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온 택배 중의 하나는 좀 무거운 남성잡지다. <지큐(GQ)>(139호). 표지를 보니 GQ는 'Gentlemen's Quarterly'의 약자다. 내겐 낯선 잡지인데(남성지고 여성지고 구입해본 적이 없으므로) 지난달에 '입문서'에 대해 청탁받고 쓴 짧은 글이 이번 9월호에 실린 것. 입문서라는 ‘구태의연한 소재’에 대한 ‘날카로운 답’을 주문받았었다. 여러 권을 거명해도 됐지만 짧은 분량이라 그냥 피에르 바야르의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에 대해 몇 마디 소개하는 데 그쳤다. 잡지의 270쪽에 실려 있다. 글의 속도감을 살린 편집자의 손길이 인상적이다.

 

 

 

GQ(12년 9월호) 입문서

 

제목에 ‘입문’이란 단어가 붙어 있는 책들이 있다. 입문서다. 혹은 ‘개설’이나 ‘개론’이란 말이 붙을 수도 있다. 그것도 입문서다. 입문서는 그 자체로 자기 존재를 증명하고 있기에 군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자체로 ‘닥치고 입문’이라고 웅변하고 있기에. 군림하고 있기에.

 

 

 

그런 당당한 입문서들 옆으로 ‘-하는 법’이란 제목이 붙은 책들도 있다. 이 또한 입문서일 확률이 높다. 최소한 입문서 흉내를 내거나 입문서 행세를 하는 책들이다. 그런 부류 가운데 ‘서평가’라는 자리에서 고른다면, 단연 눈에 띄는 책이 피에르 바야르의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여름언덕, 2008)이다. <여행하지 않은 곳에 대해 말하는 법>(여름언덕, 2012)도 펴낸 저자이니 이 방면으론 뭔가 아는 저자다.

 

그는 단순히 ‘읽은 척 매뉴얼’을 제시하려는 게 아니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은 자못 진지한 문제의식을 바탕에 깔고 있다. 두 가지다. 첫째는 독서와 비독서 간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 책을 ‘읽은 책’과 ‘안 읽은 책’으로 구분하는 건 단순한 이분법이다. 물론 불가능한 구분은 아니다. 하지만 분명 읽은 책이더라도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 책이 얼마나 많은가. 심지어 책을 읽어나가는 과정은 이미 읽은 부분을 잊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기억은 언제나 선별적이고 독서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니 읽은 책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얼마간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셈이 된다. 솔직히 말해서 그렇다는 얘기다.

 

그리고 둘째로 책이 너무 많다는 점. 한권의 책을 읽느라 다른 열권의 책을 읽지 못하는 게 오늘의 독서 현실이다. 이 경우에도 독서의 이면은 비독서다. 우리가 어떤 책을 읽기로 선택하는 건 동시에 어떤 책들을 배제하는 것이다. 피에르 바야르는 비독서가, 역설적으로 대단히 적극적인 독서 전략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책을 전혀 읽지 않는 무독서와 다르게 비독서는 모든 책에 관심을 기울이기 위해서 독서를 자제한다. 가령 350만권의 장서를 알기 위해서 제목과 목차만을 읽는 한 소설 속 도서관 사서는 비독서의 실천가라고 할 수 있다.

 

독서와 비독서가 서로의 꼬리를 물고 있는 형국이라면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은 독서 입문서로도 활용 가능하다. 아무리 책을 많이 읽는 독자라도 기하급수적으로 쏟아지는 책들을 다 읽는 건 불가능하다. 그러니 독서의 조건은 비독서다. 그런 사실을 자각하도록 해주는 책이니 독서 입문서로도 단연 권할 만하다.

 

12. 08.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