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199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홍세화씨의 글을 읽다보면 느끼게 되는 것은 어떤 문제에 대해서 단순하게 보이는것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내면의 의미까지 이해(!)하려는 모습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아마 홍세화씨가 프랑스의 문화속에서 오래 살면서 체득하게 된 것일 수도 있고 원래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아뭏든 한국의 천박한 주류 지식인 사회에서는 보기 힘든 특징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수가 없습니다.

홍세화씨가 이야기하는 프랑스를 읽다보면 다른 것은 사실 크게 부럽거나 배워야한다는 생각은 들지 않지만 오직 하나 토론하고 생각하는 문화는 정말 부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토론이 활성화된(우리나라와 같이 개싸움같은 토론이 아닌...) 사람들이기에 '똘레랑스'가 나올 수 있고 생각을 하고 고민하기에 모든 사람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다고 봅니다.
어떤 비열한 수단을 써서라도 상대편을 이겨야만 하는 토론(아니 언어의 난투극이라고 해야겠지요...)내지는 그 나마 토론도 없는 선동만이 난무하는 한국사회와 비교하면 정말 부러운 환경입니다. 우리 사회는 언제쯤이면 토론을 통한 사고의 깊이를 넒히는 문화가 형성될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