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 교향곡 C장조, K.551은 일명 주피터 교향곡으로 부른다. 이 곡을 만들고 난 후 그의 삶이 조금 더 이어지기는 하지만 그의 교향곡은 이 곡으로 끝이 나게 된다. 비교적 짧은 시기에 만들어진 곡이지만 그의 예술에서 정점을 찍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며, 이전에 만들어진 교향곡 가운데에서도 높은 가치를 지니는 곡이기도 하다.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듯 웅장한 구성과 그 내면에 깃들어 있으며 깊은 예술성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서양 고전음악의 명곡 가운데 하나이다. 주피터(Jupiter) 라는 제목은 J.P. 잘로몬 (J.P. Salomon, 1745~1815) 에 의해 붙여진 이름인데(음악세계사 모차르트편 참조) 이 곡은 그 이름에 걸맞는 품격을 지닌 곡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  

  

  

> 1악장 알레그로 비바체. 소나타 형식을 갖추고 있다. 먼저 오케스트라의 강렬한 울림(1주제)으로 곡은 시작한다. 이어 여리게 우아하면서도 당당한 모습을 띠면서 곡은 이어지고 선명하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거쳐 악장을 마무리하게된다. 2악장 안단테 칸타빌레, 소나타 형식. 정갈하고 깔끔한 구성속에서 우아한 노래와 같은 선율이 이어지는 악장이다. 3악장 미뉴에트 명료함이 느껴지는 악장으로 다양한 표정이 느껴진다. 4악장 몰토 알레그로. 소나타 형식. 전체적으로 유기적으로 짜여져 있으며 화려한 대위법적 요소가 들어가 있다. 화려한 종결을 보이며 곡을 마치게 된다. 
 

 



 

* TOP 추천반

Karl Bohm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62, DG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연주를 담고 있는 음반은 매우 많은데 그 가운데에서 구하기 쉽고, 비교적 여러 사람들에게 균형적인 점수를 얻고 있는 것이 칼 뵘과 베를린 필의 연주이다. 최근의 연주보다 때로 약간 느슨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튼튼한 구조와 끈끈함을 지니고 있는 연주임에는 틀림 없다. 1960년대 초의 녹음이지만 베를린 필의 사운드는 꽤나 아름답게 펼쳐지며 풍성하고 따뜻하다. 오리지널스 시리즈로 나와 있어 저렴한 가격에, 모차르트 후기 교향곡들을 들을 수 있다는 점도 좋다.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그라모폰가이드 추천반


Leonard Bernstein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1984, DG

 

 

  

러프가이드 추천반


John Eliot Gardiner (conductor)
English Baroque Soloists
1989, Philips

 

 

 

BBC 뮤직매거진 어워드


Sir Charles Mackerras (conductor)
Scottish Chamber Orchestra
2007, Lin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5. 모차르트 교향곡 40번  

 

> 모차르트가 남긴 교향곡은 41번을 끝으로 마무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번호로 매겼을 때 <주피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의 모든 작품을 망라한 수는 아니며, 그의 교향곡은 50여 곡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후에 발견된 것 등을 포함) 그의 교향곡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단조로 되어 있는 작품이 매우 드물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모차르트의 교향곡은 이 장르의 양식적인 면에서도 간결하면서도 정돈된, 안정적인 구조를 구축하면서도 깊은 내면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곡을 만들어 내었다. 그의 마지막 교향곡 가운데 하나인 이 곡에서는 앞선 교향곡들에서 더욱 변형, 발전된 형태의 피날레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특이점을 찾을 수 있다. 

