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초기 일본인 학자들의 조선사 연구서를 모아놓는다(지금의 일본 한국사학을 대표할 만한 미야지마 히로시와는 물론 구별되어야 한다). 하야시 다이스케의 <조선사>가 번역돼 나와서인데, 경성제대 교수였던 다카하시 도루의 저작은 이미 여러 권 출간돼 있다. 



 












"하야시 다이스케, 우리나라에서 자주 ‘임태보(林泰輔)’로 불리는 이 하야시의 <조선사>. 1892년에 한국역사에 대한 근대적 기술서로서 세상에 알려진 문헌이다. 이 <조선사>는 형식적으로는 그때까지의 구습(舊習)에서 탈피하여 근대적인 역사서술을 시도한 최초의 역사서라고 하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그렇지만 그 내용적인 면에 있어서는 한국사, 특히 그 중에서도 한민족의 근간을 이루는 고대사에 대한 당시 일본사학계의 조선관(朝鮮觀)이 거의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야시의 <조선사>에 의한 식민사관을 계승 발전시켜 1922년부터 만 16년 간에 걸쳐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사료집으로 편찬한 것이 책명도 동일한 <朝鮮史>이다."


소개에 따르면 하야시 다이스케의 <조선사>(1892)는 근대적 역사서이면서 동시에 일제 식민사관의 근간이 된 책이다. 비판적 독서가 필요한 것. 
















조선총독부의 조선사편수회에서 편찬한 <조선사>와 그것이 한국사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 저작들이 몇 권 나와 있다. 
















경성제국대학의 교수로 조선어조선문학 전공교수였던 다카하시 도루의 저작 <이조불교>도 <경성제국대학 교수가 쓴 조선시대 불교통사>(민속원)란 제목으로 번역돼 나왔다. 앞서 그의 저작으론 <조선유학사>와 '조선 이야기집'으로서 <조선의 모노가타리> 등이 번역됐었다. 말 그대로 조선문학과 역사에 관해 두루 관심을 가진 학자였던 것. 


지난해가 3.1운동 100주년이었던 걸 감안하면 먼 과거의 역사만도 아니다. 식민지 시대의 역사를 반추해보는 의미에서라도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일 철학자 페터 슬로터다이크의 신작이 나왔다. <너는 너의 삶을 바꿔야 한다>(오월의봄). '인간공학에 대하여'가 부제. 영어본을 몇년 전에 이미 구해둔 책이다(제목 때문에). 앞서 릴케와 로댕의 듀오그라피도 같은 제목으로 나온 바 있다. '너는 너의 삶을 바꿔야 한다'가 릴케의 시구여서다. 
















"페터 슬로터다이크는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하게 인용되고 있는 철학자이자 가장 논쟁적인 철학자이다.  방대한 양의 철학서를 생산하면서도 스스로를 철학자가 아니라 자유저술가라고 소개하는 그는 1999년과 2009년 두 차례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논쟁을 벌이면서 ‘비판이론은 죽었다’(1999)라고 선언하며 비판이론의 제도화와 기득권화를 지적하거나 ‘세금 국가’(2009)를 비판하고 부르주아의 자발적인 자선 행위를 대안으로 제시했으며, 시리아 난민이 대거 유입하여 유럽이 혼란에 빠지던 2016년 메르켈 총리의 적극적인 난민 수용 정책에 거부감을 표하며 이른바 ‘난민 논쟁’의 한복판에 있었다. 그래서 그를 두고 ‘아방가르드 보수’ ‘좌파 보수’라고 규정하곤 한다. 슬로터다이크는 이 책 <너는 너의 삶을 바꿔야 한다>를 통해 당시의 논의를 ‘자기 자신에 대한 작업’을 위한 정신적, 육체적 수행 절차를 가리키는 ‘인간공학’의 차원으로 더 확장시킨다."
















슬로터다이크가 처음 소개된 건 2004년 그가 방한하던 해에 출간된 <인간농장을 위한 규칙>(한길사)을 통해서였는데, <너는 너의 삶을 바꿔야 한다>(2009)는 거기에 이어지는 책이다(확인해보니 영어판이 2013년, 독어판이 2009년에 나왔다. <분노는 세상을 어떻게 지배했는가>(2006)는 그 사이에 나왔군. 


