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이나 외신이나 별로 좋은 뉴스가 없는 아침에 눈에 띈 책 두 권에 대해 간단히 적는다. 관심분야(지적 '나와바리'라고 할까)의 책들이어서인데, 조너선 컬러의 <문학이론>(교유서가, 2016)과 노엘 캐럴의 <비평철학>(북코리아, 2015)다. <비평철학>은 발행일이 작년말인데 왜 이제야 신간으로 올라오는지 모르겠지만.
예일대에서 영문학과 비교문학을 강의하는 컬러의 <문학이론>은 이미 동문선에서 같은 제목으로 한 차례 나왔던 책이다. 이번에 '첫단추 시리즈'로 다시 나왔는데, 원저는 '아주 짧은 입문서' 시리즈의 하나다. 저자는 <구조주의 시학>이란 책으로 이름을 날렸지만, 문학 전공자들 외에는 친숙한 이름이 아닐 듯하다. 다만 <문학이론>은 좀더 폭넓게 읽힐 수 있는 책이다(라고 적지만, 사실은 대학 영문과생 정도는 돼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대개의 문학이론서들처럼 다양한 비평 학파를 소개하는 대신에 이론적인 주제 혹은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 특징이다.
문학이론 입문서로 가장 많이 읽히는 테리 이글턴의 <문학이론 입문>(창비, 1989)를 제외하면(여러 차례 언급했다) 라만 셀던(레이먼 셀던)의 <현대문학이론>이 표준적인데, 국내에도 번역본이 여러 종 나왔었다. 가장 최근에 나온 <현대문학이론>(경문사, 2014)은 원저 5판을 옮긴 것이다(영어권에서도 교과서 격으로 읽히는 듯하다). 이 책이야말로 학파별(입장별)로 문학이론을 소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다.
노엘 캐럴에 대해서는 영화이론가로만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관심분야가 넓다. 예술철학과 문학철학까지 다 카바하고 있다(작년에 나온 루틀리지 컴패니언 시리즈 <문학철학>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이번에 나온 건 '행동하는 지성' 시리즈의 <비평에 대하여>(원제)다.
"비평에 대한 본질과 요소를 알려주는 책. '비평'은 '분리하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왔다. 저자는 비평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에 적절한 제대로 된 의미의 비평은 단순한 의견 제시 이상으로 객관적일 수 있다고 믿는다. 비평적 판단을 함에 있어서 많은 양의 사실적인 문제들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고, 그래서 이들이 비평적 주장의 참인지 거짓인지, 그럴듯한지 아닌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평이 본질적으로 이유에 근거한 평가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원저 표지에 워홀의 브릴로 박스가 자리하고 있는 걸로 보아 비평에서도 예술비평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듯하다(미학 전공자인 이해완 교수가 역자다). 아서 단토의 추천사는 이렇다. "이런 책은 없다. 명료하고 날카로우며, 위트가 있고 영리하며, 전문적이고 인정이 넘친다. 읽고 나면 독자들은 더 나은 평론가, 분명히 더 나은 철학자가 된다." 그런 점에서는 <문학이론>도 마찬가지겠다. 최소한 더 나은 독자가 되게끔 해줄 것이다...
16. 03.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