 

 


> 1악장 몰토 알레그로 g단조 2/2박자. 소나타 형식으로 낭만적인 시작을 보여주고 있다. 1주제의 가벼운 한숨 같은 부분 이후 2주제가 등장하고 발전부로 이어진다. 발전부와 재현부는 앞선 부분의 모습을 변형하며 이어지며 악장의 끝을 맺는다. 2악장 안단테 Eb장조. 마찬가지로 소나타 형식이다. 1악장의 다소 어두운 표정과는 달리, 마치 마음의 위안을 주는 듯,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악장이다. 3악장 미뉴에트 알레그레토. 낭만적인 흐름을 가진 트리오가 등장하는 악장으로 현악기와 관악기의 소박하고 간결한,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악장이다. 4악장 알레그로 아사이. 1악장, 2악장과 마찬가지로 소나타 형식으로 짜여 있다. 앞선 악장과 비슷하면서도 대조를 이루는 정취가 묻어나는데, 보다 열정적이고 긴장감이 묻어난다고 할 수 있다. 피날레로 이어지는 부분 또한 에너지가 넘친다. 
 

 

 * Top 추천 

  

Bruno Walter (conductor)
New York Philharmonic
1953, Sony 

 

 

 

Leonard Bernstein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1984, DG 

 

 

흐르는 듯 유연하고, 모차르트가 남긴 인간적인 면을 너무나 잘 드러낸 지휘자 브루노 발터. 모차트르 교향곡에서 그의 모습을 많은 사람이 지지하고 있다. 다만, 현재 브루노 발터의 기록을 담은 담은 음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많은 아쉬움을 준다. 이에 대응하여 모차르트의 마음속에 간직한 맑은 노래 같은 연주로 번스타인과 빈필의 궁합이 잘 맞아떨어진 녹음을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모차르트 만년의 단조 교향곡 속에 숨겨진 인간성을 잘 포착한 음반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나와 있으며 모차르트의 마지막 교향곡인 41번 주피터를 담고 있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추천반 

Trevor Pinnock (conductor)
The English Concert
1994, Archiv

 

 

그라모폰가이드 추천반

Sir Charles Mackerras (conductor)
Scottish Chamber Orchestra
2007, Linn

 

 

 


펭귄가이드 ***  

Marc Minkowski (conductor)
Les Musiciens du Louvre
2005, Archi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4. 모차르트 호른 협주곡 3번 

 

> 모차르트는 호른이라는 악기를 위해 모두 네 곡의 협주곡을 썼다. 이는 당시 잘츠부르크 궁정 오케스트라의 호른 주자였던 로이트게프(Joseph Ignaz Leutgeb, 1735-1811)를 위해 작곡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모차르트 자필 악보를 보면 그가 로이트게프에게 썼음직한 메모(잠깐 쉬어, 안되는 돼지 공! 등 - 음악세계 모차르트 편 P.415 참조) 가 있다.
네 곡 모두 호른 협주곡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명인들이 녹음을 남기고 있는 작품이다. 1번과 4번의 작곡 시기에 관해서는 약간의 의견 차이가 있으며 1번은 D장조로, 나머지는 모두 Eb장조로 만들어져 있다. 이 가운데 보통은 제3번 호른 협주곡을 가장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로이트게프을 위해 만든 곡이다. 이 곡에서 전악장에 걸쳐 모차르트는 호른이라는 악기가 가지는 매력을 충분히 보여주려는 노력을 투영시키고 있다.   

 

> 1악장은 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을 지니고 있다. 악장 전체는 간결하고 깔끔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관현악에 의한 제시부 이후 독주 호른이 가세하여 2제시부로 들어간다. 이후 독주 호른의 새로운 주제를 보여주는 발전부로 이어지고 이후 제시부를 다시 보여주는 재현부를 거쳐 1악장을 마무리한다. 2악장 로만체. 3부 형식으로 매우 아름다운 선율의 등장하는 악장으로 호른의 풍성하고도 울림 깊은 느낌이 악장의 첫머리부터 깊게 배어 나오는데 이런 모습이 이 악장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한다. 3악장 알레그로. 가볍고 경쾌한 호른의 연주를 시작으로, 주제를 세 번 반복하고 사이마다 부주제가 끼워져 있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활기 있는 모습의 클라이맥스로 나아가며 곡을 마무리 짓는다.  

