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가 김윤식 선생의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3>(그리비)이 출간되었다. 셋째권이라는 얘기. 저자는 서문에서 이번 책에서는 ˝주로 잡지 사이의 라이벌 관계에 주안점을 두었다˝고 밝힌다. 일제강점기의 <문장>과 <인문평론>, 그리고 1960년대의 <세대>와 <사상계>, 라이벌 문예월간지로서 <현대문학>과 <문학사상> 등이 저자가 언급한 라이벌들이다.
하지만 잡지들만 다룬 건 아니고 백철과 황순원의 논쟁, 김종삼과 김춘수의 시세계, 조지훈과 이원조의 논쟁, 이호철과 최인훈의 문학세계 등이 비교와 검토의 주제로 다루어졌다. 그나마 내가 바로 따라가볼 수 있는 건 김종삼과 김춘수의 비교 정도이지만, 다른 라이벌 관계도 흥미를 끈다. 더불어, 앞서 나온 두 권을 좀 묵혀놓았는데 ‘3종 세트‘로 잘 보이는 곳에 모아두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작업을 흉내내자면 세계문학사에서도 라이벌들을 지목해볼 수 있겠다. 가령 스콧 도널드슨의 듀오그라피까지 나온 피츠제럴드와 헤밍웨이도 바로 떠올릴 수 있는 사례다(두 작가의 대표작은 이번 겨울에 20세기 전반기 미국문학을 강의하면서 다시 다루려고 한다). 러시아문학에서도 조지 스타이너의 <톨스토이냐 도스토예프스키냐> 같은 책이 있었다(모두 절판되고는 소식이 없는 책들이다). 흠,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들에 대한 강의책을 마무리지으면(내년 9월 출간예정이다) 새로 기획해봐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