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문학의 대가 카를로스 푸엔테스(1928-2012)의 작품을 몇권 주문한 김에 리스트를 만들어놓는다. 지난 5월에 세상을 떠났기에 약간 뒷북성 리스트이긴 한데, 그래도 국내엔 소개된 책이 많지 않다. 생전에 가르시아 마르케스, 바르가스 요사와 함께 남미문학 3대 작가로 꼽히기도 했다(이 세 작가의 작품들을 요며칠 수집하고 있다). 대표작 <아르떼미오의 최후>(<아르테미오 크루스의 죽음>)은 절판된 상태로 중고로 구입했는데, 다시 나오기를 기대한다. 가장 최근에 나온 <의지와 운명>(2008)은 노벨문학상 후보작이었다고도 한다...    

 


6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
카를로스 푸엔테스 지음, 서성철 옮김 / 까치 / 1997년 8월
25,000원 → 22,500원(10%할인) / 마일리지 1,2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2년 08월 30일에 저장

붐 그리고 포스트붐- 중남미 단편소설 선집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외 지음, 송병선 옮김 / 예문 / 2005년 7월
9,800원 → 8,820원(10%할인) / 마일리지 490원(5% 적립)
2012년 08월 30일에 저장
품절
아우라
카를로스 푸엔테스 지음, 송상기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2년 08월 30일에 저장

모든 행복한 가족들
카를로스 푸엔테스 지음, 김경주.김정하 옮김 / 뿔(웅진) / 2010년 3월
13,000원 → 11,700원(10%할인) / 마일리지 650원(5% 적립)
2012년 08월 30일에 저장
절판



6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온 택배 중의 하나는 좀 무거운 남성잡지다. <지큐(GQ)>(139호). 표지를 보니 GQ는 'Gentlemen's Quarterly'의 약자다. 내겐 낯선 잡지인데(남성지고 여성지고 구입해본 적이 없으므로) 지난달에 '입문서'에 대해 청탁받고 쓴 짧은 글이 이번 9월호에 실린 것. 입문서라는 ‘구태의연한 소재’에 대한 ‘날카로운 답’을 주문받았었다. 여러 권을 거명해도 됐지만 짧은 분량이라 그냥 피에르 바야르의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에 대해 몇 마디 소개하는 데 그쳤다. 잡지의 270쪽에 실려 있다. 글의 속도감을 살린 편집자의 손길이 인상적이다.

 

 

 

GQ(12년 9월호) 입문서

 

제목에 ‘입문’이란 단어가 붙어 있는 책들이 있다. 입문서다. 혹은 ‘개설’이나 ‘개론’이란 말이 붙을 수도 있다. 그것도 입문서다. 입문서는 그 자체로 자기 존재를 증명하고 있기에 군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자체로 ‘닥치고 입문’이라고 웅변하고 있기에. 군림하고 있기에.

 

 

 

그런 당당한 입문서들 옆으로 ‘-하는 법’이란 제목이 붙은 책들도 있다. 이 또한 입문서일 확률이 높다. 최소한 입문서 흉내를 내거나 입문서 행세를 하는 책들이다. 그런 부류 가운데 ‘서평가’라는 자리에서 고른다면, 단연 눈에 띄는 책이 피에르 바야르의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여름언덕, 2008)이다. <여행하지 않은 곳에 대해 말하는 법>(여름언덕, 2012)도 펴낸 저자이니 이 방면으론 뭔가 아는 저자다.

 

그는 단순히 ‘읽은 척 매뉴얼’을 제시하려는 게 아니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은 자못 진지한 문제의식을 바탕에 깔고 있다. 두 가지다. 첫째는 독서와 비독서 간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 책을 ‘읽은 책’과 ‘안 읽은 책’으로 구분하는 건 단순한 이분법이다. 물론 불가능한 구분은 아니다. 하지만 분명 읽은 책이더라도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 책이 얼마나 많은가. 심지어 책을 읽어나가는 과정은 이미 읽은 부분을 잊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기억은 언제나 선별적이고 독서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니 읽은 책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얼마간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셈이 된다. 솔직히 말해서 그렇다는 얘기다.