한편 슬로터다이크의 책이 나올 때마다 유감을 표하게 되는데, 대표작 <냉소적 이성 비판>(1983)이 절반만 번역되고 끝내 소식이 없다(번역에 대한 냉소를 부른다). 소위 '찐따'가 된 것. 이후에 슬로터다이크의 책들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반응하기 어렵다. 대신에 흥미로운 비평으로는 읽을 수 있는데, <너는 너의 삶을 바꾸어 한다>에도 릴케와 니체, 카프카, 시오랑에 관한 흥미로운 장들이 들어 있다. 

















시오랑 얘기가 나와서 적자면, <태어났음의 불편함>(현암사)이 새 번역본으로 다시 나왔다. 앞서 두 번 다른 제목으로 나왔던 책(<지금 이 순간, 나는 아프다>와 <내 생일날의 고독>). 시오랑에 관해서는 여러번 페이퍼를 적은 적이 있는데, 두서없이 소개된 점이 그동안 아쉬웠다. 이번 번역본은 뭔가 정본에 가까운 것이길 기대한다(일차적으론 인용 가능한 책이 정본이다).




























브뤼노 라투르가 슬로터다이크의 철학적 맹우라는 사실은 이번에 알았는데, 라투르의 책은 슬로터다이크보다는 체계적으로 많이 소개돼 있다. 서로가 서로를 읽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누가 더 난해한지는 확인해봐야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제가 '인류 역사상 가장 참혹한 소모전'이다. 앨리스터 혼의 <베르됭 전투>(교양인). 1차세계대전 당시 가장 악명 높았던 소모전으로 뵈르됭 전투의 전모를 다룬 책이다(덕분에 오후에 관련 영상을 몇 개 찾아봤다). 저자는 영국의 저널리스트로 앞서 <나폴레옹의 시대>(을유문화사)가 번역됐었다. 
















찾아보니 베르됭 전투를 다룬 책은 여러 권 나와있는데, 짐작엔 혼의 책이 가장 앞선 듯싶다. 초판 1962년에 나왔고, 1993년판도 찍을 만큼 오랜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 책이다(펭귄판으로 나온 것으로 보아 가장 대중적이기도 한 듯). 
















1916년부터 무려 10개월간 진행된 전투에서 프랑스와 독일 양군은 70명이 사망했다고 알려진다(마이클 하워드의 책에선 50만명). 제1차세계대전에 관한 책도 다수 나와있고 상당수를 갖고 있지만 선뜻 읽어볼 엄두를 내지 못했는데, <베르됭 전투>가 좋은 실마리가 될 듯하다. 
















전쟁사와 함께 관심을 두고 있는 건 세계경제사인데, 사실 근대문학사를 설명하자면 근대세계사를 다룰 수밖에 없고 자연스레 근대세계졍제사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다. 절판된 책 가운데 윌리엄 번스타인의 <부의 탄생>(시아출판사)이 유익한 참고가 된다. 번스타인이 많이 참고하고 있는 건 앵거스 매디슨의 <세계 경제>로 세계경제사에 관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제시하고 있다(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비록 오역 시비로 얼룩지긴 했지만, 이름이 같은 경제학자 앵거스 디턴의 <위대한 탈출>(한국경제신문)도 덕분에 다시 찾게 되었다. 디턴의 최신작은 올해 나온 <절망이 낳은 죽음과 자본주의의 미래>다. 원저는 바로 구했는데, 번역본이 나오길 기대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스코프스키 2020-12-30 0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차세계대전 --> 제1차세계대전

2020-12-30 1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매주 나오는 책들을 눈대중으로는 따라가고 있는데, 막상 읽을 만한 여유가 없다. 강의책들을 읽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해서다. 그럼에도 눈대중 독서가 전혀 무의미하지만은 않다는 생각으로 페이퍼들을 적는다. 이번주 관심도서는 역사분야의 책들이다. 그 가운데 먼저 <옥스퍼드 세계사>(교유서가). 일러스트 버전의 세계사다. 
















세계사 책으로는 하버드(-C.H.베크)세계사가 나오고 있고(이미 소개했다), 케임브리지 중국사(아직 완간은 되지 않았다)나 지역사도 나와있는 상태. 옥스퍼드 세계사도 중국사나 세계영화사는 앞서 나왔고, 주제별로도 몇권 출간됐었다. 


