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가 삼킨 폭포((猪喫瀑布)    

                                    - 서거정 채록

한 조관(朝官)이 일찍이 진양(晋陽) 고을의 수령이 되었다. 그는 가렴 주구(苛斂誅求)가 심하여 비록 산골의 과일과 채소까지라도 그대로 남겨 두지를 않았다. 그리하여 절간의 중들도 그의 폐해를 입었다.

하루는 중 하나가 수령을 찾아가 뵈었더니, 수령이 말하기를, “너의 절의 폭포가 좋다더구나.”라고 하였다. 폭포가 무슨 물건인지 모르는 중은 그것도 또 세금으로 거두려고 하는가 두려워하여 대답하기를 “저의 절의 폭포는 금년 여름에 돼지가 다 먹어 버렸습니다.”라고 하였다.

강원도 한송정(寒松亭)의 산수 경치가 관동 지방에서 으뜸이었으므로 구경꾼이 끊이지 않고 말과 수레가 사방에서 모여 들었다. 고을 사람들은 그 접대하는 비용이 적지 않았으므로 항상 푸념하기를 “저 한송정은 어느 때나 호랑이가 물어 갈까.”라고 하였다.

어떤 시인이 다음과 같이 두 구(句)의 시를 지었다.

 

  폭포는 옛날에 돼지가 먹어 버렸네만,      瀑布當年猪喫盡

  한송정은 어느 때에 호랑이가 물어갈꼬.   寒松何日虎將歸      

=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 조관(朝官) : 조정에서 일하는 신하

    # 가렴주구(苛斂誅求) :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 한송정(寒松亭) : 강릉 경포대에 있는 정자로, 관동팔경의 하나임.

    # 푸념 : 마음에 품은 불평을 말함

    # 하일(何日) : 어느 날

    # 瀑布當年猪喫盡(폭포당년저끽진) : 폭포는 옛날에 돼지가 다 먹어 버렸다.

    # 寒松何日虎將歸(한송하일호장귀) : 한송정은 어느 날에 호랑이가 물어 갈꼬.

    # 그는 가렴주구(苛斂誅求)가 ~ 폐해를 입었다. : 고을 수령의 수탈 범위가 미치지 아니한 곳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가혹함의 정도를 강조하기 위한 표현으로 중이 폭포를 돼지가 먹었다고 엉겁결에 대답할 수밖에 없는 사정을 설명하고 있다.

    # 저의 절의 ~ 먹어 버렸습니다. : 고을 수령의 가혹한 수탈 정도에 대한 일반 백성들의 반응을 짐작할 수 있는 표현. 무엇이든 빼앗기지 않으려는 민중들의 경계심을 해학적으로 표현하였으나 웃음보다 연민(憐憫)이 앞선다.

    # 폭포는 옛날에 ~ 물어갈꼬. : 벼슬아치에게 수탈당하는 괴로움을 압축하여 표현한 시로 백성들의 원성(怨聲)은 아랑곳하지 않고 횡포를 계속하는 지배층에 대한 풍자와 더불어 당대 민중들의 어려운 삶의 현실을 동시에 반영하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데메트리오스 2004-08-10 1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을 보니 예전에 중국사 책에서 본 일화가 생각나네요. 5대 10국 시절 송주(하남성 상구)의 지방장관 조재례는 가혹하게 세금을 짜내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이 자가 전근을 가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백성들이 '눈 속에 박힌 못이 뽑힌 듯 후련하다'고 하자 이를 들은 조재례가 다시 송주에 유임하여 1년 동안 백성 1인당 1천 전의 <못뽑이세>를 징수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강(안휘성)의 지방장관 장숭이 역시 가혹한 수탈로 백성들로부터 '쌍놈'이라고 불렸는데, 그가 소환을 받고 수도로 가자 백성들이 '그 쌍놈 이번에는 돌아오지 않겠지'하고 기뻐했답니다. 그런데 장숭이 다시 돌아와서 그 소식을 듣고 분개하여 <쌍놈세>라는 명목의 세금을 물렸답니다. 얼마 후 장숭이 또 소환되자 '설마 이번에야 다시 못오겠지'라며 백성들이 수염을 쓰다듬으면서 기뻐하였는데, 또다시 장숭이 돌아오는 바람에 이번에는 <수염 쓰다듬세>를 냈다고 합니다 -_-;;

꼬마요정 2004-08-10 1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권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권력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정말 훌륭한 사람입니다..그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