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에서 온 세 명의 농업 노동자가 있다.
이들은 눈발이 날리는 날에도 얼음보다 더 차가운 물 속에 들어가 미나리를 채취했다.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 많은 채소들도 이처럼 많은 농업노동자들의 수고로움 덕분이다.
이들은 울산과 기장의 미나리밭에서 새벽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하루 12시간씩 일했다.
일주일에 토요일 하루가 그들에게 보장된 유일한 휴일이었지만 이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한국의 많은 노동자들처럼 고향에 있는 가족들을 부양하고 있다는 책임감과 보람으로 힘든 노동일을 견뎌냈다.
언젠가부터 사장부부는 임금을 체불하기 시작했다.
이번 농사가 끝나면 목돈으로 주겠다, 이번에는 돈이 많이 남질 않아서.. 다음 수확철에는 꼭 주겠다, 땅을 팔면 주겠다... 사장의 말은 매번 바뀌었지만 수천만원의 체불임금이 이들의 발목을 잡았다. 주겠지, 꼭 주겠지, 준다고 했으니 이번에는...
올해 2월, 마침내 미나리 농사가 끝나고 중국 노동자들은 임금을 받는대로 고향에 돌아갈 생각이었다. 몇 년 만에 처음으로 온 가족이 모여 설 명절을 함께 보낼 꿈에 부풀었다. 그러나 이번에도 사장은 밀린 임금을 해결해주지 않았다. 찬바람을 막기에는 역부족인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체불임금을 달라고 요구했다. 사장은 숙소에서 나가라며 수도를 끊어버렸다.
땅이 팔렸느냐고 계속 물었다.
사장은 더이상 땅이 팔리면 주겠다는 말도 하지 않고 '돈이 없다. 모른다'는 말만 계속했다.
결국 노동청에 체불임금건을 진정 접수하였다.
사장은 체불임금은 없다며, 600만원을 줄 테니 합의하자고 했다.
3명의 체불임금은 모두 합해 7천만원. 도저히 합의할 수 있는 수준의 금액이 아니었다.
사장은 경찰에 업무방해로 신고했다.
처음 출동했던 경찰들은 임금체불건을 확인하고는 "돈 받고 귀국하라"며 돌아갔다.
뒤이어 다른 경찰들이 왔다. 이들은 노동자들의 임금체불 상황을 다 듣고 난 후에 "안심해라, 우리가 임금 받도록 도와주겠다. 그동안 보호해줄테니 같이 가자. 임금 다 받기 전에 귀국 안시키고 우리가 보호해주겠다"고 했다. 경찰의 말을 믿고 그들이 안내하는 대로 차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