어 안내하고 도움을 준다. 그들을 위해 방문할 곳들을 섭외하고 직접 안내하고 심지어 통역을 해주더라도 그 활동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거나 받아본 적이 없다. 간혹 단체의 활동에 감동한 이들이 후원금을 주거나 단체 기념품을 선물로 준 적이 있고, 나 또한 해당 단체의 활동에 보탬이 되기를 바라며 약간의 후원금과 선물을 전달한 기억만 있다.
그래서 그라민뱅크의 담당자가 A활동, B활동, C활동을 참가할 때 각각 00~000$를 내야 한다고 할 때 당황했었다. 나 때문에 일부러 조직하는 활동이 아니라 그들의 평소 활동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방문하는 것인데 교통비 등의 실비가 아니라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는 참가비가 있다는 것이 의아했다. 마치 놀이동산을 방문할 때 입장료를 내는 것처럼 느껴졌다.
돈을 내더라도 가보고 싶다 했지만 단체의 일정상 불가능해졌다. 그들끼리 설왕설래할 때, 나는 잠시 사무실 밖에서 기다려야 했는데 그때 그녀들의 말소리가 들렸다. 외국에서 온 두 명의 여성들이 "또 저들이 거짓말을 하는군" 하는 것이다. 그 여성들은 당시 그라민뱅크에서 인턴쉽 활동을 하고 있었다. 무슨 영문인지를 물었지만 자세히 대답해 주지 않았다.
우연히 이 책이 나온 걸 봤다. 시간 날 때, 천천히 읽어봐야 겠다. 조만간 한가해질 것 같으니 책 읽을 시간도 덩달아 생길 듯하다. 모쪼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