 

그리고 둘째로 책이 너무 많다는 점. 한권의 책을 읽느라 다른 열권의 책을 읽지 못하는 게 오늘의 독서 현실이다. 이 경우에도 독서의 이면은 비독서다. 우리가 어떤 책을 읽기로 선택하는 건 동시에 어떤 책들을 배제하는 것이다. 피에르 바야르는 비독서가, 역설적으로 대단히 적극적인 독서 전략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책을 전혀 읽지 않는 무독서와 다르게 비독서는 모든 책에 관심을 기울이기 위해서 독서를 자제한다. 가령 350만권의 장서를 알기 위해서 제목과 목차만을 읽는 한 소설 속 도서관 사서는 비독서의 실천가라고 할 수 있다.

 

독서와 비독서가 서로의 꼬리를 물고 있는 형국이라면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은 독서 입문서로도 활용 가능하다. 아무리 책을 많이 읽는 독자라도 기하급수적으로 쏟아지는 책들을 다 읽는 건 불가능하다. 그러니 독서의 조건은 비독서다. 그런 사실을 자각하도록 해주는 책이니 독서 입문서로도 단연 권할 만하다.

 

12. 08.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적 비만을 다룬 책들을 몇권 읽다가 자꾸 눈에 밟히는 책이 있어서 간단히 적는다.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연암서가, 2012)이다. 

 

 

사실 이 책은 <동물해방>(인간사랑, 1999)이라고 나왔었고 아직 절판되지 않았다. 역자가 같은 걸 보면 번역판권만 옮겨간 듯 보인다. '개정완역판'이라고 한 걸로 보아 약간 개정됐을 수도 있고. 1975년에 나온 원저가 개정판이 나온 것 같지는 않다. 여하튼 '피터 싱어'라는 이름을 각인시켜준 그의 출세작이자 대표작이다. 인간사랑판을 이미 갖고 있는 나로선 좀 머뭇거리게 되지만, 아직 갖고 있지 않은 분은 새 번역판을 구입하시면 되겠다. 독서는 나중에 하더라도 소장용으로 의의가 있기에(이런 제목의 책이 서가에 꽂혀 있는 것만으로도 교육효과가 있다).

 

 

'동물해방'에서 한걸음 더 나가면 '동물권'이란 말과 조우하게 된다. 인간해방에서 동물해방으로 가는 여정이 인권에서 동물권으로 넘어가는 여정이다. 지난주에 '아주 특별한 상식' 시리즈의 하나로 나온 <동물권, 인간의 이기심은 어디까지인가?>(이후, 2012)가 유용한 가이드북이다. 고등학생들의 토론용 교재로도 어울리는 책이다. 같이 읽을 만한 책으로 얼른 떠올린 건 마크 베코프의 <동물 권리 선언>(미래의창, 2011)과 피터 싱어가 엮은 <동물과 인간이 공존해야 하는 합당한 이유들>(시대의창, 2012)인데, <동물권>의 부록을 보니 몇권 더 소개돼 있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존 쿳시의 <동물로 산다는 것>(평사리, 2006), 역시 작가 조너선 사프란 포어의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민음사, 2011), 그리고 조슬린 포르세 등이 쓴 <우리 안에 돼지>(숲속여우비, 2010) 등이다. 마지막 책은 청소년 도서다. 오늘 저녁에도 불고기로 끼니를 해결했지만, 동물권에 대해서 생각하다 보면 식습관도 조금씩 달라질지 모를 일이다. 물론 인권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나라들의 현실이라면(유명무실한 국가인권위원회를 가진 나라를 포함해서) 더 말해서 무엇할까...

 

12. 08.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집에 있는 날이라(직장인이 아니라면 대개 '재택'한 날일 테지만) 아이한테 저녁을 차려주어야 하는데, 일곱 시에 먹겠다고 해서 잠시 시간이 떴다. 나는 배가 고픈 상태이지만, 허기를 기운삼아 페이퍼를 적는다(당연히 몇자 못 적을 것이다!). 제목은 러시아 시인 오시프 만델슈탐(1891-1938)의 시집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문학의숲, 2012)에서 가져왔다. 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난 하고 싶은 말을 잊었다.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비단 시인의 말이 아니더라도 맥락만 닿는다면 우리도 하고픈 말이다.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고.