 













도시, 민주주의, 테크놀로지 등이 지금껏 나온 주제사들이다. 이번에 나온 <옥스퍼드 세계사>는 말 그대로 통사인데, 20만년 전 인류의 출현부터 2008년까지를 다룬다. 이 정도면 680쪽 분량이라 하더라도 초스피드 세계사다. 휘리릭 훑어보는 용도의 책으로 의미가 있겠다(다양한 삽화와 사진이 이해를 돕는다). 
















<옥스퍼드 세계사>와 함께 꼽은 책은 도널드 서순(<유럽문화사>의 그 서순이다)의 신작 <불안한 승리>(뿌리와이파리)다. '자본주의의 세계사 1860-1914'가 부제. 세계문학 강의에서 19세기 문학을 다룰 때 주로 주로 '후반기'라고 지칭하는 시대다. '자본주의의 역사'를 다룬 책들은 여러 권 나와 있는데, 서순은 <유럽문화사>의 저자답게 폭넓은 시각으로 차별성을 보여주지 않을까 기대된다. 















말이 나온 김에 적자면 서순의 대표작은 <유럽문화사>(전5권) 외에도 <사회주의 100년>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버드대학의 '인간진화생물학과' 교수 리처드 랭엄의 신간이 나왔다('인간진화생물학자'라고 불러야 하나? 랭엄은 이 학과의 창설자다). 확인하니 오랜만에 나온 책이다. <요리 본능>(2011)과 <악마 같은 남성>(1998)이 앞서 나온 책. 20여 년간 세 권의 책이다. 
















"때로는 한없이 사악하고 때로는 더없이 관대한 인간 본성의 수수께끼를 진화적 탐구를 통해 풀어 가는 책이다. 하버드대학교 인간진화생물학과 교수이자 저명한 진화인류학자인 리처드 랭엄은 이 책에서 ‘자기 길들이기’ 등 흥미로운 개념과 풍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인간의 폭력과 이타주의, 전쟁과 협력, 사형과 도덕 등의 중요한 주제들에 다가간다. 그리고 여전히 우리를 괴롭히고 있는 강한 야만성에 맞서는 사회적 관용과 통제의 필요성을 설득력 있게 주장한다."
















처음 소개된 <악마 같은 남성>이 인간 폭력성의 기원을 추적한 책인데, 스티븐 핑커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서 중요한 전거가 되기도 했다(일본 학자의 책으론 <인간 폭력의 기원>이 같은 주제를 다룬다). 이에 대한 반론은 아구스틴 푸엔테스의 <크리에이티브>에서 읽을 수 있다. 나는 핑커보다는 푸엔테스의 견해가 더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랭엄은 영장류(침팬지) 학자로 경력을 시작했는데, 대학원 시절에는 제인 구달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고 한다. 그런 인연으로 영어판 <인간의 그늘에서>에 서문을 붙이기도 했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에는 같은 하버드대학 생물학과의 에드워드 윌슨이 추천사를 붙였다.  인간의 공격성에 대한 윌슨의 견해는 <인간 본성에 대하여>를 참고할 수 있다. 동물행동학 1세대 학자로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한 콘라드 로렌츠의 <공격성에 관하여>가 이 분야의 원조격. 이대출판부에서 나온 책인데, 알라딘에서는 흔적을 찾을 수 없다(중고샵에만 나와 있군).


아무튼 인간 폭력성(공격성)이란 주제에 관한 가장 최신의 저작이어서(원저는 지난해에 나왔다) 기대가 된다. 견해가 다른 푸엔테스('퓨엔테스'로 번역됨)에 대한 언급도 한군데 나오는데, 생각난 김에 푸엔테스의 신작도 나온 게 있는지 확인해봐야겠다...















P.S. 가장 널리 알려진 동물행동학자(<털없는 원숭이>의 저자) 데즈먼드 모리스의 책이 알게 모르게 계속 나오고 있는데, 특히 예술 본능과 관련한 책들이 눈길을 끈다. 다시 생각해보니,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예술적 본능과 폭력성 간의 상관성도 해명이 필요한 주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수 2020-12-21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들 읽기는 하시는지 궁금. 리뷰가 아니라 구입한 책 목록 소개가 더 맞을 듯 한데요...

로쟈 2020-12-21 22:44   좋아요 0 | URL
페이퍼는 그런 용도를 쓰는 글이고요, 리뷰는 따로 씁니다. 몇권은 리뷰를 쓰거나 강의에서 다룬 책..