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자전(丁侍者傳)                    -석식영암-

 줄거리

 어느 날 정시자(여기서는 지팡이를 말함)가 고승 식영암에게 찾아 가서 제자 될 것을 청했다. 그리하여 식영암은 정시자와 대면해 앉아서 정시자가 오게 된 사유를 듣는다.

정시자는 본래 포희 씨(복희 씨)의 손으로 수백 년 풍상을 겪으면서 자랐다고 한다. 진나라 때에는 범 씨의 가신이 되어 몸에 옻칠을 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말한다. 당나라 때는 말 잘하는 조로의 문인이 되었다고 한다.

그 뒤 정도땅에서 정삼랑을 만나 생김새가 정(丁)자와 같다며 정씨 성을 받는다. 자신의 직책은 항상 사람을 붙들어 도와주는 것인데, 지금은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여 의지할 곳이 없다는 것이다. 어느 날은 토우인(土偶人)에게 비웃음을 당한 뒤 하늘님이 화산(花山)으로 가 스승을 만나라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식영암은 정시자에게 후덕스러운 정상좌라고 칭찬을 마지 않는다. 또한 하나하나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아름다운 덕을 베풀어 오래 살고 늙지도 않을 성인이라고 전한다. 그러나 식영암 자신은 정시자의 스승이 될 수 없다며, 화산으로 각암이라는 늙은 화상을 찾아가라고 한다.

 

 

 이해 및 감상

 고려 말엽의 승려 석식영암이 지은 대화체로 된 가전체 작품으로,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을 깨닫고 도를 지킬 것을 경계한 가전체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정시자가 식영암을 찾아와 제자로 삼아 줄 것을 청하니 식영암은 정시자 가문의 내력과 덕행을 들어 본 후 자기는 감히 정시자의 스승이 될 수 없는 몸이라고 사양을 한다. 그리하여 화산에 있는 각암이라는 늙은 화상에게로 보낸다는 이야기다.

이 작품은 인세의 덕(德 : 인, 의, 예, 충, 효)을 경계하는 당시 사회를 직접 비판,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식영암은 의인화의 기법을 동원하여 당시의 사회상과 배불사상을 비판하였고, 사람을 부시(의지하고 믿는)하는 정시자를 통하여, 중생을 인도한다는 크나큰 사명감을 가지는 승려를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고려말 불교의 전횡과 그 사회적 혼란을 그린 내용은 부패한 불교 사회의 단면을 고발하고 승려와 지도층에 자각과 반성을 촉구하는 일종의 우화문학적인 성격을 띤다. 무엇보다도 천하를 편력하면서 성인이 되어 (壯勇信義仁禮正命) 인간에게 교훈을 주고, 더 나아가 종교적, 사상적인 면에 있어서도 노장사상을 배격하고 유불사상의 장점을 혼용, 완성하여 성불로 나아가려는 작자의 종교관이 잘 나타나 있음을 볼 수 있다.

불교 포교와 지도층의 겸허를 권유한 것으로, 선문답(禪問答) 같은 내용을 지닌 파격적인 작품이다. 또한 가전체 작품의 전형적 구성이 도입부, 전개부, 평론부 등 3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하면, 이 작품은 그 가운데서 작품 말미에 평론부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 소개된 내용은 주인공의 가계와 품행과 덕행을 주 내용으로, 자신을 알아서 도의 생활을 지킬 것을 이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