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방 부인 정탐기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1
정명섭 지음 / 언더라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 다섯일까, 넷일까 고민했다. 별 다섯을 준 이유는 김금원과 <호동서락기>의 존재를 알려준 것과 오가작통법이 작동하는 방식이나 사형 집행 방식, 다모가 수사하는 방식을 여타 다른 소설보다 더 자세하게 알려줘서이다. 읽는 동안 관노인 다모 박순애의 활약과 '삼호정 시사'를 만든 김금원과 함께 시를 즐기는 이운초, 임혜랑, 박죽서의 기개와 재치가 멋졌다. 


여기 나오는 두 가지 사건은 모두 조선 시대 때 실제 일어났던 사건을 모티브로 한 것이라고 한다. 역시 실제 사건이 가장 험악하고 잔인한 듯 하다. <사라진 신부>의 은월이 겪은 기가 막힌 사건이나, <며느리의 죽음>의 박아지가 죽은 사건은 모두 인간의 탐욕 때문이었다. 욕심이 얼마나 무서운 지, 사람의 인생을 파괴하거나 생명을 앗아가는 일이 아무렇지 않게 벌어졌다. 그래도 인과응보, 일벌백계가 이루어진 것은 좋았으나, 또한 그 안에서도 희생된 이들이 있었다.


김금원이 금강산, 제천 의림지 등을 여행하고 돌아올 수 있었다면, 은월은 엄마가 돌아가시고 들어 온 새어머니의 핍박에 운신이 어려웠다. 여인의 몸가짐 운운하는 것도 은월을 힘들게 하는 것이었다. 박아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속적삼을 입은 채 죽어 있었기에 정말 친한 이의 소행으로 용의자가 좁혀지는데, 시집 온 지 얼마 안 되었기에 바깥 출입도 잘 하지 않았다고 했다. 밖에 나오면 행실이 좋지 않다고 소문난다고. 


그나마 이 때 여자에게도 재산이 상속된다는 것을 알게 되니 마음이 한결 나았다. 여자를 경시하고 여자의 활동을 싫어하는 사회였기에, 관노에게 수사권을 준 것 역시 이해가 되었다. 양반 여자가 권력을 가지는 게 싫었을 테니까. 심지어 경국 대전에는 '부녀로서 절에 올라가는 자, 사족 부녀로서 산천에서 놀이를 즐기는 자는 장 100대에 처한다'는 부녀자 여행 금지 법안이 있었다고 한다. 조선 초기에는 고려 시대의 영향으로 부녀자들이 외출을 곧잘 했다고 하는데, 세종 때 이래서는 안 된다고 법을 엄격하게 적용하게 되었다고. 이렇게 갑갑한 세상 속에서도 힘들지만 자신의 일을 하면서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 있었으니, 다모인 박순애도 김금원도 은월도 모두 그 시대를 열심히 살아낸 멋진 여자들이었다. 


"세상은 고용한데 죽음은 끊이지 않는군."(p.190)

 

그러니 삼호정 시사 다섯 여인과 박순애는 약자들의 억울한 죽음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모두를 구할 수는 없어도, 누군가를 구할 수 있으니. 그들을 응원하며 다음 권이 나오길 기다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