 

 

* Top 추천  

 

Dennis Brain (horn)

Herbert von Karajan (conductor)
Philharmonia Orchestra
1953, EMI

 

 

모차르트의 네 곡의 호른 협주곡에서 빠질 수 없는 연주자가 브레인(Dennis Brain)이다. 놀라운 재능과 실력으로 시대를 풍미했던 그였지만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사고로 세상을 떴다. 그가 카라얀과 함께한 음반이 1950년대 초 녹음으로 남아 있다. 유연하고, 풍미 있는 연주로 탁월한 기교 아래 모차르트가 곡에 담은 아름다움까지 모두 뽑아낸 연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음반이다. 모노레코딩으로 현대 녹음한 음반에 비해 디테일이 떨어지는 것이 흠이긴 하지만 이 곡에서 반드시 참조해야 할 음반임은 확실하다.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러프가이드 추천반


David Pyatt (Horn)
Neville Marriner (conductor)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1996, Warner

 

 

펭귄가이드 Key ****

Barry Tuckwell(Horn)
Barry Tuckwell (conductor)
English Chamber Orchestra
1983, Decc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3.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20번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곡으로는 K.466, K.467 등이 있다. 그중에서 K.466은 모차르트가 창작력을 높여 만든 곡이자 피아노 협주곡에서 새로운 영역을 넓힌 곡으로 꼽히고 있다. 단조 협주곡이자 이후 낭만적 피아노 협주곡에도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이 곡은 초연 당시에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베토벤이나 브람스도 즐겨 연주했던, 당시나 지금이나 명곡이자 인기곡이었다. 풍성한 느낌에 낭만적 색채도 느낄 수 있는,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에서도 명곡으로 꼽을 수 있는 곡이다.  




> 1악장 알레그로, 소나타 형식. 현악기로 약하게 1주제가 등장한다. 이 부분은 이후 계속 되풀이하여 나타난다. 이후 변화를 거치면서 경쾌한 흐름으로 곡을 이끌어 나가게 되며 독주 피아노의 빠른 느낌의 후반부로 이어지게 된다. 2악장 로망스. 3부 형식으로 어딘가에서 들어봤음 직한 선율의, 간결하면서도 부드러운 선율이 첫머리에 등장한다. 풍성한 느낌의 목관악기가 피아노를 따라 곡을 잇고 발전부를 거쳐 3부 형식의 악장을 마무리하게 된다. 3악장 알레그로 아사이. 발전부 없는 소나타 형식으로 빠르게 상승하는 듯한 피아노의 독주 시작부를 거쳐 총주로 곡이 이어진다. 독주 피아노의 독주로 발전부 없는 재현부로 이어지며, 이후 당당한 느낌으로 곡을 마무리한다.  

   

* Top 추천 

 

Friedrich Gulda
Claudio Abbado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1974, DG 

 


수많은 녹음과 저마다의 개성을 살린 명연주가 있지만, 현재 음반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 프리디리히 굴다(Friedrich Gulda) 와 클라우디오 아바도가 함께 한 음반이다. 1974년 녹음이지만 영롱한 터치와 반주부의 섬세한 느낌이 잘 살아 있어 감상하기에 무리가 없다. 현재는 2CD로 묶여 비교적 저렴하게 나와 있는데 다른,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도 함께 들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곡의 느낌이나 개성, 완성도 등 어느 하나 빠질 것 없는 음반으로 처음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에 접근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추천반

Clifford Curzon

Benjimin Britten (conductor)
English Chamber Orchestra
1970,Decca

 

 

펭귄가이드 Key ****& 로제타
Alfred Brendel (Piano)

Sir Neville Marriner (conductor)
Academy of St.Martin in the Fields
1973, Philips

 

  

그라모폰가이드 추천반

Alfred Brendel (Piano)

Sir Charles Mackerras (conductor)
Scottish Chamber Orchestra
1998, Philips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맙습니다 2011-07-25 0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고맙습니다. 좋은 음악 잘 들었습니다. 제가 음악회를 많이 안 봐서 그런지 몰라도 저 지휘자 참 특이하네요. 저렇게 카메라를 보며 귀여운 눈짓을 계속 주면서 피아노도 치고 지휘도 하고 웃기도 하고 인상적이네요.
 

