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감 때문에 오전강의를 휴강하고 모닝커피를 마시며 정신을 차리는 중이다(새로 시작된 망명 뉴스공장을 한타임 늦게 들으며). 해가 바뀌면서 서재일을 포함하여 (안식년 레벨로부터) 일의 강도를 높여보려고 하는데 역시 문제는 체력인 것 같다. 적잖은 일정에다가 읽고 쓸 책들이 태산이라('태산'은 오랜만에 써본다) 레벨업이 가능할지는 두고봐야겠다. 


4월 지중해문하기행을 앞두고 지난주부터 준비강의를 진행중인데, 그와 관련하여 지중해권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책들도 다시금 눈여겨보고 있다. 이번에 그리스와 터키를 다녀오게 되면,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포함하여 대략 훑어보는 셈이 된다(남프랑스와 북아프리카가 빠진 걸로 치면). 고대 그리스부터 로마, 그리고 이탈리아 르네상스, 그리고 스페인의 신대륙 발견까지의 세계사 서사를 따라가보는 여정. 

















2019년 봄 이탈리아문학기행의 주요 주제가 의당 피렌체 중심의 르네상스였는데, 당시엔 단테에만 초점을 맞추었고 마키아벨리는 다루지 않았다. 일정상 여의치도 않았지만, 방구석 문학기행으로라도 다시 진행한다면 필히 다룸직하다(그동안 정치철학 강의도 여러번 진행했기에).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가 최초로 번역돼 나와 다시금 하게 된 생각이다(김상근 교수가 감수했다). 


<군주론>과 <로마사논고>가 이미 여러 번역본으로 나와있는데, <피렌체사>까지 더 얹어진 셈이지만 기꺼이 감수해도 좋은 무게다. 소설가이기도 한 역자는 <군주론>과 <로마사논고>도 새로 번역하고 있다는데, 번역 외에 창작에도 마키아벨리 공부가 활용되는지 궁금하다. 
















더불어 폴커라인하르트의 평전 <마키아벨리>도 나왔다. 마키아벨리 평전도 과장해서 서가 한칸은 차지할 정도 나와있는지라 전반적인 리뷰가 필요하다. <군주론>을 포함한 역서들을 이젠 충분히 나온 것으로 보여서 이 역시도 검토와 평가가 필요하다. 나중에 따로 다뤄야 할 문제인데, 당장은 그리스 크레타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육포 2023-01-13 0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망명뉴스공장?

로쟈 2023-01-23 21:01   좋아요 0 | URL
겸손 뉴공

guqwh 2023-01-14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수님, 하인후입니다. 제게 지적해주시고 싶거나 혹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락주십시오. 성심껏 답하겠습니다.

로쟈 2023-01-23 21:02   좋아요 0 | URL
네, 수고가 많으십니다. 다른 번역들도 기대할게요.~
 

오랜만에 니체를 강의에서 읽기 돼 니체에 관해서도 업뎃을 하는 중이다. 지난해 나온 책들 가운데서 눈에 띄는 건 니체 수용사를 다룬 책으로 이디스 클라우스의 <러시아문학, 니체를 읽다>와 한중일 삼국의 저자들이 공동으로 펴낸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다. 
















<러시아문학, 니체를 읽다>의 원제는 <혁명과 도덕의식: 러시아문학에서의 니체, 1890-1914>(1988)다. 일단은 러시아문학 전공자들에게 의미가 있는 책인데(대학원시절에 복사했던 기억이 있다) 니체 철학의 수용과 전파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누구라도 손에 들어볼 수 있겠다. 같은 맥락에서 눈길이 가는 책이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


"이 책은 니체 사상이 러시아와 일본을 거쳐 중국으로 건너가는 과정, 그리고 일본을 통해 대한제국과 식민지 조선으로 전해져 각국의 역사적 상황에 맞추어 변이되고 재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톨스토이와 루쉰, 이광수 등 우리에게 익숙한 당대의 주요 작가들이 니체 사상에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 그리고 ‘초인’, ‘권력의지’ 등 니체의 주요 개념들이 이들의 작품에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의 니체 수용에 관해서는 책들이 더 있고 연구논문들도 많이 나와 있을 터이다. 번역돼 나온 책들을 조감도 삼아서 더 깊이 탐구해봐도 좋겠다.