 

 

 

만델슈탐의 시집이 처음 번역된 건 아니다. 역자인 조주관  교수가 <오늘은 불쾌한 날이다>(열린책들, 1996)란 제목으로 한번 선집을 펴낸 적이 있다. 아마 새로 나온 번역본과 중복되는 시들이 많을 듯싶다. 하지만 당장 내가 손에 들 수 있는 건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이고 표지도 더 맘에 든다. 만델슈탐에 대해선 아내 나데쥬다 만델슈탐의 회고록 <회상>(한길사, 2009)이 번역돼 있으므로 참고할 수 있다. 가슴 먹먹한 대목이 자주 나오는 아주 유명한 회고록이다. 시인은 스탈린시대 대숙청기에 수용소에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는데, 그에 관한 회고를 담고 있다.

 

물론 '번역시'야 언제나 핸디캡을 안게 되지만, 시인의 '시정신'은 우리말로도 전달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시집의 말미에는 러시아문학 전공자이기도 한 이장욱 시인의 발문이 실렸다. '나의 사랑하는 적(敵), 만델슈탐'.

 

 

만델슈탐을 떠올린 김에 최근에 번역된 현대 러시아문학 작가들에 대해서도 한 마디. 저명한 연극이론가이자 극작가 니콜라이 예브레이노프(1879-1953)의 <가장 중요한 것>(문학과지성사, 2012)이 번역돼 나왔다. 오래전 대학원 시절에 접해본 작가인데, 그동안 잊고 있었다. '러시아의 피란델로'란 별칭으로도 불리는 듯한데, 이번에 나온 작품집에는 '즐거운 죽음', '제4의 벽', '가장 중요한 것' 세 편이 수록돼 있다.

 

더불어, '20세기의 도스토예프스키'로도 불리는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단편집 <예피판의 갑문>(문학과지성사, 2012)도 같은 대산세계문학총서의 하나로 출간됐다. <코틀로반>(문학동네, 2010)의 번역자 김철균 교수가 우리말로 옮겼다.

 

 

 

말이 나온 김에 한번 더 언급하자면, 플라토노프의 단편집으론 <귀향 외>(책세상, 2002)이 번역돼 있다. <구덩이>(민음사, 2007)는 <코틀로반>과 원제가 같은 작품, 하지만 다른 판본을 옮긴 것이다. 그리고 장편 <행복한 모스크바>(지만지, 2009)가 더 번역돼 있으며 대표작 <체벤구르>가 번역중인 상태다. 흠, 저녁 먹어야겠다...

 

12. 08.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책상 정리를 '약간' 하다가 지난주 한겨레21(924호) 특집기사를 읽었다. 라틴아메리카 연구자이자 저술가인 이성형 교수의 추모특집이었다(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32723.html). 53세면 아직 젊은 나이인데, 유명을 달리해 안타깝다. 학계의 부정의한 대우에도 불구하고, 라틴아메리카 지역연구에 혼신의 힘을 다했던 성실한 학자였다. 특별한 면식은 없지만, 고인을 기억하는 의미에서 그가 남긴 책들을 리스트로 만들어놓는다. 가장 최근작인 <대홍수>(그린비, 2009)와 공역서 <라틴 아메리카, 미국, 세계>(까치, 2010), (까치, 1999)<아메리카노>(길, 2012) 등은 오늘 주문했다. 고인이 엮은 책으로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와 사상>은 절판돼 아쉽다...

 


1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아메리카노- 라틴아메리카의 독립투쟁
존 찰스 채스틴 지음, 박구병.이성형.최해성 외 옮김 / 길(도서출판) / 2012년 1월
22,000원 → 19,800원(10%할인) / 마일리지 1,1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2년 08월 28일에 저장

브라질 : 역사 정치 문화
이성형 엮음 / 까치 / 2010년 8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2012년 08월 28일에 저장
절판

라틴 아메리카, 미국, 세계
피터 H. 스미스 지음, 이성형.홍욱헌 옮김 / 까치 / 2010년 8월
23,000원 → 20,700원(10%할인) / 마일리지 1,150원(5% 적립)
2012년 08월 28일에 저장
품절

대홍수- 라틴아메리카, 신자유주의 20년의 경험
이성형 지음 / 그린비 / 2009년 11월
25,000원 → 22,500원(10%할인) / 마일리지 1,2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20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2년 08월 28일에 저장



1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