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불확실한 이 세상을 잘 살아가기 위한 방법이 있을까? 답은 의외로 심플하다.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드는 최고의 방법은 그저 최고의 남편, 최고의 엄마, 최고의 이웃이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여기에 덧붙여 누구나 현재 있는 그 자리에서 ‘~답게’ 살아가는 삶이 최선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_애덤 스미스 원저/러셀 로버츠 저/이현주 역 | 세계사

원제 : How Adam Smith Can Change Your Life: An Unexpected Guide to Human Nature and Happiness

 

 

가장 중요한 것은, 나를 일으켜 세우는 것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해야 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250년 전, 스코틀랜드의 한 도덕철학자는 도덕 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이라는 책에서 행복하고 좋은 삶에 대해, 행복의 진짜 의미에 대해 깊은 성찰을 담아주었다. 바로 애덤 스미스이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도덕적인 마음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그리고 왜 사람들이 자기 이익과 상관없는 일에도 예의바르고 선하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인간이 아무리 이기적인 존재라 할지라도, 기본 바탕에는 이와 반대되는 선한 본성도 있다. 그래서 인간은 다른 사람의 운명과 처지에도 관심을 갖는다. 또 자신에게 아무런 이득이 없을지라도 다른 사람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라기도 한다.” 인간의 일반적인 성격을 잘 표현해주는 대목이다. 그러고 보면 스미스는 인간의 본성을 매우 착하게 인식하고 있다. 아니 바라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 책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의 저자 러셀 로버츠는 스탠포드 대학 교수이자 보이지 않는 마음』 『선택의 논리등을 쓴 베스트셀러 저자이다. 저자는 애덤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을 읽고, 이 책이 주는 감동을 널리 알리고자 펜을 들었다고 한다. 도덕 감정론에서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보석 같은 내용을 찾아내서 정리했다.

 

1759, 애덤 스미스는 도덕 감정론을 집필하면서 모르는 사람 수만 명이 죽었다는 사실보다 내 새끼손가락 하나가 없어진다는 사실에 크게 상심하는 것이 우리 인간이라고 지적했다. 남의 커다란 불행보다 내 손톱 밑의 가시가 더 아픈 법이다. 이런 면은 스미스가 살던 시대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다.

 

 

그렇다면 이기적인 인간은 어떻게 타인이 원하는 것을 주게 된 것일까? 이 의문에 대한 답은 간단하다. 스미스가 새로 정의한 이기심때문이다. 우리는 타인이 원하는 것을 그냥 주는 게 아니라, 타인이 답례로 무언가를 줄 것이라고 전제했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는 것이다.

 

스미스는 공정한 관찰자를 거론했다. 누구나 마음속에 공정한 관찰자가 있다고 한다. 그 관찰자는 나의 행동이 옳은지 공정하게 알려주는 가상의 인물이다. 공정한 관찰자 덕분에 우리는 한 걸음 물러서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공정한 관찰자는 때로는 타인을 위해 나의 큰 이익을 양보하는 행위가 적절하다고 알려준다. 또한 아주 큰 이익을 얻는다는 이유로 타인에게 아주 작은 피해를 주는 행위가 매우 잘못됐다는 사실도 알려준다.” 타인에게 아주 작은 정도가 아니라 생존에 매우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큰 피해는 어찌해야할까?

 

불확실한 이 세상을 잘 살아가기 위한 방법이 있을까? 답은 의외로 심플하다.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드는 최고의 방법은 그저 최고의 남편, 최고의 엄마, 최고의 이웃이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여기에 덧붙여 누구나 현재 있는 그 자리에서 ‘~답게살아가는 삶이 최선이 아닐까?