러시아에서의 니체는 물론 나의 관심 주제 가운데 하나다. 미 니체와 카잔차키스, 몸, 쿤데라 세 작가에 관해서는 강의에서 다루고 <너의 운명으로 달아나라>로 펴내기도 했다(큰글자책으로도 나왔다). 나의 관심은 도스토옙스키나 톨스토이, 그리고 고리키 등 러시아작가들과의 관계인데, 정리가 되면 책으로로 내볼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봄에 일차분으로 <알랭 바디우>와 <도나 해러웨이> 두권이 나왔던 '라이브 이론' 시리즈의 목록이 새해에도 추가되었다. 세 명의 여성이론가 입문용으로 읽을 수 있는 <주디스 버틀러><쥘리아 크리스테바><가야트리 스피박> 등이다. 출간예정목록을 보니 10권까지는 채워지는 듯싶다(오래전에 <슬라보예 지젝>을 원서로 읽은 인연으로 기다리던 책들이다). 이제껏 나온 다섯권을 리스트로 묶어놓는다...


 


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가야트리 스피박
마크 샌더스 지음, 김경태 옮김 / 책세상 / 2023년 1월
19,000원 → 17,100원(10%할인) / 마일리지 9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3년 01월 08일에 저장

쥘리아 크리스테바
존 레흐트.마리아 마르가로 지음, 박미영 옮김 / 책세상 / 2023년 1월
19,000원 → 17,100원(10%할인) / 마일리지 9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3년 01월 08일에 저장

주디스 버틀러
비키 커비 지음, 조고은 옮김 / 책세상 / 2022년 11월
19,000원 → 17,100원(10%할인) / 마일리지 9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3년 01월 08일에 저장

도나 해러웨이
조지프 슈나이더 지음, 조고은 옮김 / 책세상 / 2022년 4월
19,000원 → 17,100원(10%할인) / 마일리지 9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3년 01월 08일에 저장



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성사의 창시자로 알려진 미국 역사학자 아서 러브조이의 <존재의 대연쇄>(1936)가 다시 나왔다. 앞서 1984년에 나왔으니(소장본이다) 40년만이다. 탐구당(끄세즈 문고로 기억되는 출판사)에서 나왔던 책들이 ‘탐구히스토리‘로 새단장하고 다시 나오고 있는데 콜링우드의 <서양사학사>가 <존재의 대연쇄>(개역판이라고 해서 주문) 전에 구입한책이다. 지성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존재의 대연쇄> 소개는 이렇다.

˝고대 후기부터 18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철학자와 과학자, 그리고 실제로 대부분의 교육받은 사람들은 세계에 대한 설계와 구조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의문의 여지없이 받아들였다. 1933년 윌리엄 제임스 강의를 구체화한 이 책에서 아서 O. 러브조이는 이 개념에 결합된 세 가지 원칙, 즉 충만, 연속, 점차 이행을 지적한다. 그리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신플라톤주의자들의 철학에서 그들의 기원을 분석한다.˝

18세기 계몽주의를 강의에서 다루면서 자연스레 지성사에도 다시 눈길을 주게 된다. 잔뜩 쌓여있는 책들을 정돈할 수 있다면 좋으련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전 강의에서 아테네의 디오니소스 극장 얘기가 나와서 잠시 로마의 콜로세움과 비교했는데, 마침 <7개 코드로 읽는 유럽 도시>에서 같은 맥락의 비교를 읽는다...

아테네를 무력으로 누르고 지중해지역 문명세계의 지배자로 등극한 로마 제국의 수도 및 기타 로마의 주요 도시들에도 아테네 극장을 모방한 건물들이 들어섰다. 그러나 공연 내용은 너무나 달랐다. 로마인들은 무대에서 배우가 실제 피를 흘려야 열광했다. 어차피 죽을 죄수를 끌고 와 무대에서 죽이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아테네는 연극무대에서도 그렇지만 무대 밖에서도 직접 사람의 피를 보는 것을 극히 꺼렸다. 반국가 사범으로 몰려 죽임을 당한 소크라테스에게 내린 판결도 자기 집에서 조용히 사약을 먹는 것이었다. 살인자를 처벌할 때도 광장에서 목을 쳐죽이지 않았다. 웅덩이에 던져 버리거나 나무판에 묶어놓고 서서히 죽게 했다. 살인에 쓰인 무기, 사람의 피를 흘린 도구도 용납하지 않았다. 피 묻은 칼은 아테네 밖으로 추방했다. 아테네는 비극을 사랑했으되 피를 꺼린 도시였다. - P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