 

 

9_1.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A 장조 

 

* 명곡 100선 9번째 곡에서 이미 다룬 곡이어서 9_1번으로 제목 수정합니다. 

> 현재 전해지는 클라리넷 레파토리 가운데 가장 유명하며, 수많은 연주자들이 녹음하고 있는 음악이 바로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622 이다. 이 작품은 그의 친구 안톤 슈타틀러(Anton Paul Stadler, 1753~1812)를 위해 쓴 작품인데 슈타틀러는 당대 최고의 클라리네티스트로 이름이 높았다. 모차르트가 최초 작곡할 시기에는 바셋 호른을 위해 작곡한 것인데 이후 A조 클라리넷을 위해 이조한 것으로 보인다. 저음과 중음, 고음에 걸쳐 상대적으로 다른 느낌의 음색을 보여주는 클라리넷의 특성을 잘 살렸고 폭넓은 음역에 대해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작곡했음을 알 수 있다. 2악장은 영화에도 등장할 만큼 유명하며 과연 모차르트 만년의 작품답게 높은 가치를 지니는 음악이라 할 수 있다.    

 

 

> 1악장 알레그로. 소나타 형식으로 긴 서주부가 오케스트라 반주로 이어지다가 이어 클라리넷이 1주제를 이어 연주한다. 오케스트라와 독주악기는 서로 긴밀하게 대화를 주고 받으면서 이어지다가 발전부를 거져 마무리를 짓게 된다. 2악장 아다지오. 매우 유명한 악장으로 잔잔한 반주 속에서 연하게 뿌려지는 느낌의 클라리넷 솔로가 인상적이다. 간결한 악장이지만 조용한 노래 속에 다양한 움직임이 들어 있는 부분으로 탁월한 조형성을 느낄 수 있는 악장이다. 3악장 론도. 2악장과는 다른 느낌으로 발랄한 느낌으로 시작한다. 활발한 느낌의 독주가 계속 이어지며 곡의 후반부로 이어진다. 악장 후반부는 뚜렷한 카덴차는 보이지 않지만 아르페지오로 이어지는 후반부는 화려한 느낌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 Top 추천반 



Thea King Basset Clarinet
Jeferey Tate (conductor)
English Chamber Orchestra
 

1985, Hyperion

 

 

  
Alfred Prinz (Clarinet)
Karl Bohm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1972, DG 

 



명곡답게 유명한 클라리네티스트라면 한번은 거쳐갔을 법한 레파토리이고 꽤 많은 녹음이 있다. 하이페리언에서 발매한 데아 킹(Thea King)이 잉글리시 챔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녹음한 음반을 우선 추천할 수 있다. 바셋 클라리넷이 들려주는 포근함과 유연함은 또 다른 넉넉함을 안겨준다. 화려하거나 긴장감 넘치는 연주는 아니지만 저녁놀이 느껴지는 운치있는 멋이 깃들어 있다. 한편 이 음반에는 모차르트의 또 다른 클라리넷 명곡인, 오중주 (K. 581) 도 함께 수록해 놓고 있는데 이 역시 추천할만한 연주이다. 한편 알프레트 프린츠(Alfred Prinz) 와 칼 뵘이 함께 한 연주도 과거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잘 짜여진 조형성을 갖추면서 매끈한 윤기가 흐르는 연주이다. 비교적 저렴하게 오리지널스로 나와 있다.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추천반  

Charles Neidich (basset clarinet)
Orpheus Chamber Orchestra
1987,DG

 
   

 

 

 

펭귄가이드 Key & **** 

Richard Stoltzman: clarinet
English Chamber Orchestra
1990,Sony

  

 

 

그라모폰가이드 추천반

Jack Brymer (Clarinet)
London Symphony Orchestra
1964, Phiip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