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일요일, 후배 장례식에 갔다.

 

부고 문자가 왔을 땐, 당연히 그 아이의 부모님 중 한 분이 돌아가셨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느낌이 싸해서 문자를 다시 봤을 때... 본인 사망은 충격이었다.

 

2018년 2월 말, 그 아이는 또 다른 후배와 함께 손을 잡고 내가 있는 사무실에 들어왔다.

 

"언니, 우리 결혼해요."

 

같이 공부하던 정독실 후배였던 두 사람은 해맑게 웃으며 행복해했다.

 

전혀 몰랐다. 그 아이가 암과 싸우고 있던 사실을.

 

지금으로부터 5년 전 암 선고를 받고 치료와 수술을 거듭했을텐데 왜 아무도 몰랐을까.

 

죽음은 그렇게 나이를 무시하고 그 아이를 데려갔다.

 

 

중국의 어느 소수 민족 신화에 보면 붉은 새벽이 붉은 이유는 아버지 해가 아기 별들을 잡아먹어서라고 한다. 죽음이란 그렇게 곳곳에 선연한 핏빛을 남기는가보다. 여태껏 살면서 수많은 죽음을 보았지만, 나보다 어린 생명들이 죽는 건 가슴이 너무 아프다. 그리고 나도 언젠가는 죽겠지란 허망함.

 

삶이 쉽지 않기에, 삶에 의미를 두고 싶어진다. 삶이 행복해야만 하는 건 아니지만, 이왕 사는 거 행복하고 싶다. 하지만 삶의 의미는 고통스러울 때 더 크게 느껴지는 것 같고, 행복은 그 순간이 지나가서야 비로소 완전하게 다가오는 것 같다.

 

문득 떠오르는 책이었다. 어쩌면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말라'는 말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엇갈린 길이 또 다른 사랑을 데려올 줄 몰랐더랬다. 온 세상이 새하얀 눈으로 가득 찬 곳은 말 그대로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인생길을 보는 듯 했다. 저벅저벅 걸어가다보면, 처음 생각한대로가 아니더라도 만족할 만한 곳이 나올게다. 비록 생각한 장소는 가 보지 못할지언정 말이다.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난 뒤 다시 그 곳에 가면 나는 과연 무엇을 볼 수 있을까. 삶이 흘러간 자리를, 특히나 빈 자리를 보는 건 슬프다기 보다는 허무할 것 같다. 마치 장례식을 다녀오고도 한참 뒤 우연히 그를 떠올리는 장소에 갔을 때처럼 말이다.

 

나이가 드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이 나이까지 살아왔다는 게 기적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순간 순간을 느끼며 살고 싶어졌다. 하지만 곧 다시 일상에 매몰되겠지. 찰나 스쳐가는 깨달음은 말 그대로 찰나에 존재할 뿐, 나는 다시 사는 걸 당연하게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이 찰나들이 한 번씩 나를 스쳐갈 때면 또 다시 깨우침을 주겠지. 그러면 조금은 자라 있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5-27 23: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5-28 14:4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