 

애덤 스미스는 도덕 감정론보다 국부론의 저자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생전의 스미스는 자신의 묘비에 도덕 감정론의 저자, 여기에 잠들다라고 새겨지길 원할 정도로 이 책을 자신의 생애에 중요한 저서로 생각했다. 이 책의 저자 러셀 로버츠에 의해 일상의 언어로 재탄생했다.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은 독자들에게 숨겨진 고전을 새롭게 소개한 노력을 인정받아 아마존 종합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현재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 아래! 알쏭달쏭 이분법 세상 2
이월곡 지음, 홍자혜 그림 / 분홍고래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리의 아이들에게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 창의적인 사고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알고 모르게 이분법적 사고가 형성된 것을 부수고 다시 세워보자는 의도가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 아래! 알쏭달쏭 이분법 세상 2
이월곡 지음, 홍자혜 그림 / 분홍고래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쏭달쏭 이분법 세상-2 ! 아래!

     _이월곡 글/홍자혜 그림 | 분홍고래

 

 

삶은 선택의 연속선상이다. 사지선다형 삶의 문제도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이 길이냐? 저 길이냐? 이것이냐? 저것이냐? 의 이분법적 사고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우리의 아이들에게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 창의적인 사고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알고 모르게 이분법적 사고가 형성된 것을 부수고 다시 세워보자는 의도가 담겨있다.

 

 

때로 이분법적 논리는 흑백논리처럼 활용된다. ‘아니면 ’, ‘아니면 아군’, 옳은 게 아니면 틀린 것 등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으로는 좌파냐 우파냐, 친미냐 반미냐, 보수냐 진보냐? 등으로 나뉜다. 이분법적 사고는 사고의 편리함과 유용함보다도 다양한 의견과 다원성을 가진 사회문화를 거부하게 하는 원인 제공을 한다.

 

 

이 책은 아이들의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몸에 배인, 때로 강요받기도 했던, 생활 속 이분법적 사고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를 준다. 아울러 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 이분법이 부정적인 의미만 담겨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설명해주고 있다.

 

 

, 아래 역시 이분법적 사고에서 나온다. 그러나 위, 아래는 어디에 기준을 두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기준이라는 것은 우리의 삶에 필요한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 고정 관념 속에 위는 좋은 것 아래는 안 좋은 것이라는 생각이 자리 잡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 기준으로 사람 사이에 계급을 나누고 계급으로 차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거의 고정 관념으로 자리 잡은 위아래를 상상 속에서 뒤집어보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뒤집어 생각해보기, 거꾸로 생각해보기, 다르게 보기, 이런 것들은 우리의 창조적 사고를 위한 좋은 재료들이다.

 

 

, 아래는 없다는 말도 되고, ‘, 아래는 있다도 말이 된다. 광활한 우주 속 무중력 상태에서 위, 아래가 있을까? 위쪽이라 생각하면 아래가 되고, 아래인가 보다하면 위가 되는 상황이 쉽게 상상된다. , 아래는 이와 같이 기준점이 사라지면 함께 사라진다. 그러나 땅을 딛고 살아가는 사람들 세상에선 위, 아래가 분명히 존재한다.

 

 

그렇다면 위는 좋고 아래는 나쁘기만 할까? 나와 좀 다른 것을 틀린 것이라고 생각하는 마음부터 고쳐야 할 것이다. 위와 아래는 가르고 나누기 위한 경계가 아니라 서로 돕고 함께 협력 해야 하는 관계이다.

 

 

개인으로 떨어져 있으면 힘이 없습니다. 거대한 나무 같은 신분 사회의 뿌리를 뽑기 위해서는 힘을 합치지 않으면 안 되었지요. 그 결과 시민 세력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역사에 새로 등장한 시민 세력은 모든 인간이 날 때부터 자유롭고 평등하며, 하늘이 준 인권을 누릴 세상을 원했던 것입니다.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 스스로 행동하고 책임지는 개인이 함께한 시민 세력의 거대한 물결이, 도저히 사라질 것 같지 않던 왕의 자리를 뒤집어 버린 것입니다.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혁명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혁명의 결과를 민주주의라고 불렀습니다.”  촛불 집회를 다시 생각나게 하는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과 글 - 우리의 글쓰기가 가야 할 길
조르조 아감벤 지음, 윤병언 옮김 / 책세상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코 가볍지 않은 주제들이지만 읽어나가기엔 큰 무리가 없다. 책 속에서 시대를 넘나드는 사상가들의 ‘말’들도 함께 만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